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구조변화대응 등 특화훈련은 지역 산업구조 변화 등에 따라 지원 필요 대상 산업의 재직자, 실업자 등의 고용유지 및 이‧전직을 지원하기 위하여 요구되는 지역 노동시장 내의 훈련 직종을 파악하고, 적시에 필요한 현장 기반 훈련 공급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산업구조변화대응 등 특화훈련의 활성화를 위해서는 현재 운영 상 이슈와 현황을 확인하고, 이를 해소하기 위한 정책 고도화 방안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즉, 산업구조변화대응 등 특화훈련은 고유한 정책 방향과 목적을 설정하고 최종 수요자인 훈련생에게 도움이 되는 훈련으로 설계 및 운영되어야 한다. 따라서 이 연구의 목적은 전문가 대상 델파이 조사를 통해 산업구조변화대응 등 특화훈련의 정책 고도화 방안을 도출하는 것이다. 문헌연구를 통해 산업구조변화대응 등 특화훈련의 정책 고도화 영역을 국민내일배움카드제의 활용의 의의, 변화하는 스킬 요구 대응, 훈련 유형, 훈련 유형별 내용, 정책 효과성의 5가지로 구분하고, 델파이 조사지를 개발하였다. 델파이 조사지를 토대로 고용노동부, 직업능력개발 전문가, 지역인적자원개발위원회(RSC) 사무국 팀장 등 31명을 대상으로 델파이 조사 2회를 실시하여 산업구조변화대응 등 특화훈련 정책 고도화 방안을 도출하였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결과를 기초로 산업구조변화대응 등 특화훈련 사업의 활성화 방안과 향후 변화하는 스킬 요구에 대응하는 직업훈련 연구 방향에 시사점을 제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