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번호 | 참고문헌 |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
---|---|---|
1 | Mearsheimer, John J. The Tragedy of Great Power Politics. New York:W. W. Norton & Company Inc, 2001. | 미소장 |
2 | Waltz, Kenneth. Theory of International Politics. New York: McGraw-Hill, 1979. | 미소장 |
3 | 김상배. “코로나19와 신흥안보의 복합지정학 : 팬데믹의 창발과 세계정치의 변환,” 『한국정치학회보』, 54권 4호(2020), pp.53-81. | 미소장 |
4 | 김일수. “트루먼과 아이젠하워 행정부의 對한반도정책 - 군사원조를 중심으로 -,” 『군사연구』, 137호(2014), pp.315-343. | 미소장 |
5 | 김태진. “포괄안보 관점의 국가위기관리와 국가방위 요소간의 관계 연구 - 통합방위의 원칙, 문제, 그리고 대안을 중심으로 -,” 『융합보안 논문지』, 22권 5호(2022), pp.115-126. | 미소장 |
6 | 박영준. “냉전기 주요 핵보유국의 핵개발 전개과정 비교: 미국, 소련, 중국의 핵전략 및 핵지휘체제 변화를 중심으로,” 『국방정책연구』, 31권 3호(2015), pp.37-59. | 미소장 |
7 | 반길주. “동아시아 공세적 해양주의 : 공격적 현실주의 이론과 동북아 4강의 해양전략,” 『전략연구』, 통권 81호(2020), pp.103-135. | 미소장 |
8 | 반길주. “미중 패권전쟁의 충분조건 분석 : 결정론적 구조주의 한계 보완을 위한 행위적 촉발요인 추적,” 『국제정치논총』, 60집 2호(2020), pp.7-51. | 미소장 |
9 | 반길주. “중견국 이론 정교화 : 구조적 접근과 한국의 중견국 정치,” 『한국과 국제정치』, 36권 2호(2020), pp.37-72. | 미소장 |
10 | 반길주. “냉전과 신냉전 역학비교 : 미·중 패권경쟁의 내재적 역학에 대한 고찰을 중심으로,” 『국가안보와 전략』, 21권 (2021), pp.7-59. | 미소장 |
11 | 반길주. “신냉전기 구조(structure)-행위(action) 연계역학 고찰 : 미국의 해양전략 변화추이와 대중국견제 전개양상,” 『동서연구』, 33권 3호(2021), pp.93-120. | 미소장 |
12 | 반길주. “미중 전략적 경쟁과 동맹의 융합지정학: 쿼드와 오커스 동맹의 함의,”『국제·지역연구』, 31권 1호(2022), pp.31-61. | 미소장 |
13 | 반길주. “신냉전 시대 인도-태평양전략과 해양안보 : 상관역학 분석 및 사례추적,” 『한국국가전략』, 8권 3호(2023), pp.7-35. | 미소장 |
14 | 반길주. “신냉전기 동맹 결속력 강화의 추동요인 추적 : 70주년 맞은 한미동맹강화의 구조적 배경 고찰,” 『전략연구』, 30권 3호(2023), pp.7-35. | 미소장 |
15 | 반길주. “신냉전 시대 한국의 외교전략과 한미일 융합외교,” 『신아세아』, 30권3호(2023), pp.5-31. | 미소장 |
16 | 반길주. “한미일 신안보아키텍처 출범 추동체 추적 : 북핵과 신냉전의 복합연계,” 『국제학논총』, 38집(2023), pp.195-221. | 미소장 |
17 | 반길주. “한미일 신안보아키텍처 출범 추동체 추적 : 북핵과 신냉전의 복합연계,” 『국제학논총』, 38집,(2023), pp.195-221. | 미소장 |
18 | 반길주. “신냉전 시대 국제정치 유형학 : 중견국 외교 담론 적실성과 한국의 선진강국 국제정치 고찰,” 『국가와 정치』, 30권 1호(2024), pp.1-37. | 미소장 |
19 | 봉근주. “쿠바 미사일사태 고찰과 북핵 위기의 시사점,” 『한국국가안보·국민안전학회지』, 15호(2022), pp.33-56. | 미소장 |
20 | 이다선·지성태. “식량안보 중심의 신흥안보와 지속가능발전목표(SDGs) 간 연계성 분석,” 『국가안보와 전략』, 23권 2호(2023), pp.37-71. | 미소장 |
21 | 이상현·이대성. “국가보안법의 개정을 위한 제언: 포괄적 안보개념을 중심으로,” 『통일정책연구』, 16권 2호(2007), pp.97-121. | 미소장 |
22 | 이재영. “미·중 신흥안보 전략적 경쟁: 환경·보건안보 체제 경쟁사례를 중심으로,” 『국가전략』, 28권, 4호(2022), pp.5-33. | 미소장 |
23 | 이재은. “국가안보 환경의 변화와 국가위기관리: 포괄적 안보 개념 하에서의 국가위기 유형,” 『Crisisonomy』, 9권 2호(2013), pp.177-198. | 미소장 |
24 | 윤정현·이경숙. “신흥안보 위험과 남북협력 방안 모색,” 『국제정치논총』, 60권2호(2020), pp.133-165. | 미소장 |
