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재난피해자의 외상후스트레스장애, 우울, 불안 동반이환의 잠재 집단을 유형화하고, 잠재집단 유형의 종단적 변화를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국립재난안전연구원에서 제공한 재난피해자 삶의 변화 추적조사 2차와 4차 조사에 참여한 재난피해자 1,069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분석하였다. 그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재난피해자의 2년 차 정신건강 잠재집단은 3개 집단(일반군, 위험군, 고위험군)으로 유형화되었다. 둘째, 재난피해자의 4년 차 정신건강 잠재집단은 2개 집단(일반군, 위험군)으로 유형화되었다. 셋째, 2년 차에 일반군이었던 재난피해자가 4년 차에 위험군으로 전이될 확률은 10%였고, 2년 차에 위험군과 고위험군이었던 재난피해자가 4년 차 위험군으로 전이될 확률은 각 41.7% 60.8%인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2년 차 일반군의 경우 자연재난일수록, 소득이 높을수록, 회복탄력성이 높을수록 4년 차 위험군보다는 일반군에 속할 확률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2년 차 고위험군 재난피해자의 연령이 높을수록 4년 차 일반군보다는 위험군으로 전이될 확률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토대로 재난피해자의 정신건강 문제의 동반이환에 관한 구체적인 실천적, 정책적 함의에 대해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ssify latent subgroups of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depression, and anxiety comorbidity among disaster victims and analyze their longitudinal changes. To do this, this study utilized data from the Disaster Victim Life Change Tracking Survey, which was conducted by the National Disaster Safety Research Institute. The study sample consisted of 1,069 disaster victims who participated in the 2nd and 4th waves of the survey. First, two years after the disaster, mental health latent subgroups among disaster victims were classified into three groups (the general, at-risk, and high-risk groups). Second, four years after the disaster, mental health latent subgroups among disaster victims were categorized into two groups (the general group and the at-risk group). Third, the probability of transitioning from the general group in the second year to the at-risk group in the fourth year was 10%, while disaster victims in the at-risk and high-risk groups in the second year had probabilities of transitioning to the at-risk group in the fourth year of 41.7% and 60.8%, respectively. Fourth, for those in the general group in the second year, the probability of remaining in the general group in the fourth year was higher when the disaster was a natural disaster, income was higher, and resilience was greater compared to transitioning to the at-risk group. Fifth, regarding victims in the high-risk group in the second year, as their age increased, the probability of transitioning to the at-risk group in the fourth year was higher than remaining in the general group. Based on these results, this study discussed practical and policy implications for interventions dealing with the comorbidity of mental health issues among disaster victims.번호 | 참고문헌 |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
---|---|---|
1 | 김승섭, 유은주, 이경욱, 이용숙, 전치형, 박주영 등. (2016). 단원고 학생 생존자 및 가족대상 실태조사연구. 서울: 416세월호 참사특별조사위원회. | 미소장 |
2 | 김지선, 이소연. (2022). 자연재난피해자의 외상 후 스트레스 증상과 공존증상에 영향을 미치는 보호요인과 위험요인.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27(1), pp.1-26. doi: https://doi.org/10.17315/kjhp.2022.27.1.001. | 미소장 |
3 | 김진현. (2019). 재난 후 노인들의 우울 및 불안상태에 영향을 미치는 재난불평등 요인들. 한국위기관리논집, 15(11), pp.27-41. doi: https://doi.org/10.14251/crisisonomy.2019.15.11.27. | 미소장 |
4 | 김준범, 전진호. (2021). 북한이탈주민의 PTSD와 우울의 동반이환과 자살시도에 관한 연구. 정신건강과 사회복지, 49(4), pp.56-78. doi: https://doi.org/10.24301/MHSW.2021.12.49.4.56. | 미소장 |
5 | 김환. (2016).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 서울: 학지사. | 미소장 |
6 | 민문경, 주혜선, 안현의. (2018). 912 경주 지진을 간접 경험한 일반인의 정신건강 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심리사회적 요인: 개인 리질리언스, 사회적 지지, 사회적 자본, 공적 신뢰를 중심으로. 상담학연구, 19(5), pp.93-116. doi: https://doi.org/10.15703/kjc.19.5.201810.93. | 미소장 |
7 | 민소영. (2019). 공공부문 사례관리 서비스 통합을 위한 전달체계 탐색. 사회복지정책, 46(2), pp.143-173. doi: https://doi.org/10.15855/swp.2019.46.2.143. | 미소장 |
8 | 박상현, 김진선, 손명찬, 이효정, 이영욱, 남동엽 등. (2019). 재난 이후 삶의 변화와 재난구호 서비스 개발. 울산: 국립재난안전연구원. | 미소장 |
