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본 연구는 기혼여성의 취업 여부와 고용불안 경험이 우울, 자아존중감 등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한국복지패널 10차(2014년) 기준 만 19세 이상이고, 지속적으로 유배우자(기혼) 상태이며, 17차(2021년)까지 조사에 참여한 여성을 대상으로 이항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이때 연령이 정신건강에 미칠 영향력을 고려해 청년층(만 26세 이상~만 35세 이하), 중년층(만 36세 이상~만 45세 이하, 만 46세 이상~만 55세 이하), 장년층(만 56세 이상~만 65세 이하)으로 연구 대상을 구분하여 연령군별로 정신건강을 살펴보았다.
분석 결과, 장년층 기혼여성의 실업과 불안정한 취업은 우울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나, 청중년층 기혼여성의 취업 상태는 우울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장년층 여성은 현재 취업 상태라 하더라도 실업을 경험한 집단, 미취업 상태인 집단이 실업을 경험하지 않은 취업자 집단보다 부정적인 우울 수준을 보였다. 취업이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은 일부 집단이기는 하나 여전히 장년층 기혼여성에게서 유의미한 결과가 관찰되었는데, 구직 경험이 없는 미취업자가 실업 경험이 없는 취업자보다 자아존중감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장년층 기혼여성의 정신건강 문제 접근 시 취업과 관련한 부정적 경험의 고려 필요성을 시사하며, 본 연구 결과는 향후 기혼여성의 건강한 삶과 노화를 위한 정책 개발 근거로써 활용될 수 있다.
This study analyzed the mental health effects of employment status and job insecurity on married women. As of the 10th Korea Welfare Panel Study (2014), a binary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on women 19 years of age or older who were continuously married and participated in the survey until the 17th panel (2021). In addition, the study categorized subjects into youth, middle-aged, and elderly groups to analyze mental health by age group. Unemployment and unstable employment of elderly married women (56 to 65 years old) negatively affected mental health, but the employment status of younger and middle- aged married women (25 to 55 years old) did not significantly affect mental health. Even if both groups were employed at the present time, the group with experience of unemployment had a higher risk of depression than the group without. Also, in the case of unemployment, the group with job search experience reported a lower mental health status than the group without. This suggests the need to consider negative experiences related to employment when understanding the mental health problems of elderly married women, and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sed as a basis for policy development for the healthy life and aging of married women.번호 | 참고문헌 |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
---|---|---|
1 | 강상경, 권태연. (2008). 사회경제적 지위가 우울수준에 미치는 영향의 생애주기별 차이에 대한 탐색적 고찰. 정신보건과 사회사업, 30, pp.332-355.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1304406 | 미소장 |
2 | 강상경. (2010). 우울이 자살을 예측하는가?: 우울과 자살태도 관계의 성별•연령 차이. 사회복지연구, 41(2), pp.67-100. doi: https://doi.org/10.16999/kasws.2010.41.2.67. | 미소장 |
3 | 강석임, 전희정. (2013). 기혼여성의 우울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가구주 여부와 빈곤 여부를 중심으로. 보건과 사회과학, 33, pp.161-188.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1787608 | 미소장 |
4 | 국립정신건강센터. (2021). 2021년 정신건강실태조사 보고서. https://www.mohw.go.kr/board.es?mid=a10411010100&bid=0019&tag=&act=view&list_no=369858에서 2024. 3. 7. 인출 | 미소장 |
5 | 김대명. (2014). 생활사건 스트레스, 자아존중감, 우울과 자살생각의 관계: 직장여성과 전업주부의 비교. 한국교육문제연구, 32(2), pp.113-131.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1890613 | 미소장 |
6 | 김봉균, 하연주, 최송식. (2014). 노인의 우울에 미치는 요인들에 관한 종단적 연구: 신체적•심리적•사회적 요인을 중심으로. 한국노년학, 34(1), pp.115-132.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1852494 | 미소장 |
7 | 김성경. (2022). 자녀요인이 기혼 취업여성의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일-가족 전이유형 및 가족-일 전이유형의 다중매개효과 분석. 여성연구, 112(1), pp.147-170. doi: https://doi.org/10.33949/tws.2022.112.1.006. | 미소장 |
8 | 김성국, 박수연, 이현실. (2017). 직장 기혼 여성의 일-가정 갈등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 디지털융복합연구, 15(3), pp.267-275. doi: https://doi.org/10.14400/JDC.2017.15.3.267. | 미소장 |
9 | 김영범, 이승훈. (2008). 한국 노인의 사회활동과 주관적 안녕감: 서울 및 춘천 노인을 대상으로. 한국노년학, 28(1), pp.1-18.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1245031 | 미소장 |
10 | 김원순. (2018). 종합병원 기혼여성 교대근무 간호사의 수면장애 경험. 재활심리연구, 25(4), pp.775-788.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2417672 | 미소장 |
11 | 김은경. (2014). 직업유무에 따른 부산, 경남지역 베이비붐 세대 기혼여성의 우울 영향 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생활과학회지, 23(6), pp.1105-1126. doi: https://doi.org/10.5934/kjhe.2014.23.6.1105. | 미소장 |
