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본 연구는 대학생의 부정적 자기개념과 사회불안의 관계에서 타인 인정 추구와 정서표현 억제의 매개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실시되었다. 이를 위해 대학생 283명(남121, 여162)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단축판 역기능적 신념검사(SDBT), 승인동기 척도(RMLAM), 정서표현태도 척도(ATEE), 사회적상호작용불안 척도(SIAS)를 사용하였다. SPSS 25.0와 Process Macro를 통해 매개효과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생의 부정적 자기개념은 사회불안에 직접적인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부정적 자기개념은 타인 인정 추구, 정서표현 억제를 순차적으로 매개하여 사회불안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부정적 자기개념이 사회불안에 미치는 영향에서 타인 인정 추구와 정서표현 억제가 부분 이중 매개 하는 모형이 타당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부정적 자기개념이 사회불안을 예측하는 기제에서 타인 인정 추구와 정서표현 억제의 역할을 통합적으로 살펴보고 치료 표적을 제시하였다는 데서 학술적, 임상적 함의가 있다. 끝으로 본 연구의 주요 시사점 및 후속 연구에 대해 제언을 하였다.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델파이 조사를 활용한 산업구조변화대응 등 특화훈련 고도화 방안 연구 = A Delphi study on advancement of specialized training in response to industry structural changes 문한나, 박상오 p. 5-22

“AI 윤리와 교육” 관련 연구 동향 분석 = Research trends related to "AI ethics and education" 김철 p. 23-41

교수역량 강화를 위한 S대학 교원의 교육요구도 분석 = Analysis of educational needs of S university faculty to strengthen teaching competence : focusing on Borich need assessment and LF model : Borich 요구도와 LF모델을 중심으로 유영의, 장은정 p. 43-61

ESG 관점에서 교양교과목 개발 과정 = Development of liberal arts subjects from an ESG perspective : focusing on S university's liberal arts subject <Sustainable Future and Solution Design (Based on Cultural Contents)> : S대학 교양교과목 <(문화콘텐츠 기반) 지속가능한 미래와 솔루션 디자인>을 중심으로 전정옥 p. 91-111

대학생의 부정적 자기개념과 사회불안의 관계 = Relationship between negative self concept and social anxiety : the mediating effects of validation from others and suppression of emotional expression as sequential mediators : 타인인정추구와 정서표현억제의 순차 매개효과 박유림, 신효정 p. 113-132

한국 대학 중국인 유학생의 성공적 학습전략 탐구 = Exploring the learning strategies of academically successful Chinese students in a Korean university 소애진, 이수지, 정정훈 p. 133-155

중등 과학교사 직무수행 역량 강화를 위한 핵심역량 도출 = Derivation of core competencies to strengthen the job performance capabilities of secondary science teachers 김영준, 맹희주, 손연아 p. 157-185

MZ세대와 기성세대 간 초등교사의 직무만족도 및 영향요인 분석 = Differences in job satisfaction and influencing factors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between the MZ and the older generation 이문정, 김경리 p. 187-208

전문적 학습공동체 구축과 운영에 대한 근거이론적 모형 탐색 = A grounded theory study on building and operating a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y : focusing on the case of innovative elementary schools in Gyeongsangnam-do, Korea : 경상남도 행복나눔 초등학교 사례를 중심으로 김도헌, 박수억 p. 209-235

부모의 교육적 성공에 대한 인식 및 자녀에 대한 학업관여와 청소년의 심리적 분리 사이의 관계 = Relationships between parents' perceptions of educational success and intervention in their children's learning and adolescents' psychological separation 박수진, 김태한 p. 237-256

10대 남자 청소년의 페미니즘 인식 유형과 그 특성에 대한 연구 = A study on feminism perception types and characteristics of male teenagers 이수정, 김자영 p. 257-286

초기 청소년의 평일 및 주말 미디어 이용유형과 스마트폰 중독에 관한 연구 = Weekday and weekend media usage types and smartphone addiction among early adolescents : focusing latent profile analysis : 잠재적 프로파일 분석을 중심으로 김균희, 공수연 p. 287-309

온라인 육아 커뮤니티의 ‘영어유치원’ 담론 분석 = "English language kindergarten" discourse in online parenting communities : application of topic modeling and sentiment analysis : 토픽모델링과 감성분석의 적용 정옥경, 고온조, 김경근 p. 311-338

