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목차 1
텍스트 마이닝을 활용한 창의적 체험활동의 연구동향 분석 = An analysis of the research trends of creative experience activities using text mining / 조남옥 ; 조규락 1
요약 1
Ⅰ. 서론 2
Ⅱ. 이론적 배경 3
1. 교육과정의 변천과 창의적 체험활동 3
2. 연구동향 분석과 텍스트 마이닝 5
Ⅲ. 연구방법 및 절차 6
1. 자료수집 및 분석대상 6
2. 자료 분석 6
Ⅳ. 연구결과 8
1. 창의적 체험활동 연구의 현황과 핵심 키워드 8
1. 창의적 체험활동 연구에서 나타나는 핵심 주제어들 간의 관계 10
2. 창의적 체험활동 연구에서 나타나는 주요 토픽과 토픽의 변화 12
Ⅴ. 논의 및 제언 13
참고문헌 17
ABSTRACT 19
번호 | 참고문헌 |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
---|---|---|
1 | 고은지·최선영(2021). “트윗의 타임 시퀀스를 활용한 DTM 분석 : 2019 남북미정상회동 이벤트를 중심으로”.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25(2), 308-313. | 미소장 |
2 | 교육과학기술부(2012). 초‧중등학교 교육과정. 교육과학기술부 고시 제2012-14호. | 미소장 |
3 | 교육부(2015). 2015 개정 교육과정. 교육부 고시 제2015-74호. | 미소장 |
4 | 교육부(2022). 2022 개정 교육과정. 교육부 고시 제2022-33호. | 미소장 |
5 | 김사훈·이광우(2014). 고등학교의 창의적 체험활동 교육과정 편성·운영에 관한 교사 인식 조사. 한국교원교육연구, 31(2), 373-395. | 미소장 |
6 | 김선영·김영환(2015). ICT 활용 체험학습 연구동향 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5(6), 271-294. | 미소장 |
7 | 김영환(2015). 초등 창의적 체험활동 연구동향 분석. 교육혁신연구, 25(3), 45-65. | 미소장 |
8 | 김화영·김정원(2011). 2009 개정 교육과정의 창의적 체험활동을 위한 농식품 안전 교재의 개발 및 적용. 한국실과교육학회지, 24(3), 255-279. | 미소장 |
9 | 박자현·송민(2013). 토픽모델링을 활용한 국내 문헌정보학 연구동향 분석. 정보관리학회지, 30(1) 7-32. | 미소장 |
10 | 박세훈·장인실(2019). 창의적 체험활동 교육과정 분석을 통한 역량 연구. 교육과정연구, 37(4), 51-71. | 미소장 |
11 | 배명훈·김영식(2020). 초등학교 자율 체육 동아리 운영에 관한 사례 연구. 초등교육연구, 33(4), 83-108. | 미소장 |
12 | 신혜경(2020). 초등학교 창의적 체험활동의 음악 수업. 한국예술연구, (28), 183-207. | 미소장 |
13 | 오현주·박재근(2017). 창의적 체험활동과 연계한 초등학교 지속가능발전교육 프로그램의 개발과 적용. 초등과학교육, 36(4), 316-330. | 미소장 |
14 | 이건남(2009). 초등학생 대상의 체험학습 연구동향. 실과교육연구, 15(2), 229-248. | 미소장 |
15 | 이림(2019). 초·중등학교 ‘교과 외 활동’ 연구에 대한 체계적 문헌 고찰.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9(3), 869-895. | 미소장 |
16 | 이승준·박찬웅·이승학(2015). 중등부 특수학급의 창의적 체험활동에 대한 교사의 인식과 운영실태.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54(3), 381-406. | 미소장 |
17 | 이지연(2014). 중학생 대상 체험학습 국내 연구동향 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4(11), 199-219. | 미소장 |
18 | 장인실(2017). 창의적 체험활동과 연계한 다문화교육의 효과성 연구: 초등 예비교사를 중심으로. 경인교육대학교 교육연구원 교육논총, 37(3), 85-108. | 미소장 |
19 | 정윤경(2011). ‘창의적 체험 활동’에 관한 이론적 고찰: 체험 활동의 교육적 가치를 중심으로. 교육학연구, 17(2), 73-95. | 미소장 |
20 | 정하나·최범길·김은희·박인후 (2016). 중학생 대상 에너지 절약교육을 위한 창의적체험활동 프로그램개발 - 조명의 효율적인 사용 중심으로-. 에너지기후변화교육, 6(2), 173-183. | 미소장 |
21 | 조남옥·조규락(2017). 주제어 네트워크 분석을 통한 -상담학연구』의 연구동향과 지식구조 탐색. 상담학연구, 18(2), 1-19. | 미소장 |
22 | 조영남(2012). 창의적 체험활동 교육과정 변천에 대한 연구. 초등교육연구, 25(3), 235-256. | 미소장 |
23 | 조영남(2016). 창의적 체험활동의 맞춤형 수업설계 전략. 중등교육연구, 64(1), 197-217. | 미소장 |
24 | 조영남(2017). 창의적 체험활동의 자율활동 교육과정 변천 연구. 통합교육과정연구, 11(1), 93-114. | 미소장 |
25 | 조헌·전보애·조대헌(2018). 지리정보기술을 활용한 지역문제 탐구형 창의적 체험활동프로그램의 개발및 적용-강릉 해안침식 문제를 중심으로-. 한국사진지리학회지, 28(2), 89-112. | 미소장 |
26 | 황은희·장지현·양현경(2019). 텍스트 마이닝 기법을 활용한 자유학기제 연구동향 분석. 교육문화연구, 25(3), 299-318. | 미소장 |
27 | 허숙(2015). 창의·인성 함양을 위한 초등학교 창의적 체험활동 운영 방안 모색. 교육과정연구, 33(1), 19-40. | 미소장 |
28 | 하강수·장인실(2018). 창의적 체험활동의 현재와 미래에 대한 초등교사 인식 연구. 경인대학교 교육연구원 교육논총, 38(1), 217-239. | 미소장 |
29 | 한국교육학술정보원(2023년 3월 24일). https://www.riss.kr | 미소장 |
30 | 한국연구재단(2023년 3월 24일). https://www.kci.go.kr/ | 미소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정기간행물실(524호) / 서가번호: 국내12
2021년 이전 정기간행물은 온라인 신청(원문 구축 자료는 원문 이용)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