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본고는 중국인 학습자들의 한국어 이중모음 발화 양상을 종합적으로 고찰하고 이를 바탕으로 한국어 발음 교육에서 단모음 및 초성 자음에 비해 상대적으로 소홀히 다루어지고 있는 이중모음에 대한 접근 방식의 기초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실험 결과 중국인 학습자들은 y-계 상향 이중모음보다 w-계 상향 이중모음에서 오류가 많이 나타났다. 그리고‘활음+모음(GV)’구조보다는‘자음+활음+모음(CGV)’의 음절구조에서 오류율이 높게 나타났는데 특히 초성 자음에 공명음이나 양순음이 결합될 경우 오류율이 높았다. 한편 오류의 유형은 전반적으로 활음을 탈락시키는 오류가 가장 높게 나타나고 다음으로 이중모음을 두 개의 음절로 분리하여 발음하거나 단모음을 대치하여 발음하는 오류가 나타나는데 이는 한국어와 중국어의 이중모음 음절구조의 차이에서 기인하는 것으로 보인다. 즉, 음절핵에 선행하는 중국어의 활음이 음절화 과정에서 초성으로 인식되므로 한국어의 상향 이중모음을 발음할 때 활음을 탈락시키거나 두 개의 음절로 분리하여 발음하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숙달도에 따른 이중모음 실현율을 살펴보면, y-계 상향 이중모음의 경우 숙달도에 따라 오류율이 현저히 줄어든 반면 w-계 상향 이중모음의 경우 숙달도가 높아짐에도 불구하고 오류율이 상승하기도 하였다. 따라서 중국인 학습자에게 한국어 이중모음을 교육할 때 w-계 상향 이중모음의 지도에 좀 더 많은 주의를 기울일 필요가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중국인 학습자의 한국어 이중모음 발화 오류 양상 연구 = A study on the pronunciation errors of Korean diphthongs by Chinese learners 이화진 p. 5-26

한국어 사전에서의 뜻풀이 개선을 위한 종결어미 ‘-던데(요)’ 연구 = A study on the sentence-closing ending -deonde(yo) to improve definition sentence in Korean dictionary : using New Yonsei Corpus 4 : 새연세말뭉치4를 활용하여 오세원 p. 29-63
Teaching English stress in an EFL classroom = 교실에서의 영어 강세 지도 : 주제범위 문헌 고찰 : a scoping review Ye-Jee Jung, Hyuna Lee p. 69-94

한국어 학습자의 말하기 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조사 = Investigating factors affecting Korean language learners’ speaking efficacy : for Chinese learners for academic purposes : 학문 목적 중국인 학습자를 대상으로 왕욱요 p. 95-128

한국어 교수·학습을 위한 유의 관계 강조부사 연구 = The study of similar emphatic adverbs for teaching and learning of Korean language : focusing on corpus analysis : 말뭉치 분석을 중심으로 강다현, 이선웅 p. 129-157

순화어의 정착 원리에 따른 순화 정책 방안 = Refinement policy plan according to the settlement principle of refined words 문금현 p. 159-183

우즈베키스탄 교육기관 내 한국어교육 현안 및 전망 = Korean language education in educational institutions in Uzbekistan : current challenges and future prospects Sakhabutdinova Luiza Zoirovna p. 185-207

『우리말샘』에서의 제주방언 현황과 개선 방안 = The current state and improvement proposal for Jeju dialect in the Urimalsaem 신우봉 p. 209-241

언어 자원으로서의 케이팝 노랫말 활용을 위한 국어정보학적 모색 = Exploring Korean language informatics for the utilization of K-pop lyrics as linguistic resources 남신혜 p. 243-264

후기 형태 자기 피드백을 활용한 대학 글쓰기 수업 개선 방향에 관한 연구 = An study on the improvement of university writing class using self-feedback as a form of postscript 이원희 p. 265-302

전남·경남 접경 지대의 /ㅢ/와 방언 변이 = A study on the distribution and dialect changes of /ㅢ/ in the border between Jeonnam and Gyeongnam 하영우 p. 303-325

중국에서의 한국어 교육 연구 동향 분석 = An analysis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research trends in China : focusing on academic journal papers(Korea language in China) : 학술지 논문(중국조선어문)을 중심으로 왕서기, 김유미 p. 327-359

IPA와 어휘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한국어교육실습 수업 만족도 분석 연구 = A study of class satisfaction in Korean language teaching practicum : insights from IPA and lexical network analysis in non-face-to-face micro-teaching : 비대면 모의실습을 중심으로 황명환, 민진영 p. 361-389

신문 말뭉치에 나타난 도시명의 환유 해석 = The metonymic interpretation of the city names in newspaper corpus 김진웅, 강민지 p. 391-420

일반인 대상 동사 문법 사전의 가능성 = Exploring the feasibility of a verb construction dictionary targeting the general public : 『한국어 동사 사전』(2021)을 대상으로 김선혜 p. 423-44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