핵심역량 기반 교양교육과정 개선을 위한 학생과 교원의 인식차이 분석 = Differences in perception between students and faculties for improving the liberal arts curriculum based on core competencies : focusing on 'H' university : H대학교를 중심으로 박진희 p. 63-90

참고문헌 (85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국민건강보험공단(2017). 2016년 연령별 사회공포증 진료 인원수. 미소장
2 강이순, 김명식(2005). 여자 고등학생의 시험불안에 영향을 주는 인지특성에 관한 연구. 청소년상담연구, 05(2), 75-84. 미소장
3 권민혜, 이지연, 김혜원(2020). 대학생들이 지각한 아동기의 정서적 학대 및 방임경험, 정서표현 억제, 부적응적 갈등대처방식. Global Creative Leader: Education & Learning, 20(4), 163-193. 미소장
4 권소영, 곽자랑, 김비아, 이동훈(2019). 한국 대학생의 자기관과 감정표현불능증의 관계: 상호독립적 자기관 결핍에 따른 정서표현양가성 및 정서억제의 매개효과. 한국심리학회지: 문화 및 사회문제, 25(2), 101-118. 미소장
5 권소영, 김해진, 정선호, 이동훈(2023). 한국인의 문화적 자기관과 감정표현불능증의 관계: 세대에 의해 조절된 정서표현양가성 및 정서억제의 연속매개과정 모형. 한국심리학회지: 문화 및 사회문제, 29(2), 171-197. 미소장
6 김기남, 최보영(2017). 대학생의 평가염려 완벽주의가 사회불안에 미치는 영향: 내현적 자기애 및 자기침묵의 매개효과. 교육방법연구, 17(1), 121-141. 미소장
7 김나래, 이기학(2016). 대학생의 인정욕구와 사회불안의 관계: 정서표현 억제를 통한 정서인식명확성의 조절된 매개효과 검증.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16(4), 1217-1236. 미소장
8 김민정, 이동귀(2008). 대학생의 자존감과 심리적 부적응의 관계: 승인 욕구의 중재효과. 한국심리학회지 학교, 08(3), 289-304. 미소장
9 김상인(2022). 인정욕구에 대한 심리학적 해석을 통한 심리역동 상호성 연구. 인성교육연구, 22(1), 85-107. 미소장
10 김상희, 한기순(2017). 어머니의 심리적 통제가 초등 영재자녀의 사회불안에 미치는 영향: 부적응적 완벽주의와 인정욖를 매개로. 영재교육연구, 27(3), 277-297. 미소장
11 김성주, 이영순(2013). 대학생의 평가염려 완벽주의와 사회불안의 관계: 부정적 및 긍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과인지적 정서조절의 매개효과. 상담학연구, 13(3), 1919-1938. 미소장
12 김성주, 이영순(2016). 대학생의 성인애착과 사회불안의 관계: 역기능적 신념과 정서표현 양가성과 정서조절 곤란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재활심리연구, 16(4), 759-782. 미소장
13 김슬기, 장혜인(2014).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부족과 지각된 부모의 과보호가 불안에 미치는 영향: 과도한 재확인 추구의 매개효과. 한국심리학회지:건강, 19(4), 997-1017. 미소장
14 김연희(2013). 자기애 취약성이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타인인정추구와 자존감의 매개효과 검증. 카톨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미소장
15 김윤아(2017). 부적응적 자기초점주의와 사회불안의 관계: 정서조절곤란과 안전행동의 매개효과.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17(4), 2121-2134. 미소장
16 김은혜(2014). 정서표현 억제와 우울과의 관계에서 자기 구획화의 조절효과. 서울여자대학교 특수치료전문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미소장
17 김지형, 박경자(2010). 아동의 또래 인정욕구가 우울과 사회적 유능성에 미치는 영향-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 검증. 아동학회지, 10(1), 83-99. 미소장
18 김현주, 손은령(2022). 학교-직장 이행기 청년의 부정적 자기개념, 진로자기효능감, 직업가치관의 종단적 관계. 학습자중심 교과교육 연구, 22(13), 233-247. 미소장
19 김혜인, 신민섭, 김은정 (2012). 정서적 학대 경험과 성인기 심리적 부적응간의 관계: 정서 인식의 어려움과 정서표현 억제의 매개효과. 정서·행동장애연구 학술저널, 12(4), 353-380. 미소장
20 김화영, 박기환(2023). 부정적 및 긍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과 사회불안의 관계에서 재확인 추구의 매개효과. 인지행동치교, 15(1), 137-153. 미소장
21 박경진, 조한익(2014). 대학생의 완벽주의와 도움추구태도와의 관계에서 정서표현 억제의 매개효과. 인간이해, 35(1), 19-34. 미소장
22 박원주(2017). 정서억제가 우울 및 불안에 미치는 영향: 눈치의 조절효과. 상담학연구, 18(4), 47-63. 미소장
23 박은, 김정민(2017). 대학생의 부적응적 자기초점주의, 사회불안 및 우울 간의 관계 : 재확인 추구의 중재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22(3), 669-685. 미소장
24 박혜련, 손은정(2012). 대학생의 이성관계에서 거부민감성, 사회불안, 자기노출이 친밀감에 미치는 영향. 상담학연구, 12(3), 1083-1099. 미소장