9 | 박승진, 최혜라, 최지혜, 김건우, 홍진표. (2010). 한글판 우울증 선별도구(Patient Health Questionnaire-9, PHQ-9) 의 신뢰도와 타당도. 대한불안의학회지, 6(2), pp.119-124.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1493301 | 미소장 |
10 | 심경옥. (2019). PTSD 군 재난 피해자들의 정신과적 공존질환: 공존질환 비율, 심리장애의 심각성 그리고 공존질환 예측 요인. STRESS, 27(3), pp.259-267. doi: https://doi.org/10.17547/kjsr.2019.27.3.259. | 미소장 |
11 | 안제용, 서은란, 임경희, 신재현, 김정범. (2013). 한국어판 우울증 선별도구(Patient Health Questionnaire-9, PHQ-9)의 표준화 연구. 생물치료정신의학, 19(1), pp.47-56.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1766067 | 미소장 |
12 | 은헌정, 권태완, 이선미, 김태형, 최말례, 조수진. (2005). 한국판 사건충격척도 수정판의 신뢰도 및 타당도 연구. 대한신경정신의학회지, 44(3), pp.303-310.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1152911 | 미소장 |
13 | 전석균. (2014). 정신건강론. 경기: 공동체. | 미소장 |
14 | 전진아. (2014). 복합 정신질환(Comorbidity)의 현황과 정책과제. 보건복지 Issue & Focus, 241, pp.1-8. doi: https://doi.org/10.23064/2014.05.241. | 미소장 |
15 | 전진호, 이성규. (2022). 재난 피해자의 사회적 자본이 외상후스트레스장애의 변화궤적 유형에 미치는 영향: 잠재계층성장분석을 중심으로. 한국사회복지조사연구, 75, pp.61-85. doi: https://doi.org/10.17997/SWRY.75.1.3. | 미소장 |
16 | 채수미, 김혜윤, 최소영, 이상정, 현진희, 김태종 등. (2021). 사회정신건강연구센터 운영: 한국인의 트라우마와 회복력 증진 전략. 한국보건사회연구원. | 미소장 |
17 | 채정호, 이소희, 노진원. (2019). 재난관련자 코호트구축, 추적관찰최종보고서. 보건복지부 정신건강기술개발사업단. | 미소장 |
18 | 한정민, 장정은, 전종설. (2020). 세월호 참사 단원고 생존자의 외상 후 성장. 보건사회연구, 40(2), pp.9-59. doi: https://doi.org/10.15709/hswr.2020.40.2.9. | 미소장 |
19 | 행정안전부. (2021). 2021 재난연보. 세종: 행정안전부. | 미소장 |
20 | 현진희, 손선주, 강경화, 이유리, 이종선, 허휴정. (2021). 2021 4.16세월호참사 피해자 건강 및 생활실태조사 연구. 서울: 416세월호 참사특별조사위원회. | 미소장 |
21 | AdamsZ. W, DanielsonC. K, SumnerJ. A, McCauleyJ. L, CohenJ. R, RuggieroK J. (2015). Comorbidity of PTSD, major depression, and substance use disorder among adolescent victims of the spring 2011 tornadoes in Alabama and Joplin, Missouri. Psychiatry, 78(2), pp.170-185. | 미소장 |
22 | BowlerR. M, KornblithE. S, LiJ, AdamsS. W, GochevaV. V, SchwarzerR, ConeJ E. (2016). Police officers who responded to 9/11:Comorbidity of PTSD, depression, and anxiety 10-11 years later. American Journal of Industrial Medicine, 59(6), pp.425-436. doi: https://doi.org/10.1002/ajim.2258827094566. | 미소장 |
23 | Breslau, N. (2002). Epidemiologic studies of trauma,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and other psychiatric disorders. The Canadian Journal of Psychiatry, 47(10), pp.923-929. doi: https://doi.org/10.1177/07067437020470100312553127. | 미소장 |
24 | Collins, L. M., Lanza, S T. (2009). Latent class and latent transition analysis: With applications in the social, behavioral, and health sciences. NY: John Wiley & Sons. doi: https://doi.org/10.1002/9780470567333. | 미소장 |
25 | DavidH B, 김정모, 김지혜, 박상규, 박중규, 배주미, 서수연, 신성만… , 현명호. (2021). 심리장애의 임상적용을 위한 핸드북. 서울: 학지사. 원서출판 2014 | 미소장 |
26 | Franklin, C. L., Zimmerman, M. (2001).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and major depressive disorder: Investigating the role of overlapping symptoms in diagnostic comorbidity. The Journal of Nervous and Mental Disease, 189(8), pp.548-551. doi: https://doi.org/10.1097/00005053-200108000-0000811531207. | 미소장 |
27 | Galatzer-Levy, I. R., Bryant, R A. (2013). 636,120 ways to have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Perspectives on Psychological Science, 8(6), pp.651-662. doi: https://doi.org/10.1177/174569161350411526173229. | 미소장 |
28 | Jung, T., Wickrama, K A. (2008). An introduction to latent class growth analysis and growth mixture modeling. Social and Personality Psychology Compass, 2(1), pp.302-317. doi: https://doi.org/10.1111/j.1751-9004.2007.00054.x. | 미소장 |
29 | Kar, N., Samantaray, N., Kar, S., & Kar, B. (2022). Anxiety, Depression, and Post-traumatic Stress a month after 2019 Cyclone Fani in Odisha, India. Disaster Medicine and Public Health Preparedness, 16(2), pp.670-677. doi: https://doi.org/10.1017/dmp.2020.36833583466. | 미소장 |
30 | Kessler, R. C., Chiu, W. T., Demler, O., & Walters, E E. (2005). Prevalence, severity, and comorbidity of 12-month DSM-IV disorders in the National Comorbidity Survey Replication. Archives of General Psychiatry, 62(6), pp.617-627. doi: https://doi.org/10.1001/archpsyc.62.6.61715939839PMC2847357. | 미소장 |
