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확실한 미래, 미래창발적 비전을 갖자
|
임현진
|
p. 8-9
|
|
보기
|
|
증폭되는 경제·사회 불확실성 2024년 당면과제와 해법은 [좌담]
|
[좌담]: 백광엽, 박인휘, 서중해 ; 진행: 문명재
|
p. 12-17
|
|
보기
|
|
소멸위험지역 통합과 초광역권 형성 : 지방소멸
|
박경현
|
p. 18-19
|
|
보기
|
|
고물가·고금리·고부채 경제 불안의 삼박자 : 경제위기
|
정규철
|
p. 20-21
|
|
보기
|
|
재글로벌화 시대 공급망 재편의 중요성 : 공급망 리스크
|
김동수
|
p. 22-23
|
|
보기
|
|
안정적 주택공급과 임대차 시장 선진화 : 부동산 문제
|
이수욱
|
p. 24-25
|
|
보기
|
|
생성형 AI가 넘어야 할 과제 : AI윤리
|
이경선
|
p. 26-27
|
|
보기
|
|
국가의제와 이머징 이슈 : 대전환기의 방향과 전략 : 2024 국가의제연구단
|
황창호
|
p. 28-29
|
|
보기
|
|
대전환기, 데이터 기반 미래 예측과 국가의제 : 2024 대한민국 미래전망대회
|
박정민
|
p. 30-31
|
|
보기
|
|
주요 부문별 글로벌 이슈 진단과 제언 : 2024 NRC 글로벌 이슈 워크숍
|
유종훈
|
p. 32-33
|
|
보기
|
|
복합위기와 대전환의 시대, 미래 비전 그리는 국가 싱크탱크 역할 해야 : 정해구 경제·인문사회연구회 이사장 [인터뷰]
|
정해구 [인터뷰이] ; 홍일표 [취재]
|
p. 36-43
|
|
보기
|
|
경제·인문사회연구회 25년의 회고와 전망
|
김인수
|
p. 44-45
|
|
보기
|
|
리딩 싱크탱크로 도약을 위한 국가연구체제의 발전 전략 제안
|
김권식
|
p. 46-47
|
|
보기
|
|
디지털 전환을 위한 세계, 대한민국, 그리고 연구회의 준비
|
최재녕
|
p. 48-49
|
|
보기
|
|
지역의 미래를 여는 광주정책연구회 출범
|
최치국
|
p. 50-51
|
|
보기
|
|
지속가능한 협력생태계 조성을 위한 국제협력
|
이지예
|
p. 52-53
|
|
보기
|
|
한-아프리카 상생발전과 개발협력 방안 : 2023 글로벌 코리아 포럼(GKF)
|
김은주
|
p. 54-55
|
|
보기
|
|
국경을 넘는 연구협력 : 한국-인도네시아 협력의 초석 마련
|
자헨 파흐룰 레제키
|
p. 56-57
|
|
보기
|
|
노르웨이의 연구윤리 거버넌스와 NESH
|
비다르 에네박
|
p. 58-59
|
|
보기
|
|
기회발전특구 추진을 통해 지역경제 활성화 돌파구를 찾다
|
이서희
|
p. 62-63
|
|
보기
|
|
현실에 안주하지 않고 사회변화에 기민하게 반응하는 연구자들 [대담]
|
조재한, 김용 [대담]
|
p. 64-69
|
|
보기
|
|
인공지능법의 새로운 지평을 향하여 : 제4차 NRC-KAIST 공동 심포지엄
|
박도현
|
p. 70-71
|
|
보기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