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2023년 9월에 개정된 ‘교권 보호 4법’은 개정 법률과 조항의 수가 많고, 개별 법률 조항들이 서로 연결되어 있어서 종합적인 이해가 필요하다. 그러나 현장 교원과 예비교사, 학부모 등은 그 내용과 의미를 모르는 경우가 많다. 이에 이 연구에서는 교권 보호 4법의 주요 내용과 의미, 향후의 입법적ㆍ정책적 개선과제 등을 분석 및 제시하였다.

‘교권 보호 4법’의 의미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육공동체의 보호자로 학부모 역할 재정립 주문, 둘째, 악성 민원으로부터 교사 보호 시스템 구축의 법률적 근거 마련, 셋째, 무분별한 아동학대 사안 처리로부터 교권 보호, 넷째, 피해 교원 보호ㆍ회복 및 모든 학생의 학습권 보장 강화이다.

개정된 ‘교권 보호 4법’을 효과적으로 시행하고, 향후 교원의 교육활동 보호를 강화하기 위한 입법적ㆍ정책적 개선과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권 보호 4법과 「교원의 학생생활지도에 관한 고시」의 효과적인 시행을 위해 예산ㆍ인력ㆍ시설 등을 지원할 필요가 있다. 둘째, 「초ㆍ중등교육법」 제20조의2를 개정하여 「교원의 학생생활지도에 관한 고시」의 법률적 근거를 명확하게 할 필요가 있다. 셋째, 「교원지위법」의 전체적인 체계를 정비하고, 조문을 개선할 필요가 있다. 넷째, 교직 수행에 필요한 교육법규를 교직과목의 교직소양에 포함시켜야한다. 이를 통해 교원들이 스스로의 권한과 책임을 제대로 이해하고 자신을 지키며 교육활동 보호에 적절하게 대응하도록 지원해야 한다.

The revised “Four Laws on the Protection of Teachers' Education Rights” in September 2023 require comprehensive understanding due to the extensive changes in laws and provisions, often leaving field teachers, pre-service teachers, and parents unfamiliar with its content and significance. This paper elucidates the meaning of the revised acts, emphasizing the re-establishment of parental roles in the educational community, providing a legal foundation against malicious civil complaints, and enhancing protection for both teachers and students' right to learn.

To effectively implement the revised legislation and fortify the safeguarding of teachers' educational activities, key legislative and policy improvements are proposed. Firstly, the allocation of budget, manpower, and facilities should be supported for the efficient execution of the 'Four Laws on the Protection of Teachers' Rights' and the associated 'Notice on Teachers' Student Life Guidance.' Secondly, teaching qualifications should encompass educational laws and regulations necessary for effective teaching performance. This integration aims to empower teachers with a clear understanding of their authority and responsibilities, enabling them to protect themselves and respond adeptly to challenges in educational activities.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한국·일본·대만 교육기본법의 특징 비교와 입법 과제 = Comparison of features and legislative tasks of the fundamental law of education in Korea, Japan, and Taiwan 고전 p. 1-25

‘교권 보호 4법’ 개정의 의미와 교육활동 보호의 법적 과제 분석 = Analysis of the meaning and future tasks of the revision of the “four laws to protect teachers' education rights” 이덕난 p. 27-54

학교폭력 가해학생 분리조치 및 이행 지연의 쟁점과 과제 = A policy for separating victims from perpetrators of school violence : controversial issues and challenges 이덕난, 유지연 p. 55-83

새로운 교육 책무성 관점에서 학생지원 관련 법령과 정책분석 연구 = Research on student support-related laws and policies from a new educational accountability perspective 이상돈, 장덕호, 김소아, 김승혜 p. 85-115

생활지도는 어떻게 규율되어야 하나? = How should teachers’ guidance of student life be legally regulated? : critical analysis of 「the Ministry of Education’s Notice on Teachers’ Guidance of Student Life」 and it’s commentary : 「교원의 학생생활지도에 관한 고시」와 해설서 비판 이수경, 정필운 p. 117-141

교육과정편성권 연구 = A study on the right to organize the curriculum : education system centered on legalism : 교육제도 법정주의 중심으로 이일찬 p. 143-169

AI 디지털교과서 법령 현황 및 법적과제 = The status of AI digital textbook laws and legal challenges 정순원 p. 171-197

하버드대학의 적극적 우대조치 위헌 판결 분석 = The analysis of the U.S. Supreme Court’s opinion on Harvard College admissions policy : Powell 논리의 해석 변화 조석훈 p. 199-231

‘교권’의 해체와 대체 = Deconstructing and replacing the concept of ‘Gyo-gwon’ : 현행법상 개념 검토 및 재구성 제안 조우영 p. 233-25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