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목차 1
초·중등학교 교사의 AI·디지털 역량 우선순위 분석 = An analysis of priorities for AI-digital competencies of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 teachers in Korea / 정주영 ; 김희규 ; 주영효 1
요약 1
Ⅰ. 서론 2
Ⅱ. 이론적 배경 4
1. 교사의 AI·디지털 역량 정의 4
2. 교사의 AI·디지털 역량 영역 및 하위역량 고찰 6
3. 초·중등학교 교사의 AI·디지털 역량 분석 준거 9
Ⅲ. 연구 방법 11
1. 연구 대상 11
2. 연구 도구 12
3. 분석 방법 12
Ⅳ. 분석 결과 14
1. 중요도-수행도 현황 분석 14
2. 교사의 성별 및 학교급별 AI·디지털 역량 비교분석 17
Ⅴ. 논의 및 결론 19
참고문헌 23
ABSTRACT 27
번호 | 참고문헌 |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
---|---|---|
1 | 강민수 외(2023). 교사의 AI·디지털 활용 교육정책 내실화 방안 탐색. 한국교원교육연구, 40(2), 111-140. | 미소장 |
2 | 강유나·이영신(2020). 유아의 디지털매체 이용 지도지침 구성을 위한 기초연구: 이용지침에 대한 교사요구도 분석을 중심으로. 어린이미디어연구, 19(1), 143-167. | 미소장 |
3 | 계보경·유재욱(2022). 교사의 디지털 교육 역량 프레임워크 및 역량 강화 전략. 디지털교육 국내외 동향심층호 8호. 대구: 한국교육학술정보원. | 미소장 |
4 | 고병철·한선관(2021). 인공지능교육에 대한 초등교사의 인식 조사. 인공지능연구 논문지, 2(1), 29-43. | 미소장 |
5 | 교육부(2020). 국민이 체감하는 교육혁신 미래를 주도하는 인재양성. 세종: 교육부. | 미소장 |
6 | 교육부(2021). 2022 개정 교육과정 총론 주요사항(시안). 세종: 교육부. | 미소장 |
7 | 교육부(2022). 디지털 인재양성 종합방안. 세종: 교육부. | 미소장 |
8 | 교육부(2023.2.23.). 모두를 위한 맞춤 교육의 실현 디지털 기반 교육혁신 방안. 발표문. | 미소장 |
9 | 김성준 외(2023). 초등교원의 요구 분석 기반 맞춤형 AI· 디지털 교원 연수 프로그램 운영 방안 설계. 정보교육학회논문지, 27(3), 281-289. | 미소장 |
10 | 김성희 외(2020). 디지털 역량 관련 용어 정의 및 하위 영역 분석. 한국컴퓨터교육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24(2), 93-96. | 미소장 |
11 | 김은정(2020). 대학생의 사회정서역량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요구분석. 교육방법연구, 32(1), 25-44. | 미소장 |
12 | 김현진 외(2020). 학교교육에서 AI 활용에 대한 교사의 인식. 교육공학연구, 36(3), 905-930. | 미소장 |
13 | 김희규 외(2023). 예비·현직 교원의 AI·디지털 역량 체계 정립사업 결과 보고서. 부산: 한국교원교육학회. | 미소장 |
14 | 김희규·주영효(2017). 초등학교 교사의 생애단계별 직무역량 분석. 한국교육학연구, 23(1), 287-318. | 미소장 |
15 | 문재영·전서영(2022). 교사의 인식 및 태도가 학생들의 사회· 정서적 역량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미술교육에서 교사의 다문화적 역량 중심으로.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28(2), 75-85. | 미소장 |
16 | 박미현 외(2021). 비전공자를 위한 SW· AI 교양 교육과정 개발 연구–P 대학교 사례를 중심으로–. 컴퓨터교육학회 논문지, 24(2), 85-103. | 미소장 |
17 | 박민정·최임숙(2022). 4차 산업혁명 시대를 위한 교사역량 및 교사양성교육에 대한 예비교사의 요구 분석:A대학 사례를 중심으로. 열린교육연구, 30(5), 77-93. | 미소장 |
18 | 박보경·한정혜(2023). 초등교원 디지털·인공지능 역량 강화 연수현황 비교분석. 정보교육학회논문지, 27(3), 86-92. | 미소장 |
19 | 변순용 외(2022). 미래 세대 AI 함양을 위한 교원의 AI 교육 역량 강화 방안 연구(SBJ000039446). 서울:한국과학창의재단. | 미소장 |
20 | 서재영 외(2016). 지방교육행정공무원의 역량 요구분석: 중요도-수행도 분석을 중심으로. 교육행정학연구, 34(3), 159-180. | 미소장 |
21 | 신용수·김동호(2023). AI·디지털 역량 강화를 위한 초등학교 교사 재교육 방안. 학교와 수업 연구, 8(1), 29-51. | 미소장 |
22 | 오정숙(2019). 교사의 다문화 감수성과 다문화 교수효능감에 관한 연구: 유, 초, 중등 학교급별 비교. 교육문화연구, 25(5), 1099-1123. | 미소장 |
23 | 이동국 외(2022). 인공지능(AI) 활용 교육을 위한 교사 역량 및 연수 과제 도출. 교육정보미디어연구, 28(2), 415-444. | 미소장 |
24 | 이상오(2021). 4차 산업혁명에 따른 미래 교육 방안. 박사학위논문, 경상국립대학교. | 미소장 |
25 | 이철현(2020). 초등교사의 인공지능교육 관심도 분석. 실과교육연구, 26(4), 1-20. | 미소장 |
26 | 임걸 외(2016). 교사의 개인배경과 연수경험이 디지털교과서 활용역량, 이해수준, 효과성 인식 및 태도에미치는 영향.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4(9), 53-61. | 미소장 |
27 | 임유나·홍후조(2018). 교사 핵심역량에 대한 초·중등교사의 인식과 요구 비교 분석. 교육학연구, 56(2), 1-31. | 미소장 |
28 | 임은영(2019). 교사의 학생평가 역량 연구. 교육과정평가연구, 22(1), 101-124. | 미소장 |
29 | 임종헌 외(2017). 4차 산업혁명사회에서 교육의 방향과 교원의 역량에 관한 탐색적 연구. 한국교육, 44(2), 5-32. | 미소장 |
30 | 임태형 외(2022). 교사의 성별 및 학교급에 따른 인공지능 교수효능감 차이. 컴퓨터교육학회 논문지, 25(1), 41-50. | 미소장 |
