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2022 개정 교육과정이 고시되며 담론화된 교육과정과 수업에서 개념적 접근의 성공적인 안착을 위해 이론적 탐색을 수행하고, 교육과정 실행자들에게 무엇을 필수‧핵심적으로 이해하게 할 것인가를 구체화하는 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설정한 연구 문제는 “교사들이 교육과정 실행에서 개념적 접근을 깊이 있게 이해하고 실행할 수 있도록 지원하기 위한 교사교육 프로그램의 모습은 어떠해야 하는가?”이다. 먼저 문헌연구를 통해 오늘날 개념적 접근이 강조되는 배경, 개념적 접근의 의미와 목적, 국내외 적용 사례 등을 차례대로 탐색하였다. 또한 Erickson과 Lanning의 아이디어를 바탕으로 개념적 접근의 주요 이론을 파악하며 이후 논의의 근거로 삼았다. 다음으로 FGD(Focus Group Discussion)를 거쳐 교육과정 실행자들이 개념적 접근을 깊이 있게 이해할 수 있는 지원책을 교사교육 프로그램 주제(안) 개요 형태로 모색하여 제시하였다. 연구 결과, 개념적 접근의 등장 배경과 필요성, 개념과 일반화, 지식의 구조, 과정의 구조, 3차원적 교육과정 모델, 개념적 접근의 단원 개발 프레임워크 등의 대주제와 이하 20개의 소주제를 도출하였다. 본 연구는 개념적 접근의 도입 초기에 이론과 실제 구현 사이를 매개한다는 측면에서 가교적 성격을 띤다. 새로운 교육 패러다임을 포함한 계획된 교육과정이 교육과정 실행자와 원활히 소통함으로써 궁극적으로 경험된 교육과정의 질을 제고할 것으로 기대하는 바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