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경상남도 혁신학교라 할 수 있는 행복나눔 초등학교들의 전문적 학습공동체 구축 및 운영 경험을 근거이론적 연구방법을 통해 탐색하였다. 근거이론적 연구를 수행한 것은 실천현장에서 전문적 학습공동체 활동에 대한 축적된 운영경험 사례들을 이론적, 학술적으로 성찰하여 일반학교로 확산하려는 요구가 있어 왔기 때문이다. 본 연구는 경남의 10개 행복나눔 초등학교 중 전문적 학습공동체를 성공적으로 운영하는 세 학교를 선정하여, 현장탐방 및 심층면담, 포커스그룹 워크숍, 내용분석과 같은 질적 자료수집과 개방, 축, 선택코딩의 근거이론적 자료분석방법을 활용하여 연구를 수행하였다. 이를 통해 성공적인 전문적 학습공동체 구축과 운영의 현상, 개념, 범주 간 관계 이해를 위한 근거이론적 모형을 도출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 결과로 1) 성공적인 전문적 학습공동체 구축의 중심현상으로서 수업혁신과 전문성 개발을 넘어 교사 성장과 정체성 나눔, 2) 인과적 조건으로서 교사들의 자발적 의지와 교육철학의 공유, 3) 중재적 조건으로서 리더 역할과 리더십 분산, 3) 작용·상호작용 전략으로서 자율과 책무 간 리듬타기, 재맥락화, 체제화, 4) 맥락적 조건으로서 민주적 교사문화와 학교규모에 따른 다양한 접근, 6) 구축의 결과로서 내실 있는 교육과정과 수업, 교사 리더의 배출, 공동체 활동에 대한 긍정적 인식 형성 등을 도출하였고, 연구결과가 시사하는 바를 전문적 학습공동체에 관한 선행연구들과 연계하여 논의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