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목차 1

개화기 송당 김성희의 언론활동과 교육관 = A study on Kim Sung-Hee's educational thoughts during the period of enlightenment(1881-1910) in Korea / 전민호 ; 신현정 1

요약 1

Ⅰ. 시작하며 2

Ⅱ. 김성희의 경력과 저술 활동 5

Ⅲ. 김성희의 언론활동과 교육관 9

1. 교육일반 9

2. 정치·경제·농업교육 17

Ⅳ. 맺으며 21

참고문헌 23

ABSTRACT 25

초록보기

본 연구는 김성희의 경력과 함께 그의 언론 활동을 중심으로 교육일반과 정치・경제・농업교육에 관한 주장과 특징을 살펴보았다. 그의 언론 활동을 전반적으로 보면 한국을 식민지화하려는 일본을 독일・영국・프랑스와 같은 선진 문명국으로 인식하고 한국이 본받아야 하는 대상국으로 이해하였다. 예를 들어 일본에서 메이지 유신의 정신적 지도자가 된 요시다 쇼인을 학회지에 소개하면서 한국도 개혁을 통해 강력한 근대 국가가 되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그리고 일본이 교육의 종지를 추구하여 강대국이 되었기 때문에 한국도 근대교육을 시행하여 문명국이 되어야 한다고 역설하였다. 즉 일본을 저항해야 하는 대상이 아닌 적극적으로 본받아야 하는 대상으로 파악하였다. 러일전쟁 이후 한국을 식민지화하려는 의도를 표면적으로 드러낸 일본으로부터 독립을 유지해야만 하는 절체절명의 상황에서 김성희는 언론을 통해 일본을 본받아야 하는 주요 대상국으로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역사 인식에 한계가 있다고 할 수 있다. 결국, 급변하는 국제정세와 제국주의 침략에 맞서 한국의 독립을 위해 일제에 적극적으로 저항해야 하는 국면에서 상황을 주체적으로 인식하지 못한 개화기의 친일적 신지식인이었다.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아이즈너의 교육적 감식안에 따른 수업 평가 준거 탐색 = A study on the teaching evaluation criteria by Eisner’s educational connoisseurship 권채리, 조호제 p. 1-25

보기
디지털휴먼 대화유형이 정서 및 주의집중에 대한 학습경험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 of conversational style with digital human on learning experience of emotions and attention 김국현, 류지헌, 이선옥 p. 27-49

보기
대학원생 직업적성 평가도구 개발 및 타당화 =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the job aptitude scale for graduate students 김보영, 정수정, 김유겸 p. 51-72

보기
교사학습공동체 평가준거체제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A study on evaluation system for teachers' learning community 김하정, 원효헌 p. 73-101

보기
교사 셀프리더십, 교사 임파워먼트, 학교조직효과성 간의 구조적 관계 = The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teachers’ self-leadership, teachers’ empowerment, school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이경숙, 김희규 p. 103-128

보기
사회적 지지와 진로성숙도의 종단적 변화 및 학업스트레스 간의 구조적 관계 = Investigating longitudinal changes in perceived social supports and career maturity and their relationships with academic stress 이지수, 안현선 p. 129-149

보기
개화기 송당 김성희의 언론활동과 교육관 = A study on Kim Sung-Hee's educational thoughts during the period of enlightenment(1881-1910) in Korea 전민호, 신현정 p. 151-175

보기
초·중등학교 교사의 AI·디지털 역량 우선순위 분석 = An analysis of priorities for AI-digital competencies of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 teachers in Korea 정주영, 김희규, 주영효 p. 177-203

보기
텍스트 마이닝을 활용한 창의적 체험활동의 연구동향 분석 = An analysis of the research trends of creative experience activities using text mining 조남옥, 조규락 p. 205-224

보기
Satisfied and working hard in online courses = 온라인 수업 상황에서 성취목표가 학습 공동체 의식을 매개로 만족도 및 참여도에 미치는 영향 : the impact of achievement goals mediated by classroom sense of community YoonJung Cho, Sungok Serena Shim, Elena Son p. 225-247

보기
정책실패 예방 관점에서의 지역인재 투자협약제도 요구분석 = Needs analysis of local talent investment agreement from the perspective of policy failure prevention : implications for regional innovation system & education : 지역혁신 중심 대학지원체계(RISE)에 주는 시사점 주휘정, 김택형 p. 249-280

보기
교육과정 실행에서 개념적 접근을 위한 교사교육 프로그램 주제 탐색 연구 = Exploratory study on teacher education program topics for a conceptual approach in curriculum implementation 한진호, 임유나, 최한올 p. 281-311

보기
초등교사의 AI·디지털 기반 수업에 대한 인식 탐색 = Exploring elementary teachers' perception of AI and digital-based lessons 현민영, 임다미, 정슬기, 최고은, 김대권, 박인우 p. 313-338

