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대학생의 부정적 자기개념과 사회불안의 관계에서 타인 인정 추구와 정서표현 억제의 매개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실시되었다. 이를 위해 대학생 283명(남121, 여162)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단축판 역기능적 신념검사(SDBT), 승인동기 척도(RMLAM), 정서표현태도 척도(ATEE), 사회적상호작용불안 척도(SIAS)를 사용하였다. SPSS 25.0와 Process Macro를 통해 매개효과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생의 부정적 자기개념은 사회불안에 직접적인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부정적 자기개념은 타인 인정 추구, 정서표현 억제를 순차적으로 매개하여 사회불안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부정적 자기개념이 사회불안에 미치는 영향에서 타인 인정 추구와 정서표현 억제가 부분 이중 매개 하는 모형이 타당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부정적 자기개념이 사회불안을 예측하는 기제에서 타인 인정 추구와 정서표현 억제의 역할을 통합적으로 살펴보고 치료 표적을 제시하였다는 데서 학술적, 임상적 함의가 있다. 끝으로 본 연구의 주요 시사점 및 후속 연구에 대해 제언을 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