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이 연구는 최근 의과대학에서 논의되고 있는 통합 6년제 학제 개편에 대한 구성원의 의견을 수렴하여 학제 개편의 필요성과 효과성, 예상 쟁점 사항 등을 검토하는 데에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하여 의과대학 학제 관련 국내외 사례를 바탕으로 FGI 문항을 구성하고, 의과대학 및 의학 계열 소속 교원 10인과 학생 4인을 대상으로 인터뷰를 진행하였다. 인터뷰 결과 연구참여자들은 통합 6년제로의 학제 개편을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통합 6년제는 현행 2+4 학제에서 지적되는 의예과-의학과 간 분절된 교육과정, 학습 동기 저하와 학습 부담 증가, 임상의로 편중된 진로선택 등의 문제를 완화할 수 있을 것이라는 기대효과가 확인되었다. 통합 6년제 전환 시 예상되는 쟁점 사항으로는 편입학생 교육, 의사과학자 양성체제, 교육과정의 적합성 문제 등이 제시되었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의과대학의 통합 6년 학제 개편에 대한 실천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의과대학 통합 6년제 학제 개편에 대한 인식 연구 = A study on perceptions of the reform towards a 6-year integrated medical education system 박규미, 송해덕, 홍아정, 손다운, 한수진, 전호성 p. 1-32

상사의 임파워링 리더십이 사무직 근로자의 직무배태성에 미치는 효과 = The effect of supervisor’s empowering leadership on office worker’s job embeddedness : focusing on the mediating roles of affect-based trust and job crafting : 정서적 신뢰와 잡 크래프팅의 매개효과 분석 황두성, 박지원 p. 33-63
잠재 프로파일 분석(LPA)을 활용한 과학기술 분야 재직자의 경력 정체 유형에 관한 연구 = Identifying latent profiles in career plateau of employees in the science and technology using latent profile analysis 임경애, 이윤수 p. 65-94
글로벌 100대 기업의 조직 가치 및 비전이 한국 대학의 인재 양성에 주는 시사점 = Implications from the organizational values and vision of the top 100 global companies for Korean higher education 배상훈, 전수빈, 조성범, 권은비, 전지혜, 김혜연 p. 95-129

중소기업 근로자의 조직기반 심리적 주인의식과 직무기반 심리적 주인의식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s of job-based and organization-based psychological ownership on turnover intention among SME workers : focusing on the mediating role of employee engagement : 직원몰입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장상아, 조현정, 김우철 p. 131-164
마이크로 매니지먼트 측정도구 타당화 연구 = A validation study of micromanagement measurement 허재윤, 임경애, 이윤수 p. 165-189
중소기업의 공유가치 창출(CSV) 활동과 기업의 사회적 지위 인식, 성장 마인드셋, GRIT 간의 구조적 관계 =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SMEs' creating shared value activities, recognizing corporate social status, growth mindset, and GRIT : verification of mediating effect of recognizing corporate social status & growth mindset : 기업의 사회적 지위 인식과 성장 마인드셋의 매개효과 검증 송영선, 이연주, 전은지 p. 191-217
캡스톤 디자인의 유형별 교수설계 메타분석 = Meta-analysis on capstone design instruction 곽진우, 홍아정 p. 219-246
초등학교 수석교사의 직무역량모델 개발 = Development of a job competency model for the master teachers in primary schools 김수영, 전주성 p. 247-267

참고문헌 (53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교육부(2023. 7. 3). 대학 안팎의 경계를 허물고 첨단분야 융합인재 10만명 양성한다[보도자료]. https://blog.naver.com/moeblog/223145247947 미소장
2 권형규(2004). 모듈화된 가상의과대학 과정 개발. 한국의학교육, 16(2), 195-205. 미소장
3 김건희(2019. 9. 24). 의전원 출신이 ‘전문의’ 포기하는 이유. 동아일보. https://www.donga.com/news/Society/article/all/20190924/97556061/1 미소장
4 김나형, 조종선, 김현철(2021). 의사과학자 현황 및 육성을 위한 제언: 3대 죽음의 계곡에 다리놓기. 한국보건산업진흥원. 미소장
5 김도환, 최영휴, 한상윤, 신좌섭, 이승희(2017). 의과대학 선택교육과정의 운영절차와 만족도 평가. 의학교육논단, 19(2), 90-100. https://doi.org/10.17496/kmer.2017.19.2.90 미소장
6 김선영(2013. 6. 26). 의전원은 '줄고' 의대 학사편입은 '늘고' 의예과 선발·학사편입학 부활관심 급증. 데일리메디. https://www.dailymedi.com/news/news_view.php?wr_id=768672 미소장
7 김은경, 조대연(2022).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역량 개념에 대한 탐색. 역량개발학습연구, 17(1), 1-28. 미소장
