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목차 1

초·중등학교 교사의 AI·디지털 역량 우선순위 분석 = An analysis of priorities for AI-digital competencies of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 teachers in Korea / 정주영 ; 김희규 ; 주영효 1

요약 1

Ⅰ. 서론 2

Ⅱ. 이론적 배경 4

1. 교사의 AI·디지털 역량 정의 4

2. 교사의 AI·디지털 역량 영역 및 하위역량 고찰 6

3. 초·중등학교 교사의 AI·디지털 역량 분석 준거 9

Ⅲ. 연구 방법 11

1. 연구 대상 11

2. 연구 도구 12

3. 분석 방법 12

Ⅳ. 분석 결과 14

1. 중요도-수행도 현황 분석 14

2. 교사의 성별 및 학교급별 AI·디지털 역량 비교분석 17

Ⅴ. 논의 및 결론 19

참고문헌 23

ABSTRACT 27

초록보기

본 연구는 초・중등학교 교사의 AI・디지털 역량의 우선순위 분석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선행연구에 기초하여 초・중등 교사의 4가지 AI・디지털 역량 영역 및 18가지 하위역량 분석 준거를 도출하고, 최종 중요도와 수행도 측정을 위한 설문조사 도구를 구안하였다. 전국 초・중등학교 교사 3,901명으로부터 수집한 설문조사 자료는 중요도 및 수행도 분석, Borich 요구도 산출 방식 및 로커스 포커스 모델를 활용하여 분석 후 초・중등학교 교사의 AI・디지털 역량의 우선순위를 도출하였다. 분석 결과, ① AI・디지털의 윤리적 이해, AI・디지털의 이해 역량 영역의 중요도가 상대적으로 높은 반면, 중요도-수행도의 평균차는 AI・디지털의 윤리적 이해를 제외한 나머지 3개의 역량 영역에서 크게 나타났다. ② 최우선 과제로 강화해야 할 AI・디지털 하위역량은 ‘AI・디지털 관련 기초지식 이해 역량’, 차순위 과제로 강화해야 할 AI・디지털 하위역량은 ‘AI・디지털 기반 개별화 학습 설계 역량’, ‘데이터 활용 피드백 역량’ 등이 도출되었다. 본 연구는 분석 결과에 기초한 정책적 시사점으로 ① 교사의 AI・디지털 “역량 영역-하위역량” 명시・구분을 통한 AI・디지털 역량 연수 계획과 프로그램 개발 필요, ② 교사들의 낮은 AI・디지털 이해와 수용 실태를 반영한 AI・디지털 이해와 AI・디지털 관련 기초지식 이해 역량 중심의 교사 연수 계획 및 프로그램 개발 필요, ③ 성별・학교급별 차이를 고려한 맞춤형 연수 제공 필요 등을 제시하였다.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아이즈너의 교육적 감식안에 따른 수업 평가 준거 탐색 = A study on the teaching evaluation criteria by Eisner’s educational connoisseurship 권채리, 조호제 p. 1-25

보기
디지털휴먼 대화유형이 정서 및 주의집중에 대한 학습경험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 of conversational style with digital human on learning experience of emotions and attention 김국현, 류지헌, 이선옥 p. 27-49

보기
대학원생 직업적성 평가도구 개발 및 타당화 =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the job aptitude scale for graduate students 김보영, 정수정, 김유겸 p. 51-72

보기
교사학습공동체 평가준거체제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A study on evaluation system for teachers' learning community 김하정, 원효헌 p. 73-101

보기
교사 셀프리더십, 교사 임파워먼트, 학교조직효과성 간의 구조적 관계 = The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teachers’ self-leadership, teachers’ empowerment, school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이경숙, 김희규 p. 103-128

보기
사회적 지지와 진로성숙도의 종단적 변화 및 학업스트레스 간의 구조적 관계 = Investigating longitudinal changes in perceived social supports and career maturity and their relationships with academic stress 이지수, 안현선 p. 129-149

보기
개화기 송당 김성희의 언론활동과 교육관 = A study on Kim Sung-Hee's educational thoughts during the period of enlightenment(1881-1910) in Korea 전민호, 신현정 p. 151-175

보기
초·중등학교 교사의 AI·디지털 역량 우선순위 분석 = An analysis of priorities for AI-digital competencies of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 teachers in Korea 정주영, 김희규, 주영효 p. 177-203

보기
텍스트 마이닝을 활용한 창의적 체험활동의 연구동향 분석 = An analysis of the research trends of creative experience activities using text mining 조남옥, 조규락 p. 205-224

보기
Satisfied and working hard in online courses = 온라인 수업 상황에서 성취목표가 학습 공동체 의식을 매개로 만족도 및 참여도에 미치는 영향 : the impact of achievement goals mediated by classroom sense of community YoonJung Cho, Sungok Serena Shim, Elena Son p. 225-247

