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텍스트 마이닝 기법을 활용하여 국내 학술지에 투고된 창의적 체험활동 연구의 초록을 분석하여 창의적 체험활동의 연구동향을 파악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학술연구정보서비스(RISS)와 한국학술지인용색인(KCI)에서 '창의적체험활동'을 검색어로 하여 관련 논문을 수집하였고, 분석에 사용한 총 716편의 학술 논문에서 핵심 키워드를 추출하고 빈도 분석,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 동적 토픽모델링을 실시하였다. 빈도 분석 결과, ‘프로그램’, ‘교육과정’ 이 모두 가장 높은 키워드로 나타났으며, ‘구성’과 ‘방안’은 TF에서만, ‘사회’와 ‘진로교육’은 TF-IDF에서만 나타났다.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에서, ‘결과’가 모든 중심성 분석에서 상위를 차지하였으며, 그 다음으로 ‘학생’, ‘교육’, ‘분석’, ‘활용’ 등이 높게 나타났다. 또한, 중심성 지수가 낮은 키워드는 ‘방법,’ ‘영역’, ‘중심’ 등이 차지하였다. 토픽모델링 결과, 6개의 토픽이 드러났는데, [토픽 1] 교육과정 및 교육 개발, [토픽 2] 프로그램 개발과 활용, [토픽 3] 학교 교육과 교육과정, [토픽 4]는 교육과정과 결과, [토픽 5] 교육과정과 학습자분석, [토픽 6] 프로그램 활용과 결과 분석이었다. 연도별로 토픽의 변화를 살펴보면, [토픽 1과 2]은 최근 많이 연구되는 토픽이지만, 반대로 [토픽 6]은 지속적으로 줄어드는 토픽이다. [토픽 3]은 거의 매번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는 인기 있는 토픽이며, [토픽 4와 5]는 언제나 연구가 적은 토픽임을 알 수 있다. 이러한 결과는 창의적 체험활동 연구의 동향과 주요 관심사를 잘 드러내고 있으며, 미래의 연구의 방향을 모색하고자 하는 연구자들에게 중요한 기초 자료로 활용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