25 배예슬(2015). 청소년의 애착불안과 섭식태도: 타인인정욕구의 매개효과. 홍익대학교 석사학위논문. 미소장
26 변경란, 김은정(2019). 부모의 심리적 통제와 행동억제 기질이 사회불안에 미치는 영향: 부정적 자기개념과 타인인정추구의 매개효과. 한국심리학회지: 임상심리 연구와 실제, 19(1), 91-115. 미소장
27 서지영, 유금란(2023). 거부민감성, 수치심, 타인인정욕구가 자기침묵에 미치는 영향. 인문사회21, 14(2), 1723-1736. 미소장
28 송병국, 박근수, 신성호, 이혜정(2016). 청소년의 발달 단계에 따른 대인관계, 성취압력, 부모지원이 학습동기에 미치는 영향. 청소년학연구, 23(5), 265-287. 미소장
29 신희수, 안명희(2013). 어머니의 심리적 통제가 대학생의 심리적 적응에 미치는 영향: 완벽주의와 인정욕구의 매개효과.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25(3), 621-641. 미소장
30 심예은, 최은실(2018). 아동의 행동억제기질과 사회불안 관계에서 양육행동과 정서표현 억제의 매개효과. 놀이치료연구, 22(2), 1-23. 미소장
31 오은혜, 노상선, 조용래(2009). 부정적인 사회적 자기 개념과 정서조절곤란이 대학생의 사회불안에 미치는 영향. 인지행동치료, 09(1), 75-89. 미소장
32 원영주, 조성호(2013). 자기초점적 주의가 사회적 상호작용 불안에 미치는 영향: 탈중심화의 매개효과. 인간이해, 12(2), 173-191. 미소장
33 원영호(2017). 뇌활용 마음깨움 교육과정 운영이 초등학생의 두뇌활용 능력 및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인성교육연구, 2(1), 56-80. 미소장
34 윤병주, 정봉교(2009). 행동억제와 행동활성 체계가 정서자각, 정서억제 및 정서표현을 매개로 한 대인관계에 미치는 효과. 상담학연구, 10(1), 219-233. 미소장
35 윤소영, 황성훈(2020). 임상심리학회 봄 학술대회 및 정기총회 포스터 발표. 미소장
36 이강아, 홍혜영(2013). 대학생의 공적 자의식과 사회불안의 관계에서 부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과 긍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의 매개효과. 상담학연구, 14(4), 2271-2290. 미소장
37 이미현, 김정규(2012). 청소년의 신체상이 사회불안에 미치는 영향: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청소년문화포럼, 31, 62-84. 미소장
38 이은경, 서은국(2009). 정서억제와 주관적 안녕감: 문화 비교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사회및성격, 23(1), 131-146. 미소장
39 이현주(2008). 대학생의 성별 및 사회불안 수준에 따른 진로개방성, 진로탐색활동, 진로정체감의 차이. 교육학연구, 46(1), 79-99. 미소장
40 임가영, 윤혜영, 권정혜(2015). 사회불안집단의 자기상에 따른 해석편향의 변화. 인지행동치료, 15(2), 269-290. 미소장
41 장애경,이지연(2011). 대학생의 평가염려 완벽주의와 우울, 불안간의 관계에서 타인에 의한 타당화 매개효과. 상담학연구, 11(3), 881-896. 미소장
42 장하연, 조용래(2018). 타인의 인정에 대한 과도한 요구 신념과 정서적 고통 감내력이 사회적 수행불안에 미치는 영향. 인지행동치료, 12(3), 299-313. 미소장
43 전혜경(2015). 어머니의 심리적 통제가 대학생의 성인애착에 미치는 영향: 인정욕구의 매개효과. 한국청소년연구, 26(3), 165-193. 미소장
44 전혜성, 홍구표(2017). 대학생의 SNS중독경향성과 대인관계문제 간의 관계: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보건복지포럼, 17(1), 34-67. 미소장
45 정문경, 오은주(2015). 청소년의 사회불안과 삶의 만족도간의 관계에서 정서억제와 지각된 사회적지지의 매개효과. 청소년학연구, 22(7), 335-361. 미소장
46 정승아, 오경자(2005). 자기 불일치가 사회불안에 영향을 미치는 기제: 자의식의 매개효과와 자기제시동기의 중재효과.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05(4), 887-901. 미소장
47 정한지(2015). 사회부과 완벽주의와 사회불안의 관계: 부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과 정서표현 양가성의 매개효과. 성신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미소장
48 최해연, 민경환(2007). 한국판 정서표현에 대한 양가성 척도의 타당화 및 억제 개념들 간의 비교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사회및성격, 21(4), 71-89. 미소장
49 한동헌, 조영아(2017). 대학생의 자기불일치가 사회불안에 미치는 영향: 타인인정욕구와 자존감 안정성의 매개효과. 재활심리연구, 24(3), 473-491. 미소장
50 허재홍, 조용래(2005). 자기 불일치와 사회불안이 대학생의 학업적응에 미치는 영향. 한국인지행동치료학회, 5(2), 85-100. 미소장
51 홍진수, 손재환, 구본호(2020). 대학생의 자기개념이 사회불안에 미치는 영향. 카리타스복지논총. 미소장
52 황가영(2014). 아동의 거부민감성과 인정욕구가 또래관계문제에 미치는 영향. 진주교육대학교 석사학위논문. 미소장
53 황연미(2009). 여대생과 기혼여성의 정서표현 억제 태도와 우울 및 전문적 도움 추구 태도의 차이. 한국심리학회지 여성, 14(1), 173-198. 미소장