25 | 윤정현. “신흥안보 관점에서 본 코로나19와 대안적 거버넌스,” 『사회과학연구』, 34권 2호(2022), pp.61-94. | 미소장 |
26 | 윤정현·이수연. “사이버 평화론에 대한 소고: 신흥안보 시대의 대안적 접근,”『정치·정보연구』, 26권 1호(2023), pp.1-28. | 미소장 |
27 | 장성일. “해상수송로 안보와 미국의 외교정책: 레이건 행정부의 쿠웨이트 유조선 군사적 보호 결정,” 『한국과 국제정치』, 38권 2호(2022), pp.31-60. | 미소장 |
28 | 전윤재. “냉전 초 호주-영국 간 군사협력의 쇠퇴와 동맹 안보 딜레마 : 1950∼60년대 말레이시아 관련 군사개입 사례를 중심으로,” 『아세아연구』, 66권 3호(2023), pp.239-268. | 미소장 |
29 | 전용국·김원대. “포괄안보 개념하 군(軍)의 국가재난안전관리 역할강화방안연구: 군 간부들의 재난안전관리 역량 강화를 중심으로,” 『국방정책연구』, 32권 2호(2016), pp.125-150. | 미소장 |
30 | 지효근. “포괄안보 시대 한국의 해외파병 발전방안 연구,” 『국방정책연구』, 37권 2호(2021), pp.7-36. | 미소장 |
31 | Acharya, Amitave. “Power Shift or Paradigm Shift? China’s Rise and Asia’s Emerging Security Order,” International Studies Quarterly, Vol. 58, No. 1(2014), pp.158-173. | 미소장 |
32 | Akaha, Tsuneo. “Japan’s Comprehensive Security Policy: A New East Asian Environment,” Asian Survery, Vol. 31, No. 4(1991), pp.324-340. | 미소장 |
33 | Art, Robert J. “A Defensible Defense: America’s Grand Strategy after the Cold War,” International Security, Vol. 15, No. 4(1991), pp.5-53. | 미소장 |
34 | Bidwai, Praful. “Towards a New Paradigm: Comprehensive Security, Weapons of Mass Destruction, and Biological Weapons,” Politics and the Life Sciences, Vol. 18, No. 1(1999), pp.109-111. | 미소장 |
35 | Biggs, Adam and Rees Lee. “The Role of the human operator in the third offset strategy,” Naval War College Review, Vol. 71, No. 3(2018), pp.96-120. | 미소장 |
36 | Chernoff, Fred. “Ending the Cold War: The Soviet Retreat and the US Military Buildup,” International Affairs, Vol. 67, No. 1(1991), pp.111-126. | 미소장 |
37 | Faust, John R. “EAST ASIA’S EMERGING SECURITY SYSTEM,” The Journal of East Asian Affairs, Vol. 8, No. 1(1994), pp.56-89. | 미소장 |
38 | He, Kai. “The hegemon’s choice between power and security: explaining US policy toward Asia after the Cold War,” Review of International Studies, Vol 36, No. 4(2010), pp.1121-1143. | 미소장 |
39 | Khan, Ahmad, Irteza Imam, and Adeela Azam. “Role of Artificial Intelligence in Defence Strategy: Implications for Global and National Security,” Strategic Studies, Vol 41, No. 1 (2021), pp.19-40. | 미소장 |
40 | Kelemen, Miroslav, Pavel Nečas, Stanislav Križovsky, and Lucia Mesarošova. “The Comprehensive Approach: An Effective Tool in the Pursuit of National Security and Defense Interests?”Connections, Vol. 9, No. 2(2010), pp.79-88. | 미소장 |
41 | Lundestad, Geir. “‘Imperial Overstretch’, Mikhail Gorbachev, and the End of the Cold War,” Cold War History, Vol. 1, No. 1(2010), pp.1-20. | 미소장 |
