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목차 1
사회적 지지와 진로성숙도의 종단적 변화 및 학업스트레스 간의 구조적 관계 = Investigating longitudinal changes in perceived social supports and career maturity and their relationships with academic stress / 이지수 ; 안현선 1
요약 1
Ⅰ. 서론 2
Ⅱ. 이론적 배경 4
1. 진로성숙도의 개념과 발달 및 중요성 4
2. 진로성숙도와 사회적 지지의 관계 6
3. 진로성숙도와 학업스트레스의 관계 8
Ⅲ. 연구방법 8
1. 연구대상 8
2. 측정 변수 9
3. 분석 방법 10
Ⅳ. 연구결과 10
1. 기술통계 및 상관분석 10
2. 잠재성장모형(LGM) 분석 12
Ⅴ. 논의 15
참고문헌 18
ABSTRACT 21
번호 | 참고문헌 |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
---|---|---|
1 | 강고은(2015). 고등학생이 지각한 부모의 양육태도와 진로태도성숙 간의 관계: 부모애착,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미소장 |
2 | 김도연(2011). 고등학생이 지각한 사회적 지지 와 자기효능감이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영향. 제주대학교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미소장 |
3 | 김성아(2012). 작용-개인-맥락-시간 모델의 관점에서 본 초기청소년의 환경체계들과의 인지된 관계와진로성숙도. 한국아동복지학, 38, 7-17. | 미소장 |
4 | 김아름·이지희·최보영(2010). 중·고등학생의 진로성숙 발달에 관한 5년 종단연구: 성별 및 부모·또래와의애착을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22(3), 843-862. | 미소장 |
5 | 김유현·김유미(2023). 청소년의 학업 스트레스와 진로성숙도: 학교유대감과 주관적 안녕감의 매개효과.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3, 299-310. | 미소장 |
6 | 김종학·최보영(2015). 대학생의 사회적 지지가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진로성숙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청소년복지연구, 17(4), 143-169. | 미소장 |
7 | 김진아(2019). 청소년기 진로정체감의 종단적 변화 및 예측요인 검증. 청소년학연구, 26(9), 217-246. | 미소장 |
8 | 김현숙(2015). 가구주의 사회적 배제 수준이 청소년의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영향. 학교사회복지, 31, 281-309. | 미소장 |
9 | 김혜래·이혜원(2007). 학교청소년의 진로성숙도와 비행과의 관계: 지위비행을 중심으로. 한국아동복지학, 23, 33-63. | 미소장 |
10 | 류진숙(2012). 대학생의 사회적 지지, 가족탄력성, 자기결정성 및 진로결정 몰입과 진로준비행동 간의구조적 관계. 충북대학교 박사학위논문. | 미소장 |
11 | 박미자(2013). 중학생, 기적을 부르는 나이. 파주: 들녘. | 미소장 |
12 | 박완성(2007). 중고등학생의 진로성숙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종단적 연구. 진로교육연구, 20(4), 87-101. | 미소장 |
13 | 박은영(1994). 고등학교 청소년들의 스트레스 원인과 그 대처행동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미소장 |
14 | 박지현(2020). 중학생의 진로성숙도 영향요인 연구 – 자아존중감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인문사회21, 11(3), 329-344. | 미소장 |
15 | 박진아·이선영(2022). 학업스트레스 상황에서 대처양식과 사회적 지지가 학습태도에 미치는 영향. 아시아교육연구, 23(3), 587-616. | 미소장 |
16 | 손수경·이현정·홍세희(2017). 학교 학습활동과 친구관계가 청소년의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분할함수 잠재성장모형을 이용한 종단관계 분석. 한국청소년연구, 28(3), 57-88. | 미소장 |
17 | 안혜진·정미경(2015). 청소년의 자아개념, 사회적 지지 가 자기효능감을 매개로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종단적 분석. 한국교육학연구, 21(3), 279-303. | 미소장 |
18 | 어윤경(2010). 진로성숙수준과 진로준비행동 실현의 관계: 의사결정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교육심리연구, 24(4), 1029-1046. | 미소장 |
19 | 여성가족부(2023). 2023 청소년 통계. http://www.mogef.go.kr/nw/rpd/nw_rpd_s001d.do?mid=news405&bbt Sn=709307 | 미소장 |
20 | 유순화(2007). 초등학교에서 중학교로의 전환에 관한 학생들의 기대와 지각. 초등교육연구, 20(1), 355-375. | 미소장 |
21 | 유준상·서우석(2013). 진로성숙과 심리적 요인에 대한 메타분석. 진로교육연구, 26(3), 165-183. | 미소장 |
22 | 윤혜경·이지연(2010). 중학생이 지각하는 또래관계 역량의 개념과 수준. 한국심리학회지: 학교, 7(1), 1-18. | 미소장 |
23 | 이은경·오소영·곽현(2019). 청소년의 사회적 지지 , 진로정체감 및 진로결정수준의 관계에 대한 종단적연구. 진로교육연구, 32(4), 307-329. | 미소장 |