54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2013).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 DSM-5 (5th Ed.).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미소장
55 Ayduk, O., Mendoza-Denton, R., Mischel, W., Downey, G., Peake, P. K., & Rodriguez, M.(2000). Regulating the interpersonal self: Strategic self-regulation for coping with rejection sensitivity.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79(5), 776–792. 미소장
56 Butler, E. A., Lee, T. L., & Gross, J. J.(2007). Emotion regulation and culture: Are the social consequences of emotion suppression culture-specific? Emotion, 7(1), 30–48. 미소장
57 Calvete & Cardenoso.(2005). Gender Differences in Cognitive Vulnerability to Depression and Behavior Problems in Adolescents. Journal of Abnormal Child Psychology, 33, 179–192. 미소장
58 Clark & McManus.(2002). Information processing in social phobia. Biological Psychiatry, 51(1), 92-100. 미소장
59 Clark, M. C., Nguyen, H. T., Bray, C., & Levine, R. E.(2008). Team-based earning in an undergraduate nursing course. Journal of Nursing Education, 47(3), 111-117. 미소장
60 Clark & Wells.(1995). Social phobia: A cognitive approach. In G. C. L. Davey (Ed.), Phobias: A handbook of description, treatment and theory, 3-26. Chichester,Sussex: Wiley. 미소장
61 Cynthia L. Turk, Richard G. Heimberg, Jane A. Luterek, Douglas S. Mennin,4 & David M. resco.(2005). Emotion Dysregulation in Generalized Anxiety Disorder: A Comparison with Social Anxiety Disorder. Cognitive Therapy and Research, 29(1), 89-106. 미소장
62 English & John.(2013). Understanding the social effects of emotion regulation: the mediating role of authenticity for individual differences in suppression. Emotion, 13(2), 314-329. 미소장
63 Farmer & Kashdan.(2013). Distinguishing healthy adults from people with social anxiety disorder: Evidence for the value of experiential avoidance and positive emotions in everyday social interactions. Journal of Abnormal Psychology, 122(3), 645–655. 미소장
64 Gross, J. J., & Levenson, R. W.(1993). Emotional suppression: Physiology, self-report, and expressive behavior.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64(6), 970–986. 미소장
65 Heimberg, Brozovich & Rapee.(2010). Chapter 15 - A Cognitive Behavioral Model of Social Anxiety Disorder: Update and Extension. Social Anxiety (Second Edition), 395-422. 미소장
66 Hirsch, C. R., Clark, D. M., Mathews, A., & Williams, R.(2003). Self-images play a causalrole in social phobia. Behaviour Research and Therapy, 41, 909-921. 미소장
67 Hofmann.(2007). Cognitive Factors that Maintain Social Anxiety Disorder: a Comprehensive Model and its Treatment Implications. Cognitive Behaviour Therapy, 36(4), 193-209. 미소장
68 John & Gross.(2009). The social costs of emotional suppression: A prospective study of the transition to college.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96(4), 883–897. 미소장
69 Joseph, Williams, Irwing & Cammok.(1994). The preliminary development of a measure to assess attitudes towards emotional expression. Personality and Individual Differences, 16(6), 869-875. 미소장