31 | 전수연·고홍규(2023). 미술교과 교원의 AI·디지털 역량 체계 개발. 조형교육, 86, 103-127. | 미소장 |
32 | 전은경·오인수(2022). 학교상담 역량에 대한 초등 전문상담교사와 중등 전문상담교사의 요구도 차이 비교연구. 교원교육, 38(5), 281-307. | 미소장 |
33 | 전인성·송기상(2020). 수요자 요구분석 기반의 맞춤형 인공지능융합교육 과정 연구. 컴퓨터교육학회 논문지, 23(5), 43-52. | 미소장 |
34 | 조운주·최일선(2022). 유아교사의 디지털 역량 평가도구 타당화 연구. 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26(4), 33-55. | 미소장 |
35 | 주영효(2021). 비선형 자기조직화 모형을 적용한 학교 조직 변화 과정 분석: 질적 사례 연구. 한국교육학연구, 27(2), 247-280. | 미소장 |
36 | 한정선 외(2006). 지식 정보 역량 개발 지원을 위한 디지털 리터러시 지수 개발 연구. 서울: 한국교육학술정보원. | 미소장 |
37 | 허희옥·강신천(2023). 인공지능융합교육 설계를 위한 교사 역량.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26(2), 89-100. | 미소장 |
38 | 홍지연(2023). 초등교사의 디지털· AI 리터러시 교수 역량 함양을 위한 교사 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정보교육학회논문지, 27(3), 245-254. | 미소장 |
39 | 황영식 외(2023). 초·중등학교 교사의 AI·디지털 공통역량에 관한 조작적 정의 및 하위역량 개발. 교육행정학연구, 41(2), 227-253. | 미소장 |
40 | Borich, G. D. (1980). A needs assessment model for conducting follow-up studies. Journal of Teacher Education, 31(3), 39-42 | 미소장 |
41 | European Union(2019). Key competences for lifelong learning. Luxembourg: Publications Office of the European Union. Retrieved from: https://doi.org/doi/10.2766/569540 | 미소장 |
42 | Falloon, G. (2020). From digital literacy to digital competence: The teacher digital competency (TDC) framework. Educational Technology Research and Development, 68, 2449-2472. | 미소장 |
43 | Ferrari, A. (2012). Digital competence in practice: An analysis of frameworks. Retrieved from: https://ifap.ru/libra ry/book522.pdf | 미소장 |
44 | García-Vandewalle García, J. M. et al. (2023). Analysis of digital competence of educators (DigCompEdu) in teacher trainees: The context of Melilla, Spain. Technology, Knowledge and Learning, 28(2), 585-612. | 미소장 |
45 | Gilster, P. (1997). Digital literacy. New York: Wiley. | 미소장 |
46 | Godhe, A. (2019). Digital literacies or digital competence: Conceptualizations in Nordic curricula. Media and Communication, 7(2), 25-35. | 미소장 |
47 | Holmes, W., & Porayska-Pomsta, K. (Eds.) (2023). The ethics of artificial intelligence in education. New York:Routledge. | 미소장 |
48 | Kluzer, S., & Pujol Priego, L. (2018). DigComp into Action- Get inspired, make it happen. Luxembourg:Publications Office of the European Union. | 미소장 |
49 | Law, N., Woo, D., & Wong, G. (2018). A global framework of reference on digital literacy skills for indicator 4.4.2. Montreal, Canada: UNESCO. | 미소장 |
50 | Mink, O. G. et al. (1991). Developing and managing open organizations: A model and Method for maximizing organizational potential. Austin, TX: Somerset Consulting Group. | 미소장 |
51 | Ng, D. T. K. et al. (2023). Teachers’ AI digital competencies and twenty-first century skills in the post』pandemic world. Educational Technology Research and Development, 71(1), 137-161. | 미소장 |
52 | Redecker, C. (2017). European framework for the digital competence of educators: DigCompEdu (Report No. JRC107466). Luxembourg: Publications Office of the European Union. | 미소장 |
53 | Vuorikari, R. et al. (2022). DigComp 2.2: The digital competence framework for citizens. Luxembourg:Publications Office of the European Union. | 미소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정기간행물실(524호) / 서가번호: 국내12
2021년 이전 정기간행물은 온라인 신청(원문 구축 자료는 원문 이용)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