보기
정책실패 예방 관점에서의 지역인재 투자협약제도 요구분석 = Needs analysis of local talent investment agreement from the perspective of policy failure prevention : implications for regional innovation system & education : 지역혁신 중심 대학지원체계(RISE)에 주는 시사점 주휘정, 김택형 p. 249-280

보기
교육과정 실행에서 개념적 접근을 위한 교사교육 프로그램 주제 탐색 연구 = Exploratory study on teacher education program topics for a conceptual approach in curriculum implementation 한진호, 임유나, 최한올 p. 281-311

보기
초등교사의 AI·디지털 기반 수업에 대한 인식 탐색 = Exploring elementary teachers' perception of AI and digital-based lessons 현민영, 임다미, 정슬기, 최고은, 김대권, 박인우 p. 313-338

보기

참고문헌 (53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강민수 외(2023). 교사의 AI·디지털 활용 교육정책 내실화 방안 탐색. 한국교원교육연구, 40(2), 111-140. 미소장
2 강유나·이영신(2020). 유아의 디지털매체 이용 지도지침 구성을 위한 기초연구: 이용지침에 대한 교사요구도 분석을 중심으로. 어린이미디어연구, 19(1), 143-167. 미소장
3 계보경·유재욱(2022). 교사의 디지털 교육 역량 프레임워크 및 역량 강화 전략. 디지털교육 국내외 동향심층호 8호. 대구: 한국교육학술정보원. 미소장
4 고병철·한선관(2021). 인공지능교육에 대한 초등교사의 인식 조사. 인공지능연구 논문지, 2(1), 29-43. 미소장
5 교육부(2020). 국민이 체감하는 교육혁신 미래를 주도하는 인재양성. 세종: 교육부. 미소장
6 교육부(2021). 2022 개정 교육과정 총론 주요사항(시안). 세종: 교육부. 미소장
7 교육부(2022). 디지털 인재양성 종합방안. 세종: 교육부. 미소장
8 교육부(2023.2.23.). 모두를 위한 맞춤 교육의 실현 디지털 기반 교육혁신 방안. 발표문. 미소장
9 김성준 외(2023). 초등교원의 요구 분석 기반 맞춤형 AI· 디지털 교원 연수 프로그램 운영 방안 설계. 정보교육학회논문지, 27(3), 281-289. 미소장
10 김성희 외(2020). 디지털 역량 관련 용어 정의 및 하위 영역 분석. 한국컴퓨터교육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24(2), 93-96. 미소장
11 김은정(2020). 대학생의 사회정서역량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요구분석. 교육방법연구, 32(1), 25-44. 미소장
12 김현진 외(2020). 학교교육에서 AI 활용에 대한 교사의 인식. 교육공학연구, 36(3), 905-930. 미소장
13 김희규 외(2023). 예비·현직 교원의 AI·디지털 역량 체계 정립사업 결과 보고서. 부산: 한국교원교육학회. 미소장
14 김희규·주영효(2017). 초등학교 교사의 생애단계별 직무역량 분석. 한국교육학연구, 23(1), 287-318. 미소장
15 문재영·전서영(2022). 교사의 인식 및 태도가 학생들의 사회· 정서적 역량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미술교육에서 교사의 다문화적 역량 중심으로.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28(2), 75-85. 미소장
16 박미현 외(2021). 비전공자를 위한 SW· AI 교양 교육과정 개발 연구–P 대학교 사례를 중심으로–. 컴퓨터교육학회 논문지, 24(2), 85-103. 미소장
17 박민정·최임숙(2022). 4차 산업혁명 시대를 위한 교사역량 및 교사양성교육에 대한 예비교사의 요구 분석:A대학 사례를 중심으로. 열린교육연구, 30(5), 77-93. 미소장
18 박보경·한정혜(2023). 초등교원 디지털·인공지능 역량 강화 연수현황 비교분석. 정보교육학회논문지, 27(3), 86-92. 미소장
19 변순용 외(2022). 미래 세대 AI 함양을 위한 교원의 AI 교육 역량 강화 방안 연구(SBJ000039446). 서울:한국과학창의재단. 미소장
20 서재영 외(2016). 지방교육행정공무원의 역량 요구분석: 중요도-수행도 분석을 중심으로. 교육행정학연구, 34(3), 159-180. 미소장
21 신용수·김동호(2023). AI·디지털 역량 강화를 위한 초등학교 교사 재교육 방안. 학교와 수업 연구, 8(1), 29-51. 미소장
22 오정숙(2019). 교사의 다문화 감수성과 다문화 교수효능감에 관한 연구: 유, 초, 중등 학교급별 비교. 교육문화연구, 25(5), 1099-1123. 미소장
23 이동국 외(2022). 인공지능(AI) 활용 교육을 위한 교사 역량 및 연수 과제 도출. 교육정보미디어연구, 28(2), 415-444. 미소장
24 이상오(2021). 4차 산업혁명에 따른 미래 교육 방안. 박사학위논문, 경상국립대학교. 미소장
25 이철현(2020). 초등교사의 인공지능교육 관심도 분석. 실과교육연구, 26(4), 1-20. 미소장
26 임걸 외(2016). 교사의 개인배경과 연수경험이 디지털교과서 활용역량, 이해수준, 효과성 인식 및 태도에미치는 영향.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4(9), 53-61. 미소장
27 임유나·홍후조(2018). 교사 핵심역량에 대한 초·중등교사의 인식과 요구 비교 분석. 교육학연구, 56(2), 1-31. 미소장
28 임은영(2019). 교사의 학생평가 역량 연구. 교육과정평가연구, 22(1), 101-124. 미소장
29 임종헌 외(2017). 4차 산업혁명사회에서 교육의 방향과 교원의 역량에 관한 탐색적 연구. 한국교육, 44(2), 5-32. 미소장
