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ocial environment is vital for optimal student learning particularly in online contexts. This study examined the mediating effect of classroom sense of communit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chievement goalrelated constructs (classroom goal structures and personal achievement goals) and learning experiences (course satisfaction and effort expenditure) in the online learning context. The participants were 164 students enrolled in teacher education online courses at a Midwestern comprehensive university in USA. The path analysis results revealed mastery goals (perceived classroom mastery goal structure and personal mastery goals) and classroom performance goal structure were positively and negatively associated with classroom sense of community, respectively, which in turn was positively associated with course satisfaction and effort expenditure. The results indicate that academic learning environment (indicated by classroom goal structure) influence course satisfaction and effort through the mediating roles of classroom sense of community.
본 연구에서는 온라인 학습 환경에서 학습자가 지각한 학습 공동체 의식이 성취 목표 구인과 온라인 수업 만족도 및 참여도 간의 관계를 매개하는지를 살펴보았다. 연구 대상은 미국 중서부 소재 대학의 교사 교육 온라인 과정에 등록한 학생 164명이다. 경로 분석 결과, 온라인 수업에서 학습자가 지각한 학습 공동체 의식은 학생의 개인 숙달 목표 및 교실 숙달 목표 구조와 정적 상관관계가 있는 반면, 교실 수행 목표 구조와는 부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학습 공동체 의식은 수업 만족도 및 노력과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매개효과를 분석한 결과, 온라인 학습 공동체 의식이 성취목표 구조와 수업 만족도 및 참여도 간의 관계를 유의미하게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온라인 학습 환경 내 구축된 성취 목표 구조가 개인 성취 목표에 대한 지지를 높여 공동체 의식을 강화하고, 궁극적으로 수업 만족도를 높이며 개인의 노력의 양을 증가시키는 결과를 확인하였다. 이는 학습과 숙달을 강조하는 온라인 수업 분위기를 조성하면 학습 공동체 의식을 강화하여 학생들의 학습 경험(수업 만족도 및 노력)을 향상시킴을 시사한다. 교실 숙달 목표 구조는 성장과 향상 측면에서 학생의 성공을 정의하기 때문에 이러한 환경의 학생들은 공동의 학습 목표를 향해 협력하는 경향이 있다. 결과적으로 숙달 목표 구조의 이러한 특성은 온라인 학습 환경에서 학습 공동체 의식을 함양하는 데 기여한다. 또한, 학습 과정에서 학생들이 서로 연결되어 있고 소중하다고 느끼는 학습 공동체가 조성되면 학생들이 온라인 수업에 만족감을 느끼고 더 많은 노력을 투자하게 됨을 보여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