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이 연구의 목적은 학교폭력 피해학생으로부터의 가해학생 분리 법령 및 정책과 가해학생 조치에 대한 법적 쟁송 현황 등을 분석하고, 가해학생 분리 및 이행 지연의 쟁점 및 입법적·정책적 개선방안을 도출하는 데에 있다. 2020년부터 2022년까지 학교폭력 가해학생이 청구한 행정심판 및 행정소송의 본안 청구 건수는 모두 크게 증가하였으나, 인용률은 모두 낮아지고 있고 2022년에는 10% 내외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행정심판 및 행정소송의 집행정지 인용율은 약 50~60%로 높으며, 이는 피해학생의 피해를 제대로 고려하지 않은 채 가해학생의 학습권 보장에 기여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로 인한 쟁점 및 문제점으로는 법적 쟁송 등으로 피해학생 보호 미흡 및 가해학생 분리 집행 지연, 가해학생 조치의 학생부 기재 및 삭제의 실효성 약화, 출석정지ㆍ학급교체 및 교내·사회봉사 등의 분리·반성 효과 미흡 등이 지적된다. 이에 실태조사 결과와 법제 분석을 통해 도출된 문제점을 해소하고 가해학생 분리 등을 위한 개선방안을 다음과 같이 제시하였다. 첫째, 행정심판ㆍ행정소송 운영 개선 등 가해학생 불복 쟁송 기간 단축이다. 둘째, 학생부 기재 기간 확대 및 소송 종결 후 상급학교 입시 재반영 제도 도입이다. 셋째, 학급교체ㆍ출석정지 등 분리 조치 강화 및 실효성 제고가 필요하다.

This study aims to analyze laws and policies concerning the separation of offending students from victims of school violence. It identifies issues related to the separation process and delayed implementation. Additionally, the study explores potential legislative and policy improvements. Between 2020 and 2022, there was a significant increase in the number of administrative judgments and lawsuits filed by students accused of school violence. Surprisingly, during this period, the citation rate witnessed a steady decline, reaching approximately 10% by 2022. In contrast, the citation rate for execution suspension in administrative judgments and lawsuits remained high, hovering around 50-60%. This trend highlights a concern that, while prioritizing the perpetrator's right to education, the damage to the victim may not be adequately considered.

The identified issues stemming from this analysis include insufficient protection for victim students due to legal disputes, delays in separating and executing disciplinary actions for offending students, and shortcomings in managing student records and the efficacy of separation measures such as attendance suspension, class replacement, and school/social services. To address these challenges, the following improvement measures are proposed: (1) Shorten the appeals period for offending students by enhancing the efficiency of administrative judgments and litigation. (2) Extend the student record period and implement a system to consider disciplinary outcomes in higher school entrance exams even after legal proceedings conclude. (3) Strengthen segregation measures, such as class replacement and attendance suspension, and enhance their effectiveness.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한국·일본·대만 교육기본법의 특징 비교와 입법 과제 = Comparison of features and legislative tasks of the fundamental law of education in Korea, Japan, and Taiwan 고전 p. 1-25

‘교권 보호 4법’ 개정의 의미와 교육활동 보호의 법적 과제 분석 = Analysis of the meaning and future tasks of the revision of the “four laws to protect teachers' education rights” 이덕난 p. 27-54

학교폭력 가해학생 분리조치 및 이행 지연의 쟁점과 과제 = A policy for separating victims from perpetrators of school violence : controversial issues and challenges 이덕난, 유지연 p. 55-83

새로운 교육 책무성 관점에서 학생지원 관련 법령과 정책분석 연구 = Research on student support-related laws and policies from a new educational accountability perspective 이상돈, 장덕호, 김소아, 김승혜 p. 85-115

생활지도는 어떻게 규율되어야 하나? = How should teachers’ guidance of student life be legally regulated? : critical analysis of 「the Ministry of Education’s Notice on Teachers’ Guidance of Student Life」 and it’s commentary : 「교원의 학생생활지도에 관한 고시」와 해설서 비판 이수경, 정필운 p. 117-141

교육과정편성권 연구 = A study on the right to organize the curriculum : education system centered on legalism : 교육제도 법정주의 중심으로 이일찬 p. 143-169

AI 디지털교과서 법령 현황 및 법적과제 = The status of AI digital textbook laws and legal challenges 정순원 p. 171-197

하버드대학의 적극적 우대조치 위헌 판결 분석 = The analysis of the U.S. Supreme Court’s opinion on Harvard College admissions policy : Powell 논리의 해석 변화 조석훈 p. 199-231

‘교권’의 해체와 대체 = Deconstructing and replacing the concept of ‘Gyo-gwon’ : 현행법상 개념 검토 및 재구성 제안 조우영 p. 233-25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