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다와다 요코의 『헌등사』에서는 원자력 사고가 일어난 이후 생태계의 위기는 물론 배타적인 감시와 통제 사회로 변한 가상의 미래 일본 사회가 다루어진다. 동물의 멸종위기, 기형화된 인간, 물자 부족, 언어와 자유로운 이동의 통제 등 이 소설에는 디스토피아의 여러 면모가 발견된다. 또한 이러한 사회적 위기는 혈연가족과 이성애적 결혼에 기반을 둔 전통적인 가족 및 결혼 제도의 해체 위기 양상을 띠기도 한다. 그러나 다와다 요코는 이러한 디스토피아 사회의 이면에서 여전히 새로운 인간과 사회에 대한 유토피아적 꿈을 포기하지 않고 이를 작품에서 형상화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특히 가족 개념을 중심으로 이러한 가정을 입증하고자 한다.

본 논문에서는 우선 요시로에서 아마나와 도모를 거쳐 무메이에 이르는 4대의 일본인 가족에 나타나는 전통적인 가족 형태의 해체양상을 살펴본다. 다음으로 혈연가족과 이성애적인 결혼을 넘어서 다양한 유대관계를 맺고 서로를 돌보며 사회적 안전망을 추구하는 헌등사 조직을 통해 협소한 가족 개념에서 더 다양한 관계망 형성으로의 변화가 일어나고 있음을 확인한다. 마지막으로 이 작품에 나타난 인간과 동물의 관계 및 인간의 동물-되기 양상을 살펴보며, 이를 통해 문어와 거미가 촉수적 사유와 공-산의 메타포로 사용되고 있음을 보여준다. 이를 통해 다와다 요코가 전통적 가족의 협소한 관계망을 넘어 새로운 관계망을 형성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음이 드러날 것이다.

Im Roman Sendbo-o-te behandelt Yoko Tawada die ökologischen Katastrophe nach einem Unfall im Atomkraftwerks sowie die Probleme in der Überwachungsund Kontrollgesellschaft. In diesem Roman erscheinen bedrohte Tierarten, die Deformierung der Menschen, Mangel an Vorräten sowie die Kontrolle einer Fremdsprache und des freien Verkehrs. Diese Aspekte hinterlassen den Eindruck, dass es sich in diesem Roman um eine Dystopie handelt. Die gesellschaftliche Krise zeigt sich auch in der Auflösung der traditionellen Familienvorstellungen. Dennoch sollte man nicht übersehen, dass Tawada in diesem Roman auf die Möglichkeit der neuen Gesellschaft und des neuen Menschen anspielt und von einer utopischen Gesellschaft träumt. In der vorliegenden Arbeit zeige ich diese optimistische Seite des Romans vor allem in Bezug auf Tawadas neues Familienbild.

In der vorliegenden Arbeit gehe ich auf die Auflösung der traditionellen Familienvorstellungen und die Entstehung eines neuen Familienbilds ein, welche sich in den von Yoshiro und Marika bis Mumey reichenden vier Generationen feststellen lassen. Dabei distanziert sich Yoko Tawada von dem auf der heterosexuellen Heirat und Abstammung basierenden Familienbild, wobei die Sendboten-Vereinigung ein Modell für ein neues Beziehungsnetz bietet. Schließlich beschäftige ich mich mit dem Verhältnis von Tier und Mensch und mit dem Tier-Werden von Menschen in diesem Roman, wodurch ein postanthropozentrisches Familienbild entstehen kann.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독일 기업광고에 나타난 치매 담화 분석 = Eine Analyse des Demenz-Diskurses am Beispiel einer deutschen Firmenwerbung : Mit Fokus auf die konzeptuellen Metonymien : 개념적 환유를 중심으로 김근혜 p. 1-22

한국어와 독일어의 목적어 표시 차별화 현상 비교 연구 = Zur differenziellen Objektmarkierung im Koreanischen und Deutschen : Eine vergleichende Studie 신용민 p. 23-43

독일 문학 수업에서의 챗지피티 (ChatGPT) 활용 가능성 = Der Einsatz von ChatGPT im Seminar zur deutschen Literatur : 챗지피티와의 상호작용, AI 리터러시, 호기심을 중심으로 강채희 p. 45-80

문학 수업에서 작품 이해를 높이기 위한 챗지피티 (ChatGPT) 활용 = Einsatz von ChatGPT zur Förderung des Werkverständnisses im Literaturunterricht 홍구슬 p. 81-103

문학의 사회사와 물질성⋅매개성 연구 = Die Sozialgeschichte der Literatur: Materialität und Medialität : Medienbedingungen, Kulturtechnik, soziale Kommunikation und die Literaturgeschichte : 매체환경, 문화기술, 사회 커뮤니케이션과 문학사 김성화 p. 105-121

루이제 린저의 『생의 한가운데』 번역본에 대한 비평 = Eine Übersetzungskritk zu Luise Rinsers Mitte des Lebens 김연신 p. 123-150

리브레토 담론의 쟁점과 시학적 고찰 = Libretto im Diskurs : Kontroversen und ästhetische Reflexionen 서은주 p. 151-169

인간과 자연, 파괴와 소멸의 역사 = Mensch und Natur, die Geschichte der Zerstörung und des Verfalls : W.G. Sebalds Die Ringe des Saturn : 제발트의 『토성의 고리』를 중심으로 송희영 p. 171-191

첼란의 시 「시편 (Psalm)」의 ‘장미’ 연구 = ‘Die Rose’ Studie im Gedicht Psalm von Celan : In Verbindung mit “Die weisse Rose”, “Luthers Rose” und “Atombombenabwurf” : 백장미, 루터의 장미, 원폭 투하와 관련하여 안철택 p. 193-219

세기말 빈의 반유대주의와 오늘날의 혐오사회 = Antisemitismus und Hass : Eine Lektüre von Arthur Schnitzlers Professor Bernhardi mit zeitgenössischen Theateraufführungen : 동시대 연극을 통해 슈니츨러의 『베른하르디 교수』 다시 읽기 양시내 p. 221-254

전통적 가족의 해체와 새로운 관계망 형성 = Die Auflösung der traditionellen Familie und die Bildung eines neuen Beziehungsnetzes : Eine Studie zu Sendbo-o-te von Yoko Tawada : 다와다 요코의 『헌등사』 연구 최은아 p. 255-27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