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목차 1
개화기 송당 김성희의 언론활동과 교육관 = A study on Kim Sung-Hee's educational thoughts during the period of enlightenment(1881-1910) in Korea / 전민호 ; 신현정 1
요약 1
Ⅰ. 시작하며 2
Ⅱ. 김성희의 경력과 저술 활동 5
Ⅲ. 김성희의 언론활동과 교육관 9
1. 교육일반 9
2. 정치·경제·농업교육 17
Ⅳ. 맺으며 21
참고문헌 23
ABSTRACT 25
번호 | 참고문헌 |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
---|---|---|
1 | 『기호흥학회월보』 | 미소장 |
2 | 『대한매일신보』 | 미소장 |
3 | 『대한자강회월보』 | 미소장 |
4 | 『대한협회회보』 | 미소장 |
5 | 『대한제국관원이력서』 | 미소장 |
6 | 『동아일보』 | 미소장 |
7 | 『승정원일기』 | 미소장 |
8 | 『조선총독부관보』 | 미소장 |
9 | 『중외일보』 | 미소장 |
10 | 『황성신문』 | 미소장 |
11 | 국사편찬위원회 편(1999). 한국사43 국권회복운동. 과천: 국사편찬위원회. | 미소장 |
12 | 국사편찬위원회 편(1987). 한민족독립운동사1. 과천: 국사편찬위원회. | 미소장 |
13 | 김영우(1987). 한국근대교원교육사(Ⅰ). 서울: 정민사. | 미소장 |
14 | 김항구(1991). 한말 대한협회의 자강독립론. 교수논총, 7(2), 121-140. | 미소장 |
15 | 김항구(1995). 대한자강회의 자강독립론에 대한 고찰. 동서사학, 1, 137-158. | 미소장 |
16 | 김형목(2001). 기호흥학회 충남지방 지회 활동과 성격. 중앙사론, 15, 29-54. | 미소장 |
17 | 신용하(1994). 구한말 보안회의 창립과 민족운동. 사회와 역사, 44, 11-79. | 미소장 |
18 | 박노자(2004. 3. 25.). 『한겨레21』. ‘계몽주의자, 군국주의자!’. (https://news.naver.com/main/read.naver?mo de=LSD&mid=sec&sid1=001&oid=036&aid=0000004775) | 미소장 |
19 | 우남숙(1996). 박은식의 교육사상 연구. 역사와 사회, 17, 141-168. | 미소장 |
20 | 이태진(2014). 요시다 쇼인(吉田松陰)과 도쿠토미 소호(德富蘇峰): 근대 일본 한국 침략의 사상적 기저(基底). 한국사론, 60, 551-602. | 미소장 |
21 | 윤경로(1990). 105인사건과 신민회 연구. 서울: 일지사. | 미소장 |
22 | 이송희(1982). 한말 서우학회의 애국계몽운동과 사상. 한국학보, 8, 35-80. | 미소장 |
23 | 이송희(1984). 한말 한북흥학회의 조직과 활동에 관한 고찰. 이화사학연구, 15, 34-46. | 미소장 |
24 | 이송희(1986). 대한제국말기 애국계몽학회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 미소장 |
25 | 이승환(2002). 한국 및 동양에서 ‘사회진화론’의 수용과 기능. 중국철학, 9, 177-207. | 미소장 |
26 | 전민호(2010). 헐버트(H. B. Hulbert)의 교육개혁론 고찰: 『코리아 리뷰(The Korea Review)』를 중심으로. 교육문제연구, 38, 59-81. | 미소장 |
27 | 전민호(2012a). 개화기 학교교육개혁에 관한 연구. 고려대학교 박사학위논문. | 미소장 |
28 | 전민호(2012b). 학교령기 통감부의 교육정책: 학부 및 학부산하 기관의 교·직원 배치를 중심으로. 국학연구, 43, 495-530. | 미소장 |
29 | 전민호·신현정(2020). 개화기 학교교육에서 위생개념의 형성. 한국교육학연구, 26(2), 231-257. | 미소장 |
30 | 정영희(2001). 기호흥학회 충남지회의 활동에 관한 연구. 역사와실학, 19·20, 497-520. | 미소장 |
31 | 조항래(1993). 1900년대의 애국계몽운동연구. 서울: 아세아문화사. | 미소장 |
32 | 조현욱(1995). 서북학회의 애국계몽운동(Ⅰ): <서우>·<서북학회월보>의 내용과 현실인식. 한국학연구, 5, 47-97. | 미소장 |
33 | 채백(2010). 애국계몽기 일제의 언론통제와 한국언론의 대응: 노일전쟁부터 강제병합까지를 중심으로. 언론과학연구, 10(1), 604-632. | 미소장 |
34 | 최기영(2001). 구한말 공진회에 관한 일고찰. 한국근현대사논문선집 50 계몽(9). 서울: 삼귀문화사. | 미소장 |
35 | 최혜주(2017). 대한자강회의 ‘국민’인식과 ‘국민’ 만들기 활동. 숭실사학, 39, 39-68. | 미소장 |
36 | 한용진(1994). 개화기 한국교육의 시기구분론. 안암교육학연구, 1(1), 163-187. | 미소장 |
37 | 한용진(2006). 개화기 사범학교와 교원양성교육. 대학의 역사와 문화, 3, 99-129. | 미소장 |
38 | 한용진·김자중(2009). 대한제국기 교육학 교재 분석. 한국교육학연구, 15(3), 5-34. | 미소장 |
39 | 함동주(2003). 대한자강회의 일본관과 ‘문명론’. 한국동양정치사상사연구, 2(2), 147-162. | 미소장 |
40 | 홍인숙·정출헌(2010). 『대한자강회월보』의 운동성과 지향 연구: 자강회 내부의 이질적 그룹과 그 성격을중심으로. 동양한문학연구, 30, 353-381. | 미소장 |
41 | 신자토 루리코(2017). 관립덕어학교의 한국인 교관들. 사회와 역사, 116, 139-186. | 미소장 |
42 | 稻葉繼雄. 홍준기 역(2006). 구한말 교육과 일본인. 청주: 온누리. | 미소장 |
43 | 국사편찬위원회. 한국사데이터베이스. 직원록자료. | 미소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정기간행물실(524호) / 서가번호: 국내12
2021년 이전 정기간행물은 온라인 신청(원문 구축 자료는 원문 이용)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