70 Kashdan & Breen.(2008). Social Anxiety and Positive Emotions: A Prospective Examination of a Self-Regulatory Model With Tendencies to Suppress or Express Emotions as a Moderating Variable. Behavior Therapy, 39(1), 1-12. 미소장
71 Kashdan & Steger.(2006). Expanding the Topography of Social Anxiety: An Experience-Sampling Assessment of Positive Emotions, Positive Events, and Emotion Suppression. Psychological Science, 17(2), 120-128. 미소장
72 Kernis, M. H., & Goldman, B. M.(2003). Stability and variability in self-concept and self-esteem. In M. R. Leary & J. P. Tangney (Eds.), Handbook of self and identity, 106-127. 미소장
73 Laura Campbell-Sills, David H Barlow, Timothy A Brown, Stefan G Hofmann.(2006). Effects of suppression and acceptance on emotional responses of individuals with anxiety and mood disorders. Behaviour Research and Therapy, 44(9), 1251-1263. 미소장
74 Lusia Stopa, Mike A. Brown, Michelle A. Luke & Colette R. Hirsch.(2010). Constructing a self: The role of self-structure and self-certainty in social anxiety. Behaviour Research and Therapy, 48(10), 956-965. 미소장
75 Makkar & Grisham.(2011). Social anxiety and the effects of negative self-imagery on emotion, cognition, and post-event processing. Behaviour Research and Therapy, 49(10), 654-664. 미소장
76 Mattick, R. P., & Clarke, J. C.(1998).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measures of social phobia scrutiny fear and social interaction anxiety. Behaviour Research and Therapy, 36, 455-470. 미소장
77 McLean, Miller, & Hope.(2007). Mediating Social Anxiety and Disordered Eating: The Role of Expressive Suppression. The Journal of Treatment & Prevention, 15(1), 41-54. 미소장
78 Parrish & Radomsky.(2010). Why do people seek reassurance and check repeatedly? An investigation of factors involved in compulsive behavior in OCD and depression. Journal of Anxiety Disorders, 24(2), 211-222. 미소장
79 Rapee, R. M., & Heimberg, R. G.(1997). A cognitive-behavioral model of anxiety in social phobia. Behaviour Research and Therapy. 35(8), 741-756. 미소장
80 Ryan & Riordan(2000). The Development of a Measure of Desired Moral Approbation. Educational and Psychological Measurement, 60(3), 448-462. 미소장
81 Schry & White.(2013). Understanding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anxiety and alcohol use in college students: A meta-analysis. Addictive Behaviors, 13(11), 2690-2706. 미소장
82 Sparrevohn & Rapee.(2009). Self-disclosure, emotional expression and intimacy within romantic relationships of people with social phobia. Behaviour Research and Therapy, 09(12), 1074-1078. 미소장
83 Strahan, E. Y.(2003). The effects of social anxiety and social skills on academic performance. Personality and Individual Differences, 34(2), 347–366. 미소장
84 Turner, Beidel, Dancu, & Keys.(1986). Psychopathology of social phobia and comparison to avoidant personality disorder. Journal of Abnormal Psychology, 95(4), 389–394. 미소장
85 Wei & Mallinckrodt.(2005). Attachment, Social Competencies, Social Support, and Psychological Distress.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52(3), 358–367.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