42 | Puhl, Detlef. “Emerging Security Challenges: An Introduction,” Connections, Vol. 15, No. 2(2016), pp.5-7. | 미소장 |
43 | Sakai, Hidekazu. “The End of Comprehensive Security? The Evolution of Japanese Security Policy in the post-September 11-Terrorism World,” Indian Journal of Asian Affairs, Vol. 16, No. 1/2(2003), pp.71-98. | 미소장 |
44 | Snyder, Glenn H. “Mearsheimer’s World- Glenn H. Snyder Offensive Realism and the Struggle for Security,” International Security, Vol. 27, No. 1(2002), pp.149-173. | 미소장 |
45 | Swain, Ashok. Understanding Emerging Security Challenges Threats and Opportunities, Routledge, 2013. | 미소장 |
46 | Taliaferro, Jeffrey W. “Security Seeking under Anarchy: Defensive Realism Revisited,” International Security, Vol 25, No. 3(Winter 2000-2001), pp.28-161. | 미소장 |
47 | 대한민국 대통령실, “尹 정부의 「자유, 평화, 번영의 인도-태평양 전략」최종보고서 발표,” 2022년 12월 28일, https://www.president.go.kr/newsroom/press/HC81lhZw(검색일: 2024년 1월 4일). | 미소장 |
48 | 반길주. “새로운 소다자 아키텍처 출범 : 캠프 데이비드 한미일 정상회의 의미와 성과,” 『대한민국정책브리핑』, 2023년 8월 21일, https://www. korea.kr/news/contributePolicyView.do?newsId=148919164&page Index=1(검색일: 2024년 3월 1일) | 미소장 |
49 | 반길주. “해상교통로와 新냉전 복합위기, 해양전략 전환 기점,” 『파이낸셜뉴스』, 2024년 1월 5일.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14/0005123923?sid=100(검색일: 2024년 1월 12일). | 미소장 |
50 | 유영규. “신냉전 격랑 속 세계 군비지출 ‘역대 최고’…한국 9위,” 『SBS 뉴스』, 2023년 4월 24일, https://news.sbs.co.kr/news/endPage.do?news_id=N1007165524&plink=COPYPASTE&cooper=SBSNEWSEND (검색일: 2024.1.12.). | 미소장 |
51 | 조성하. “러 외무 “국제 정세, 신냉전 아닌 다극 체제로 전환 중”,” 『NEWSIS』, 2023년 7월 12일, https://www.newsis.com/view/?id=NISX20230712_0002373908&cID=10101&pID=10100(검색일: 2024년 1월 3일). | 미소장 |
52 | 최소망. “北, 중·러와 밀착하며 국제질서 ‘다극화’ 주장…“막을 수 없는 추세”,”『NEWS1』, 2023년 9월 27일, https://www.news1.kr/articles/?5183866(검색일: 2024년 1월 3일). | 미소장 |
53 | NAVER 국어사전. https://ko.dict.naver.com/#/main(검색일: 2023년 8월15일). | 미소장 |
54 | Calhoun, Martin. “U.S. Military Spending, 1945-1996,” Center for Defense Information, 1996, http://academic.brooklyn.cuny.edu/history/johnson/milspend.htm(accessed: January 12, 2024). | 미소장 |
55 | Cambridge Dictionary. https://dictionary.cambridge.org/(accessed :August 15, 2023). | 미소장 |
56 | WESF. https://wesforum.or.kr/conceptnote/(accessed: January 4, 2024). | 미소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정기간행물실(524호) / 서가번호: 국내02
2021년 이전 정기간행물은 온라인 신청(원문 구축 자료는 원문 이용)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