30 임태형 외(2022). 교사의 성별 및 학교급에 따른 인공지능 교수효능감 차이. 컴퓨터교육학회 논문지, 25(1), 41-50. 미소장
31 전수연·고홍규(2023). 미술교과 교원의 AI·디지털 역량 체계 개발. 조형교육, 86, 103-127. 미소장
32 전은경·오인수(2022). 학교상담 역량에 대한 초등 전문상담교사와 중등 전문상담교사의 요구도 차이 비교연구. 교원교육, 38(5), 281-307. 미소장
33 전인성·송기상(2020). 수요자 요구분석 기반의 맞춤형 인공지능융합교육 과정 연구. 컴퓨터교육학회 논문지, 23(5), 43-52. 미소장
34 조운주·최일선(2022). 유아교사의 디지털 역량 평가도구 타당화 연구. 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26(4), 33-55. 미소장
35 주영효(2021). 비선형 자기조직화 모형을 적용한 학교 조직 변화 과정 분석: 질적 사례 연구. 한국교육학연구, 27(2), 247-280. 미소장
36 한정선 외(2006). 지식 정보 역량 개발 지원을 위한 디지털 리터러시 지수 개발 연구. 서울: 한국교육학술정보원. 미소장
37 허희옥·강신천(2023). 인공지능융합교육 설계를 위한 교사 역량.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26(2), 89-100. 미소장
38 홍지연(2023). 초등교사의 디지털· AI 리터러시 교수 역량 함양을 위한 교사 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정보교육학회논문지, 27(3), 245-254. 미소장
39 황영식 외(2023). 초·중등학교 교사의 AI·디지털 공통역량에 관한 조작적 정의 및 하위역량 개발. 교육행정학연구, 41(2), 227-253. 미소장
40 Borich, G. D. (1980). A needs assessment model for conducting follow-up studies. Journal of Teacher Education, 31(3), 39-42 미소장
41 European Union(2019). Key competences for lifelong learning. Luxembourg: Publications Office of the European Union. Retrieved from: https://doi.org/doi/10.2766/569540 미소장
42 Falloon, G. (2020). From digital literacy to digital competence: The teacher digital competency (TDC) framework. Educational Technology Research and Development, 68, 2449-2472. 미소장
43 Ferrari, A. (2012). Digital competence in practice: An analysis of frameworks. Retrieved from: https://ifap.ru/libra ry/book522.pdf 미소장
44 García-Vandewalle García, J. M. et al. (2023). Analysis of digital competence of educators (DigCompEdu) in teacher trainees: The context of Melilla, Spain. Technology, Knowledge and Learning, 28(2), 585-612. 미소장
45 Gilster, P. (1997). Digital literacy. New York: Wiley. 미소장
46 Godhe, A. (2019). Digital literacies or digital competence: Conceptualizations in Nordic curricula. Media and Communication, 7(2), 25-35. 미소장
47 Holmes, W., & Porayska-Pomsta, K. (Eds.) (2023). The ethics of artificial intelligence in education. New York:Routledge. 미소장
48 Kluzer, S., & Pujol Priego, L. (2018). DigComp into Action- Get inspired, make it happen. Luxembourg:Publications Office of the European Union. 미소장
49 Law, N., Woo, D., & Wong, G. (2018). A global framework of reference on digital literacy skills for indicator 4.4.2. Montreal, Canada: UNESCO. 미소장
50 Mink, O. G. et al. (1991). Developing and managing open organizations: A model and Method for maximizing organizational potential. Austin, TX: Somerset Consulting Group. 미소장
51 Ng, D. T. K. et al. (2023). Teachers’ AI digital competencies and twenty-first century skills in the post』pandemic world. Educational Technology Research and Development, 71(1), 137-161. 미소장
52 Redecker, C. (2017). European framework for the digital competence of educators: DigCompEdu (Report No. JRC107466). Luxembourg: Publications Office of the European Union. 미소장
53 Vuorikari, R. et al. (2022). DigComp 2.2: The digital competence framework for citizens. Luxembourg:Publications Office of the European Union.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