보기

참고문헌 (43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기호흥학회월보』 미소장
2 『대한매일신보』 미소장
3 『대한자강회월보』 미소장
4 『대한협회회보』 미소장
5 『대한제국관원이력서』 미소장
6 『동아일보』 미소장
7 『승정원일기』 미소장
8 『조선총독부관보』 미소장
9 『중외일보』 미소장
10 『황성신문』 미소장
11 국사편찬위원회 편(1999). 한국사43 국권회복운동. 과천: 국사편찬위원회. 미소장
12 국사편찬위원회 편(1987). 한민족독립운동사1. 과천: 국사편찬위원회. 미소장
13 김영우(1987). 한국근대교원교육사(Ⅰ). 서울: 정민사. 미소장
14 김항구(1991). 한말 대한협회의 자강독립론. 교수논총, 7(2), 121-140. 미소장
15 김항구(1995). 대한자강회의 자강독립론에 대한 고찰. 동서사학, 1, 137-158. 미소장
16 김형목(2001). 기호흥학회 충남지방 지회 활동과 성격. 중앙사론, 15, 29-54. 미소장
17 신용하(1994). 구한말 보안회의 창립과 민족운동. 사회와 역사, 44, 11-79. 미소장
18 박노자(2004. 3. 25.). 『한겨레21』. ‘계몽주의자, 군국주의자!’. (https://news.naver.com/main/read.naver?mo de=LSD&mid=sec&sid1=001&oid=036&aid=0000004775) 미소장
19 우남숙(1996). 박은식의 교육사상 연구. 역사와 사회, 17, 141-168. 미소장
20 이태진(2014). 요시다 쇼인(吉田松陰)과 도쿠토미 소호(德富蘇峰): 근대 일본 한국 침략의 사상적 기저(基底). 한국사론, 60, 551-602. 미소장
21 윤경로(1990). 105인사건과 신민회 연구. 서울: 일지사. 미소장
22 이송희(1982). 한말 서우학회의 애국계몽운동과 사상. 한국학보, 8, 35-80. 미소장
23 이송희(1984). 한말 한북흥학회의 조직과 활동에 관한 고찰. 이화사학연구, 15, 34-46. 미소장
24 이송희(1986). 대한제국말기 애국계몽학회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미소장
25 이승환(2002). 한국 및 동양에서 ‘사회진화론’의 수용과 기능. 중국철학, 9, 177-207. 미소장
26 전민호(2010). 헐버트(H. B. Hulbert)의 교육개혁론 고찰: 『코리아 리뷰(The Korea Review)』를 중심으로. 교육문제연구, 38, 59-81. 미소장
27 전민호(2012a). 개화기 학교교육개혁에 관한 연구. 고려대학교 박사학위논문. 미소장
28 전민호(2012b). 학교령기 통감부의 교육정책: 학부 및 학부산하 기관의 교·직원 배치를 중심으로. 국학연구, 43, 495-530. 미소장
29 전민호·신현정(2020). 개화기 학교교육에서 위생개념의 형성. 한국교육학연구, 26(2), 231-257. 미소장
30 정영희(2001). 기호흥학회 충남지회의 활동에 관한 연구. 역사와실학, 19·20, 497-520. 미소장
31 조항래(1993). 1900년대의 애국계몽운동연구. 서울: 아세아문화사. 미소장
32 조현욱(1995). 서북학회의 애국계몽운동(Ⅰ): <서우>·<서북학회월보>의 내용과 현실인식. 한국학연구, 5, 47-97. 미소장
33 채백(2010). 애국계몽기 일제의 언론통제와 한국언론의 대응: 노일전쟁부터 강제병합까지를 중심으로. 언론과학연구, 10(1), 604-632. 미소장
34 최기영(2001). 구한말 공진회에 관한 일고찰. 한국근현대사논문선집 50 계몽(9). 서울: 삼귀문화사. 미소장
35 최혜주(2017). 대한자강회의 ‘국민’인식과 ‘국민’ 만들기 활동. 숭실사학, 39, 39-68. 미소장
36 한용진(1994). 개화기 한국교육의 시기구분론. 안암교육학연구, 1(1), 163-187. 미소장
37 한용진(2006). 개화기 사범학교와 교원양성교육. 대학의 역사와 문화, 3, 99-129. 미소장
38 한용진·김자중(2009). 대한제국기 교육학 교재 분석. 한국교육학연구, 15(3), 5-34. 미소장
39 함동주(2003). 대한자강회의 일본관과 ‘문명론’. 한국동양정치사상사연구, 2(2), 147-162. 미소장
40 홍인숙·정출헌(2010). 『대한자강회월보』의 운동성과 지향 연구: 자강회 내부의 이질적 그룹과 그 성격을중심으로. 동양한문학연구, 30, 353-381. 미소장
41 신자토 루리코(2017). 관립덕어학교의 한국인 교관들. 사회와 역사, 116, 139-186. 미소장
42 稻葉繼雄. 홍준기 역(2006). 구한말 교육과 일본인. 청주: 온누리. 미소장
43 국사편찬위원회. 한국사데이터베이스. 직원록자료.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