31 | Kessler, R. C., Sonnega, A., Bromet, E., Hughes, M., & Nelson, C B. (1995).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in the National Comorbidity Survey. Archives of General Psychiatry, 52(12), pp.1048-1060. doi: https://doi.org/10.1001/archpsyc. 1995.039502400660127492257. | 미소장 |
32 | Lee, K. W., Lee, H. (2023). Types of co-occurring patterns of mental health among the disaster victims in South Korea. Development and Psychopathology. doi: https://doi.org/10.1017/S0954579422001444. | 미소장 |
33 | Lenferink, L. I., de Keijser, J., Smid, G. E., Djelantik, A. M. J., & Boelen, P A. (2017). Prolonged grief, depression, and posttraumatic stress in disaster-bereaved individuals: latent class analysis. European Journal of Psychotraumatology, 8(1), pp.1298311-. doi: https://doi.org/10.1080/20008198.2017.129831128451067PMC5399993. | 미소장 |
34 | Lim, H. S., Sim, K. (2018). The Effects of Life Changes on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after Disasters. STRESS, 26(4), pp.319-326. doi: https://doi.org/10.17547/kjsr.2018.26.4.319. | 미소장 |
35 | Murray, L. K., Dorsey, S., Haroz, E., Lee, C., Alsiary, M. M., Haydary, A., Weiss, W. M., & Bolton, P. (2014). A Common Elements Treatment Approach for Adult Mental Health Problems in Low- and Middle-Income Countries. Cognitive and Behavioral Practice, 21(2), pp.111-123. doi: https://doi.org/10.1016/j.cbpra.2013.06.00525620867PMC4304666. | 미소장 |
36 | Neria, Y., Olfson, M., Gameroff, M.J., Digrande, L., Wickramaratne, P., Gross, R., & Pilowsky, DJ et al. (2010). Long-term course of probable PTSD after the 9/11 attacks: a study in urban primary care. J Trauma Stress, 23, pp.474-482. doi: https://doi.org/10.1002/jts.2054420690169PMC3637658. | 미소장 |
37 | Norris, F. H., Friedman, M. J., & Watson, P J. (2002). 60,000 disaster victims speak: Part II. Summary and implications of the disaster mental health research. Psychiatry, 65(3), pp.240-260. doi: https://doi.org/10.1521/psyc.65.3.240.2016912405080. | 미소장 |
38 | Orsillo, S. M., Weathers, F. W., Litz, B. T., Steinberg, H. R., Huska, J. A., & Keane, T M. (1996). Current and lifetime psychiatric disorders among veterans with war zone-related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The Journal of Nervous and Mental Disease, 184(5), pp.307-313. doi: https://doi.org/10.1097/00005053-199605000-000078627277. | 미소장 |
39 | Price, M., Legrand, A. C., Brier, Z. M., & Hébert-Dufresne, L. (2019). The symptoms at the center: Examining the comorbidity of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generalized anxiety disorder, and depression with network analysis. Journal of Psychiatric Research, 109, pp.52-58. doi: https://doi.org/10.1016/j.jpsychires.2018.11.01630502492 PMC6420212. | 미소장 |
40 | NCTIC(National Center for Trauma-Informed Care) (2012). SAMHSA’s national center for trauma-informed care: Changing communities, Changing lives. | 미소장 |
41 | Shing, E. Z., Jayawickreme, E., & Waugh, C E. (2016). Contextual positive copingas a factor contributing to resilience after disasters.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72(12), pp.1287-1306. doi: https://doi.org/10.1002/jclp.2232727410521. | 미소장 |
42 | Southwick, S. M., Yehuda, R., & Giller Jr, E L. (1991). Characterization of depression in war-related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The American Journal of Psychiatry, 148(2), pp.179-183. | 미소장 |
43 | Spitzer, R. L., Kroenke, K., Williams, J. B., & Löwe, B. (2006). A brief measure for assessing generalized anxiety disorder: The GAD-7. Archives of Internal Medicine, 166(10), pp.1092-1097. doi: https://doi.org/10.1001/archinte.166.10.109216717171. | 미소장 |
44 | Watson, D. (2009). Differentiating the mood and anxiety disorders: A quadripartite model. Annual Review of Clinical Psychology, 5, pp.221-247. doi: https://doi.org/10.1146/annurev.clinpsy.032408.15351019327030. | 미소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