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목차 1

교육과정 실행에서 개념적 접근을 위한 교사교육 프로그램 주제 탐색 연구 = Exploratory study on teacher education program topics for a conceptual approach in curriculum implementation / 한진호 ; 임유나 ; 최한올 1

요약 1

Ⅰ. 서론 2

Ⅱ. 이론적 배경 4

1. 개념적 접근의 동향 4

2. 개념적 접근의 주요 이론 9

Ⅲ. 연구 방법 13

1. 연구 참여자 13

2. 연구 절차 14

3. 연구 자료 분석 및 활용 15

Ⅳ. 연구 결과 16

1. 개념적 접근의 등장 배경에 대한 이해 16

2. 개념(concept)과 일반화(generalization)에 대한 이해 17

3. 지식의 구조를 바탕으로 개념적 접근의 핵심적인 아이디어 이해 19

4. 지식의 구조와의 상보적 관계 속에서 '과정의 구조'를 이해 20

5. 3차원적 교육과정 모델의 이해와 3차원적 교육목표 개발 21

6. 개념적 접근에 따른 단원 설계 실습 22

7. 종합 : 개념적 접근의 이해를 위한 교사교육 프로그램 주제(안) 23

Ⅴ. 결론 24

참고문헌 28

ABSTRACT 31

초록보기

본 연구는 2022 개정 교육과정이 고시되며 담론화된 교육과정과 수업에서 개념적 접근의 성공적인 안착을 위해 이론적 탐색을 수행하고, 교육과정 실행자들에게 무엇을 필수‧핵심적으로 이해하게 할 것인가를 구체화하는 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설정한 연구 문제는 “교사들이 교육과정 실행에서 개념적 접근을 깊이 있게 이해하고 실행할 수 있도록 지원하기 위한 교사교육 프로그램의 모습은 어떠해야 하는가?”이다. 먼저 문헌연구를 통해 오늘날 개념적 접근이 강조되는 배경, 개념적 접근의 의미와 목적, 국내외 적용 사례 등을 차례대로 탐색하였다. 또한 Erickson과 Lanning의 아이디어를 바탕으로 개념적 접근의 주요 이론을 파악하며 이후 논의의 근거로 삼았다. 다음으로 FGD(Focus Group Discussion)를 거쳐 교육과정 실행자들이 개념적 접근을 깊이 있게 이해할 수 있는 지원책을 교사교육 프로그램 주제(안) 개요 형태로 모색하여 제시하였다. 연구 결과, 개념적 접근의 등장 배경과 필요성, 개념과 일반화, 지식의 구조, 과정의 구조, 3차원적 교육과정 모델, 개념적 접근의 단원 개발 프레임워크 등의 대주제와 이하 20개의 소주제를 도출하였다. 본 연구는 개념적 접근의 도입 초기에 이론과 실제 구현 사이를 매개한다는 측면에서 가교적 성격을 띤다. 새로운 교육 패러다임을 포함한 계획된 교육과정이 교육과정 실행자와 원활히 소통함으로써 궁극적으로 경험된 교육과정의 질을 제고할 것으로 기대하는 바이다.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아이즈너의 교육적 감식안에 따른 수업 평가 준거 탐색 = A study on the teaching evaluation criteria by Eisner’s educational connoisseurship 권채리, 조호제 p. 1-25

보기
디지털휴먼 대화유형이 정서 및 주의집중에 대한 학습경험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 of conversational style with digital human on learning experience of emotions and attention 김국현, 류지헌, 이선옥 p. 27-49

보기
대학원생 직업적성 평가도구 개발 및 타당화 =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the job aptitude scale for graduate students 김보영, 정수정, 김유겸 p. 51-72

보기
교사학습공동체 평가준거체제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A study on evaluation system for teachers' learning community 김하정, 원효헌 p. 73-101

보기
교사 셀프리더십, 교사 임파워먼트, 학교조직효과성 간의 구조적 관계 = The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teachers’ self-leadership, teachers’ empowerment, school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이경숙, 김희규 p. 103-128

보기
사회적 지지와 진로성숙도의 종단적 변화 및 학업스트레스 간의 구조적 관계 = Investigating longitudinal changes in perceived social supports and career maturity and their relationships with academic stress 이지수, 안현선 p. 129-149

보기
개화기 송당 김성희의 언론활동과 교육관 = A study on Kim Sung-Hee's educational thoughts during the period of enlightenment(1881-1910) in Korea 전민호, 신현정 p. 151-175

보기
초·중등학교 교사의 AI·디지털 역량 우선순위 분석 = An analysis of priorities for AI-digital competencies of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 teachers in Korea 정주영, 김희규, 주영효 p. 177-203

보기
텍스트 마이닝을 활용한 창의적 체험활동의 연구동향 분석 = An analysis of the research trends of creative experience activities using text mining 조남옥, 조규락 p. 205-224

보기
Satisfied and working hard in online courses = 온라인 수업 상황에서 성취목표가 학습 공동체 의식을 매개로 만족도 및 참여도에 미치는 영향 : the impact of achievement goals mediated by classroom sense of community YoonJung Cho, Sungok Serena Shim, Elena Son p. 225-247

보기
정책실패 예방 관점에서의 지역인재 투자협약제도 요구분석 = Needs analysis of local talent investment agreement from the perspective of policy failure prevention : implications for regional innovation system & education : 지역혁신 중심 대학지원체계(RISE)에 주는 시사점 주휘정, 김택형 p. 249-280

보기
교육과정 실행에서 개념적 접근을 위한 교사교육 프로그램 주제 탐색 연구 = Exploratory study on teacher education program topics for a conceptual approach in curriculum implementation 한진호, 임유나, 최한올 p. 281-311

보기
초등교사의 AI·디지털 기반 수업에 대한 인식 탐색 = Exploring elementary teachers' perception of AI and digital-based lessons 현민영, 임다미, 정슬기, 최고은, 김대권, 박인우 p. 313-338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