8 김정아, 이화영, 박영미, 이희정(2020). 의과대학 학생의 의예과 교육과정에 대한 인식에 관한 질적 연구. The Ewha Medical Journal, 43(1), 12-18. https://doi.org/10.35873/ajmahs.2017.7.2.073 미소장
9 김진희, 이영환, 박원균, 박영순, 박혜진, 천경희(2015). 융합인재교육 이론모형 틀에 기반을 둔 통합의료인문학 교육과정 이론모형의 제안. 의학교육논단, 17(1), 39-48. https://doi.org/10.17496/kmer.2015.17.1.39 미소장
10 김혜원, 안신기(2021).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학습공동체 교육과정 개발 및 운영 분석.의학교육논단, 23(3), 194-203. https://doi.org/10.17496/kmer.2021.23.3.194 미소장
11 노혜린, 윤태영, 채수진, 김석용, 정은경, 박소영, 이영미, 박창신, 박지영(2020). 의사양성 학제 개편에 관한 연구. 대한의사협회 의료정책연구소. 미소장
12 박시운, 채수진, 이상엽, 한기준, 원영준(2021). 의과대학 조기임상경험의 성찰일지 내용 분석. 교양교육연구, 15(5), 157-167. https://doi.org/10.46392/kjge.2021.15.5.157 미소장
13 박훈기(2003). 가정의학과 임상실습교육에 의한 의과대학 3학년 학생의 가정의학과 선호도향상 효과. 가정의학회지, 24(5), 444-450. 미소장
14 백두산(2023. 6. 28). 의대, 2+4에서 통합 6년제 가능해져…대학 내 장벽 허물기 촉진. 한국대학신문. https://news.unn.net/news/articleView.html?idxno=548994. 미소장
15 신좌섭(2006). 의학전문대학원 제도 추진경과에 대한 고찰. 한국의학교육, 18(2), 121-132. 미소장
16 안덕선, 한희진(2018). 우리나라 의사양성체제의 역사와 미래. 의학교육논단, 20(2), 65-71. https://doi.org/10.17496/KMER.2018.20.2.65 미소장
17 양서우, 정삼철, 설영훈, 남윤명, 조진희, 김미옥, 이유환, 허진아(2020). 의사과학자(MD-PhD) 양성 체계 개선 방안. 충북연구원. 미소장
18 양은배, 맹광호(2014). 미래 의학교육을 위한 다섯 가지 제언. 한국의학교육, 26(3), 167-178. http://dx.doi.org/10.3946/kjme.2014.26.3.167 미소장
19 양흥권(2011). 실천공동체 (CoP) 의 학습 분석틀 구성 연구. 역량개발학습연구, 6(4), 41-59. 미소장
20 여상희(2018). 외국 의과대학에서의 장기추적통합임상실습 개발과 운영사례. 의학교육논단, 20(1), 6-14. https://doi.org/10.17496/KMER.2018.20.1.6 미소장
21 예병일(2017). 한국의 의예과 교육: 무엇이 문제이고 무엇이 해법인가? 의학교육논단, 19(3), 121-128. https://doi.org/10.17496/kmer.2017.19.3.121 미소장
22 오지혜(2021. 9. 28). 의사과학자 '가뭄'… 정부서 통합지원 '단비' 내려야 한다. 메디소비자뉴스. https://www.medisobiza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81664 미소장
23 윤보영(2019). 6년제 의과대학 학제 개편 논의에 대한 제언. 의료정책포럼, 17(1), 64-69. 미소장
24 윤보영, 최익선, 김세진, 박효진, 주현정, 이병두, 이종태(2015). 한국에서 역량바탕의학교육의 성공적인 실행을 위한 제언. 의학교육논단, 17(3), 110-121. https://doi.org/10.17496/kmer.2015.17.3.110 미소장
25 이무상(2000). 21세기 의학교육과 의학전문대학원. 연세의학교육, 2(2), 35-57. 미소장
26 전대석(2023). 의료윤리와 전문직업성을 연계한 의과대학 전공 연계 글쓰기 (WAC) 모형 제안. 철학연구, 141, 71-99. https://doi.org/10.23908/JSPS.2023.6.141.71 미소장
27 정선주, 서동혁, 김용일(2001). 의과대학 학생을 위한 진로지도 모델의 개발 제 1편:가천의대 프로그램 기획안. 한국의학교육, 13(2), 309-315. 미소장
28 정한나, 양은배(2017). 의예과 교육의 역사적 발전과 교육과정 편성 방향 고찰. 의학교육논단, 19(3), 115-120. https://doi.org/10.17496/kmer.2017.19.3.115 미소장
29 조형정, 남해선, 이상한, 최영진, 김태희, 이상철(2012). 해외 선진 의과대학 교육과정과의사 국가고시 과목 비교 연구. 대한의사협회 의료정책연구소. 미소장
30 채유미, 이건세, 신지연, 한현욱, 전태국, 김수철, ··· 김수진(2017). 흉부외과·외과 전문의수가가산제도 개선방안 연구. 건강보험심사평가원. 미소장
31 천경희(2014). 의과대학·의학전문대학원생의 학업소진 양상과 관련 변인들과의 관계.의학교육논단, 16(2), 77-87. http://dx.doi.org/10.21024/pnuedi.28.4.201812.173 미소장
32 최종상, 서덕준, 채종일, 오희철, 황익근, 강대영(1996). 우리나라 의과대학의 바람직한 학제에 관한 연구-의학전문대학원 도입 여부에 관한 검토. 한국의학교육, 8(2), 189-199. 미소장
33 한국대학평가원(2023). 2024 하반기 대학기관평가인증 편람 (대학 설명회용). 미소장
34 한재진(2006). 조기 임상 교육의 이론과 실재-의학 전문 대학원으로의 전환을 준비하며. 이화의대지, 29(1), 67-77. 미소장
35 황진영, 이승희, 김석주, 신좌섭, 윤현배, 김도환, 김은정(2013). 일개 대학 의예과 교육과정개선에 관한 고찰. 한국의학교육, 25(4), 299-308. https://doi.org/10.3946/kjme.2013.25.4.299 미소장
36 현영섭(2010). 실천공동체의 사회적 네트워크, 지식공유, 학습전이간의 구조적 관계 분석. 역량개발학습연구, 5(3), 39-59. 미소장
37 Başak, O., Yaphe, J., Spiegel, W., Wilm, S., Carelli, F., & Metsemakers, J. F. (2009). Early clinical exposure in medical curricula across Europe: An overview. The European Journal of General Practice, 15(1), 4-10. https://doi.org/10.1080/13814780902745930 미소장
