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본 연구의 목적은 고령장애인의 인권이자 기본권으로서의 건강권 보장 및 생활만족도 향상을 위하여 실효성 있는 정책과 제도 측면의 방안을 제시하는 데 있다. 건강할 권리, 건강 관련 서비스에의 권리, 건강 관련 서비스 체계 내에서의 권리 등 건강권 영역별 지표를 기준으로 하여 유형을 도출하였고, 이에 따른 차이 및 생활만족도에 대한 영향을 검증하였다. 분석 자료는 2020년 장애인실태조사 자료로, 만 65세 이상 고령장애인 총 3,375명의 자료가 활용되었다. 연구 결과, 고령장애인의 건강권은 포괄적 건강권, 서비스 중심 건강권 및 제한적 건강권의 3개 유형이 도출되었다. 그리고 건강 관련 서비스에의 권리에 비하여 건강할 권리 및 건강 관련 서비스 체계 내에서의 권리 보장이 취약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생활만족도에 있어서 건강권의 유형별로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와 같은 결과를 기반으로 건강권 보장을 통한 고령장애인의 삶의 질을 향상하기 위한 구체적인 개입 방안을 제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effective policies and institutional measures to ensure for older adults with disabilities their health rights as fundamental human rights and improved life satisfaction. Based on indicators in various domains of health rights, such as the right to be healthy, the right to health care, and the right in the health care system, typologies were derived, and the resulting differences and their impact on life satisfaction were examined. The analysis used data from the 2020 National Survey of People with Disabilities conducted on a total of 3,375 older adults with disabilities (aged 65+) by the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and the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The study revealed three types of health rights: comprehensive health rights, service-centered health rights, and limited health rights. It was found that the right to be healthy and the right in the health care system were relatively weaker compared to the right to health care. Furthermore, variations in life satisfaction were observed among different types of health rights. Based on these results, concrete intervention strategies were suggested to enhance the quality of life of older adults with disabilities through the guarantee of health rights.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한국 면세점 여성 판매 노동자의 재생산 건강 관련 경험 및 근무 환경 = Reproductive health-related experiences and work environment among saleswomen in Korean duty-free shops : focusing on menstruation, pregnancy, and childcare : 월경, 임신, 육아를 중심으로 이하영, 김지환, 이가린, 김희원, 김승섭 p. 7-25

코로나19 유행기간 보건소 진료서비스 이용자의 보건소 서비스 중단・축소 경험에 관한 질적 연구 = Experiences of chronic patients with the interruption of healthcare services in community health centers during the COVID-19 pandemic 박은자, 송은솔, 윤강재 p. 26-37

한국어판 환자의 공격성 및 폭력성 관리에 대한 간호사의 태도 측정도구(K-MAVAS)의 심리계량적 속성 = Psychometric properties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management of aggression and violence attitude scale (K-MAVAS) 김한나, 최희승, 전예슬, 이우진, 안중근 p. 38-54

생활치료센터에 입소했던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환자들의 체험 = Capturing the lived experiences of COVID-19 patients who resided in a residential treatment center : a phenomenological approach : 현상학적 접근 정원석 p. 55-71

23개 국가(주)의 직장 내 괴롭힘 정의 및 법령 분석 연구 = Investigation into the definition and legislation of workplace bullying in 23 states 서유정 p. 72-91

다자녀 지원에 관한 광역자치단체 조례 분석 연구 = A study on the analysis of metropolitan government ordinances on the support of multi-child households 배혜원, 김태은 p. 92-113

호스피스・완화의료 이용자의 삶과 죽음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체계적 문헌고찰 = A systematic review of factors affecting quality of life and quality of death in hospice and palliative care users 신양준, 김진희, 김희년, 신영전 p. 114-137

사회복지 분야 사회복무요원 직무역량 향상을 위한 교육 우선순위 분석 = A needs analysis to develop job competency of social service agents 유진선, 손영은, 주연선 p. 138-155

고령장애인의 건강권 및 생활만족도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health rights and life satisfaction of older adults with disabilities : a typological approach : 유형화를 중심으로 한상윤, 남석인 p. 156-173

호주의 국가장애보험제도(National Disability Insurance Scheme)에 관한 연구 = Australia’s National Disability Insurance Scheme : recent outcomes and satisfaction : 최근 성과 및 만족도를 중심으로 홍나리 p. 174-194

결혼이주여성의 인구사회학적 특성과 문화적 차이가 사회서비스 욕구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다층분석 = A multilevel analysis of the effects of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cultural differences on the need for social services of marriage migrant women 유승희 p. 195-209

청년층의 성장 지역과 대학 소재지 경로별 혼인 가능성의 차이 분석 = Differentials in marriage rates by the locations of growing-up and college in Korea : focusing on gender and regional differences : 성별과 지역 차이를 중심으로 김가현, 김근태 p. 210-225

자동차보험 의료 제도에 대한 임상의의 인식 = Clinicians’ perceptions of the car insurance medical system 박지선, 현은혜, 도영경 p. 226-240

원주민과 이민자의 첫 출산 패턴과 영향 요인 분석 = A study on natives and immigrants’ first birth patterns in South Korea and their influencing factors 임지영, 우해봉 p. 241-26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