24 | 이주리(2009). 초등학생의 진로성숙도 발달궤적과 예측요인. 아동학회지, 30(2), 43-55. | 미소장 |
25 | 이주영(2021). 사회적 지지와 진로성숙도의 관계에서 진로체험의 매개효과. 교육공동체 연구와 실천, 3(1), 93-114. | 미소장 |
26 | 임성애·이은주(2017). 초등학생의 진로성숙도 발달양상에 따른 잠재계층 분류 및 영향요인 검증. 초등교육연구, 30(1), 121-145. | 미소장 |
27 | 임성택·주동범·이금주(2010). 청소년의 자살생각, 스트레스, 공부압박감의 종단적 추이와 해석. 직업교육연구, 29, 23-43. | 미소장 |
28 | 임효진·정철영(2015). 중학생 진로개발역량 검사도구 개발. 진로교육연구, 28(4), 107-137. | 미소장 |
29 | 임효진·한지은·김정수·선혜연(2016). 청소년의 진로경험 및 부모지지가 진로성숙도의 종단변화에 미치는 동시 및 지연효과. 상담학연구, 17(5), 289-306. | 미소장 |
30 | 장윤옥·정서린(2017). 청소년의 학업스트레스와 학업소진 및 학업열의와의 관계에서 자기조절학습 전략의 조절효과. 중등교육연구, 65(1), 195-223. | 미소장 |
31 | 정미경(2012). 청소년의 스트레스와 내면화, 외현화 문제행동간의 관계에서 보호요인의 매개효과. 교육심리연구, 26(1), 271-290. | 미소장 |
32 | 정미나·노자은(2016). 청소년 진로성숙의 영향요인에 대한 메타분석. 한국청소년연구, 27(3), 133-162. | 미소장 |
33 | 정윤경·이지수·안현선(2017). 사회적 지지와 진로성숙도의 종단적 변화와 학업참여 및 학업성취간의 구조적 관계 검증. 진로교육연구, 30(3), 1-24. | 미소장 |
34 | 조미형·최상미·엄태영(2006). 남녀 청소년의 부모‧친구‧교사애착과 학교생활적응이 진로성숙에 미치는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사회복지조사연구, 15, 81-97. | 미소장 |
35 | 하영숙·염동문(2013). 중학생이 지각한 사회적 지지가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영향: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청소년문화포럼, 34, 154-180. | 미소장 |
36 | 한은영·이재원(2013). 청소년의 비행성향이 진로성숙에 미치는 영향. 한국청소년연구, 24(3), 323-355. | 미소장 |
37 | 허균(2012). 잠재성장모형을 활용한 진로성숙도의 변화궤적과 성별, 자아존중감 및 부모애착 시간효과의구조관계. 진로교육연구, 31(2), 193-209. | 미소장 |
38 | 황매향, 임은미(2004). 중고등학생들의 학업동기와 진로성숙도의 관계. 교육심리연구, 18(3), 177-191. | 미소장 |
39 | Chung, H., Elias, M., & Schneider, K.(1998). Patterns of individual adjustment changes during middle school transition. Journal of School Psychology, 36(1), 83-101. | 미소장 |
40 | Crites, J. O.(1961). A model for the measurement of vocational maturity.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8, 255-259. | 미소장 |
41 | Erikson, E. H.(1950). Childhood and society. New York: W. W. Norton & Co. | 미소장 |
42 | Hj Ramli, N. H., Alavi, M., Mehrinezhad, S. A., & Ahmadi, A.(2018). Academic stress and self-regulation among university students in Malaysia: mediator role of mindfulness. Behavioral Sciences, 8, 1-9. | 미소장 |
43 | Hu, L., & Bentler, P. M.(1999). Cutoff criteria for fit indexes in covariance structure analysis: Conventional criteria versus new alternatives.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6, 1-55. | 미소장 |
44 | Super, D. E.(1969). Vocational development theory: Person, position, and process. The Counseling Psychologist, 1, 19-23. | 미소장 |
45 | Super, D. E., & Jordaan, J. P.(1973). Career Development Theory. British Journal of Guidance & Counselling, 1(1), 3-16. | 미소장 |
46 | West, S. G., Finch, J. F., & Curran, P. J.(1995). Structural equation models with nonnormal variables: Problems and remedies. In R. H. Hoyle(E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Concepts, issues and applications(pp. 56-75). Newbury Park, CA: Sage. | 미소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정기간행물실(524호) / 서가번호: 국내12
2021년 이전 정기간행물은 온라인 신청(원문 구축 자료는 원문 이용)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