38 Beck, J., Chretien, K., & Kind, T. (2015). Professional identity development through service learning: A qualitative study of first-year medical students volunteering at a medical specialty camp. Clinical Pediatrics, 54(13), 1276-1282. https://doi.org/10.1177/0009922815571108 미소장
39 Bruner, J. (1960). The Process of Education. Harvard University Press. 미소장
40 Cruess, R. L., Cruess, S. R., Boudreau, J. D., Snell, L., & Steinert, Y. (2014). Reframing medical education to support professional identity formation. Academic Medicine, 89(11), 1446-1451. https://doi.org/10.1097/ACM.0000000000000427 미소장
41 Gawlik, K. (2018). Focus group interviews. In M. Ciesielska & D. Jemielniak (Eds.), Qualitative methodologies in organization studies: Volume II: Methods and possibilities (pp. 97-126). Palgrave Macmillan. 미소장
42 Gibbs, B. C. (2014). Reconfiguring bruner: Compressing the spiral curriculum. Phi Delta Kappan, 95(7), 41-44. https://doi.org/10.1177/003172171409500710 미소장
43 Goldie, J., Dowie, A., Cotton, P., & Morrison, J. (2007). Teaching professionalism in the early years of a medical curriculum: A qualitative study. Medical Education,41(6), 610-617. https://doi.org/10.1111/j.1365-2923.2007.02772.x. 미소장
44 Langendyk, V., Mason, G., & Wang, S. (2016). How do medical educators design a curriculum that facilitates student learning about professionalism? International Journal of Medical Education, 7, 32-43. https://doi.org/10.5116/ijme.5683.c2e0 미소장
45 Lee, Y. M. (2018). It is time to reconsider the unnecessary division of premedical and medical studies. Korean Journal of Medical Education, 30(4), 279-281. https://doi.org/10.3946/kjme.2018.102 미소장
46 Lincoln, Y., & Guba, E. (1985). Naturalistic inquiry. Sage. 미소장
47 Merriam, S. (1998). Qualitative research and case study applications in education. Jossey-Bass. 미소장
48 Park, G. M., & Hong, A. J. (2022). “Not yet a doctor”: Medical student learning experiences and development of professional identity. BMC Medical Education, 22(1), 1-12. https://doi.org/10.1186/s12909-022-03209-w 미소장
49 Pitkala, K. H., & Mantyranta, T. (2003). Professional socialization revised: Medical students' own conceptions related to adoption of the future physician's role--a qualitative study. Medical Teacher, 25(2), 155-160. https://doi.org/10.1080/0142159031000092544 미소장
50 Prince, K. J., Van De Wiel, M., Scherpbier, A. J., & Boshuizen, H. (2000). A qualitative analysis of the transition from theory to practice in undergraduate training in a PBL-medical school. Advances in Health Sciences Education, 5(2), 105-116. https://doi.org/10.1023/A:1009873003677 미소장
51 Riley, S. C. (2009). Student selected components (SSCs): AMEE guide No 46. Medical Teacher, 31(10), https://doi.org/885-894.10.3109/01421590903261096 미소장
52 Vågan, A. (2009). Medical students’ perceptions of identity in communication skills training: A qualitative study. Medical Education, 43(3), 254-259. https://doi.org/10.1111/j.1365-2923.2008.03278.x 미소장
53 Woodward, R. (2019). The spiral curriculum in higher education: Analysis in pedagogic context and a business studies application. e-Journal of Business Education and Scholarship of Teaching, 13(3), 14-26.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