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번호 | 참고문헌 |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
---|---|---|
1 | 강현주, 조대연(2017). 델파이 조사를 통한 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적자원개발 정책 방향 및 과제 탐색. HRD연구, 19(4), 1-34. | 미소장 |
2 | 강현주, 현영섭, 신현석, 장은하, 최지수, 권대봉(2017). 지역인재육성을 위한 인적자원개발정책 방향 탐색. 교육문화연구, 23(5), 5-38. | 미소장 |
3 | 고용노동부(2023). 2024년도 산업구조변화대응 등 특화훈련 운영기관 선정 결과 공고(고용노동부 공고 제2032-639호). | 미소장 |
4 | 고용노동부(2023). 산업구조변화대응 등 특화훈련 사업 운영 지침. 세종: 고용노동부. | 미소장 |
5 | 김경수(2017). 기업의 관점에서 본 4차 산업혁명 시대의 인적자원개발 정책 방향. 4차 산업혁명에 대응한 인적자원정책 설계 및 추진체계를 위한 전문가 포럼 자료집. 고려대 HRD정책연구소. | 미소장 |
6 | 김대중, 오영석, 왕서정(2018). 전문가 델파이 조사를 활용한 공공갈등 유형별 원인과 대응방안의 탐색적 연구. 한국정책과학학회보, 22(4), 23-57. | 미소장 |
7 | 김봄이, 임욱빈, 송진구(2017). 델파이 조사를 활용한 능력중심사회의 비전과 방향. 직업과 자격 연구, 6(2), 187-216. | 미소장 |
8 | 김주일, 성지미, 어수봉, 이우영, 이은영, 김우진, 박수연(2014). 지역산업 맞춤형 직업훈련체계의 교육프로그램과 지원 매뉴얼. 한국기술교육대학교 HRD연구센터. | 미소장 |
9 | 나동만, 정은진, 윤수린, 김유미, 박상오(2021). 산업구조 변화에 따른 노동이동 지원을 위한 직업훈련 방안 모색. 고용노동부, 한국직업능력연구원. | 미소장 |
10 | 노승용(2006). 델파이 기법 (Delphi Technique): 전문적 통찰로 미래예측하기. 국토, 53-62. | 미소장 |
11 | 문한나, 박상오(2023). 산업구조변화대응 등 특화훈련 고도화 방안 연구. 한국직업능력연구원. | 미소장 |
12 | 박경선, 배을규(2012). 보건교사의 역량모형 개발을 위한 델파이 연구. 한국학교보건학회지, 25(1), 1-12. | 미소장 |
13 | 백평구, 이재영(2021). 뉴노멀 시대 인적자원개발 분야의 변화와 인적자원개발 부서의 역할에 관한 델파이 연구. 인적자원개발연구, 24(3), 195-220. | 미소장 |
14 | 안선민, 오민지(2022). 직업훈련의 장기적 성과관리에 관한 연구: 일학습병행의 정책목표 및 장기성과 지표 개발 사례. 한국행정논집, 34(2), 121-150. | 미소장 |
15 | 이민욱, 김대영, 장현진, 이가영 (2020). 청년 일자리 미스매치 대응을 위한 4 년제 대학 교수의 진로지도 역량 요구 분석. 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 52(1), 1-29. | 미소장 |
16 | 이수경, 김봄이, 정란, 박연정(2022). K-Digital Training 신규 훈련유형별 모니터링을 통한 성과평가 및 개선방안 도출. 고용노동부, 한국직업능력연구원. | 미소장 |
17 | 이종성. (2001). 델파이 방법. 교육과학사. | 미소장 |
18 | 이찬, 최영준, 박혜선, 정보영, 전동원, 박연정(2012). 전략적 인적자원개발 활동수준 진단준거 개발. 기업교육과 인재연구, 14(2), 155-178. | 미소장 |
19 | 정은진, 나동만, 윤수린, 김유미, 박상오(2021). 고용위기 대응을 위한 직업훈련 혁신방안 연구: 지역인적자원개발위원회의 역할과 국민내일배움카드활용을 중심으로. 고용노동부, 한국산업인력공단, 동남권허브사업단, 한국직업능력연구원. | 미소장 |
20 | 정은진, 백원영, 이승봉, 김유미, 박상오(2022). 산업구조변화대응 등 특화훈련 성과분석 및 제도개선 방안 연구. 고용노동부, 한국직업능력연구원. | 미소장 |
21 | 정재호, 안우진, 박상오(2023). 지역인적자원개발위원회 10년의 성과와 과제. 한국직업능력연구원. | 미소장 |
22 | 조대연, 정홍인, 강현주, 이종민, 장은하, 최지수, 박선민(2019). 시나리오 기법을 활용한 4차 산업혁명시대의 미래 교육 방향 예측. 휴먼웨어 연구, 2(1), 81-105. | 미소장 |
23 | 주현(2023). 다시 찾아온 위기, 산업 대전환으로 극복하자. 나라경제 특집 1월호. | 미소장 |
24 | 한국산업인력공단(2022). 산업계 주도 청년 맞춤형 훈련사업 운영규칙. | 미소장 |
25 | 허영준, 박동열, 강서울(2015). 델파이 조사를 활용한 능력중심사회의 개념 설정 및 구성 요소 추출. 직업교육연구, 24(6), 53-71. | 미소장 |
26 | 현대경제연구원 (2017). 2017년 다보스 포럼의 주요 내용과 시사점: 소통과 책임의 리더십이 필요. 경제주평, 17(2), 1-13. | 미소장 |
27 | Lawshe, C. H. (1975). A quantitative approach to content validity. Personnel Psychology, 28, 563-575. | 미소장 |
28 | Tamayo, J. Doumi, L. Goel, S. Kovács-Ondrejkovic, O. & Sadun R. (2023). Reskilling in the Age of AI Five new paradigms for leaders—and employees. Harvard Business Reveiw, September-October. | 미소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정기간행물실(524호) / 서가번호: 대학02
2021년 이전 정기간행물은 온라인 신청(원문 구축 자료는 원문 이용)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