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이 연구는 최근 의과대학에서 논의되고 있는 통합 6년제 학제 개편에 대한 구성원의 의견을 수렴하여 학제 개편의 필요성과 효과성, 예상 쟁점 사항 등을 검토하는 데에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하여 의과대학 학제 관련 국내외 사례를 바탕으로 FGI 문항을 구성하고, 의과대학 및 의학 계열 소속 교원 10인과 학생 4인을 대상으로 인터뷰를 진행하였다. 인터뷰 결과 연구참여자들은 통합 6년제로의 학제 개편을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통합 6년제는 현행 2+4 학제에서 지적되는 의예과-의학과 간 분절된 교육과정, 학습 동기 저하와 학습 부담 증가, 임상의로 편중된 진로선택 등의 문제를 완화할 수 있을 것이라는 기대효과가 확인되었다. 통합 6년제 전환 시 예상되는 쟁점 사항으로는 편입학생 교육, 의사과학자 양성체제, 교육과정의 적합성 문제 등이 제시되었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의과대학의 통합 6년 학제 개편에 대한 실천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의과대학 통합 6년제 학제 개편에 대한 인식 연구 = A study on perceptions of the reform towards a 6-year integrated medical education system 박규미, 송해덕, 홍아정, 손다운, 한수진, 전호성 p. 1-32

상사의 임파워링 리더십이 사무직 근로자의 직무배태성에 미치는 효과 = The effect of supervisor’s empowering leadership on office worker’s job embeddedness : focusing on the mediating roles of affect-based trust and job crafting : 정서적 신뢰와 잡 크래프팅의 매개효과 분석 황두성, 박지원 p. 33-63
잠재 프로파일 분석(LPA)을 활용한 과학기술 분야 재직자의 경력 정체 유형에 관한 연구 = Identifying latent profiles in career plateau of employees in the science and technology using latent profile analysis 임경애, 이윤수 p. 65-94
글로벌 100대 기업의 조직 가치 및 비전이 한국 대학의 인재 양성에 주는 시사점 = Implications from the organizational values and vision of the top 100 global companies for Korean higher education 배상훈, 전수빈, 조성범, 권은비, 전지혜, 김혜연 p. 95-129

중소기업 근로자의 조직기반 심리적 주인의식과 직무기반 심리적 주인의식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s of job-based and organization-based psychological ownership on turnover intention among SME workers : focusing on the mediating role of employee engagement : 직원몰입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장상아, 조현정, 김우철 p. 131-164
마이크로 매니지먼트 측정도구 타당화 연구 = A validation study of micromanagement measurement 허재윤, 임경애, 이윤수 p. 165-189
중소기업의 공유가치 창출(CSV) 활동과 기업의 사회적 지위 인식, 성장 마인드셋, GRIT 간의 구조적 관계 =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SMEs' creating shared value activities, recognizing corporate social status, growth mindset, and GRIT : verification of mediating effect of recognizing corporate social status & growth mindset : 기업의 사회적 지위 인식과 성장 마인드셋의 매개효과 검증 송영선, 이연주, 전은지 p. 191-217
캡스톤 디자인의 유형별 교수설계 메타분석 = Meta-analysis on capstone design instruction 곽진우, 홍아정 p. 219-246
초등학교 수석교사의 직무역량모델 개발 = Development of a job competency model for the master teachers in primary schools 김수영, 전주성 p. 247-26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