12 | 김일호, 천희란. (2009). 기혼 여성의 직업이 신체적, 정신적 건강에 미치는 영향. 예방의학회지, 42(5), pp.323-330.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1376932 | 미소장 |
13 | 김주희, 유정원, 송인한. (2015). 사회경제적 박탈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 연령의 조절효과 분석. 보건사회연구, 35(3), pp.42-70. doi: https://doi.org/10.15709/hswr.2015.35.3.42. | 미소장 |
14 | 김진영. (2007). 사회경제적 지위와 건강의 관계: 연령에 따른 변화를 중심으로. 한국사회학, 41(3), pp.127-153.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1065994 | 미소장 |
15 | 김태연. (2023). 코로나 19 전후 기혼여성의 우울에 관한 종단 연구 –일-가정양립 어려움의 인식을 중심으로-. 한국사회복지학, 75(1), pp.9-32. doi: https://doi.org/10.20970/kasw.2023.75.1.001. | 미소장 |
16 | 김혜경, 성준모. (2014). 노년기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종단적 요인: 전기•후기 노인의 비교를 중심으로. 노인복지연구, 66, pp.427-449. doi: https://doi.org/10.21194/kjgsw..66.201412.427. | 미소장 |
17 | 남혜경, 이윤정, 허정이. (2017). 취업 여부가 노인의 우울에 미치는 영향. 한국보건간호학회지, 31(3), pp.492-504.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2299739 | 미소장 |
18 | 박소연, 박소영. (2018). 중년 여성과 고령 여성의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생태체계적 결정 요인과 우울 증상에 관한 종단연구. 보건사회연구, 38(4), pp.129-163. doi: https://doi.org/10.15709/hswr.2018.38.4.129. | 미소장 |
19 | 박재규, 이정림. (2011). 한국 성인 남녀의 우울증 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보건과 사회과학, 29, pp.99-128.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1567629 | 미소장 |
20 | 박종서, 이지혜. (2014). 가족관계 만족도의 특징과 사회적 함의. 보건복지포럼, 211, pp.32-44. | 미소장 |
21 | 박현정. (2015). 중년여성의 자아존중감과 우울의 관계에서 가족생활만족도의 매개효과 검증. 한국웰니스학회, 10(3), pp.151-161.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2022248 | 미소장 |
22 | 방지원, 최보윤, 유성경, 김수영. (2022). 영유아기 자녀를 둔 맞벌이 부부의 일-가정 갈등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결혼 만족에 의해 조절되는 양육 스트레스의 매개효과. 가정과삶의질연구, 40(3), pp.55-73. doi: https://doi.org/10.7466/JFBL.2022.40.3.55. | 미소장 |
23 | 서연숙. (2015). 노인의 연령에 따른 사회경제적 박탈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 연구. 한국노년학, 35(1), pp.99-117.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1963724 | 미소장 |
24 | 서지민, 이혜진. (2018). 우울증상이 있는 기혼여성의 우울 감소 영향요인: 여성가족패널 5, 6차 조사자료를 이용하여. 정신간호학회지, 27(4), pp.321-331. doi: https://doi.org/10.12934/jkpmhn.2018.27.4.321. | 미소장 |
25 | 성준모. (2010). 저소득층 중년여성의 관계만족과 자아존중감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종단 연구. 보건사회연구, 30(2), pp.110-133. doi: https://doi.org/10.15709/hswr.2010.30.2.110. | 미소장 |
26 | 손제희, 허만세. (2013). 중년여성의 자아존중감과 자살사고에 대한 우울의 매개효과 분석 – 대구지역을 중심으로. 사회과학연구, 29(2), pp.155-178.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1773831 | 미소장 |
27 | 송진영. (2015). 사회적 자본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 가족관계만족도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보건사회연구, 35(2), pp.164-192. doi: https://doi.org/10.15709/hswr.2015.35.2.164. | 미소장 |
28 | 안숙희. (2004). 여성의 취업여부와 사회적 역할 만족도에 따른 건강상태. 여성건강간호학회지, 10(1), pp.23-31. | 미소장 |
29 | 안정현, 이단비, 남진영. (2022). 한국 기혼 남성의 가사노동 여부와 기혼 여성의 우울과의 연관성: 여성가족패널조사 활용. 대한보건연구, 48(1), pp.17-28. doi: https://doi.org/10.22900/kphr.2022.48.1.002. | 미소장 |
30 | 양정연, 이준협. (2021). 반복되는 고용불안 발생 패턴과 정신건강의 관계 연구. 보건과 사회과학, 58, pp.151-176.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2800056 | 미소장 |
31 | 양화미. (2020). 한국 임금근로 기혼여성의 근무환경, 일가족갈등 및 직무만족도가 건강에 미치는 연관성 –직업적 지위 차이를 중심으로-. 여성연구, 105(2), pp.105-131. doi: https://doi.org/10.33949/tws.2020.105.2.004. | 미소장 |
32 | 유자영. (2015). 기혼여성의 경제활동참여형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연구. 정책분석평가학회보, 25(2), pp.23-48. doi: https://doi.org/10.23036/kapae.2015.25.2.002. | 미소장 |
33 | 은기수. (2018). 한국 여성의 경제활동참여와 경력단절. 한국인구학, 41(2), pp.117-150. doi: https://doi.org/10.31693/KJPS.2018.06.41.2.117. | 미소장 |
34 | 이현주, 강상경, 이준영. (2008). 노인우울증에 대한 사회경제적 지위요인과 건강행태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노년학, 28(4), pp.1129-1145.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1295115 | 미소장 |
35 | 이홍직. (2009). 노인의 정신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사회자본 특성을 중심으로. 사회과학연구, 25(3), pp.25-42.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1383754 | 미소장 |
36 | 이효영, 박은옥. (2016). 기혼여성의 가사부담과 가정 내•외의 지지(support)가 주관적 불건강에 미치는 영향. 보건의료산업학회지, 10(4), pp.179-196.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2185953 | 미소장 |
37 | 장재윤, 장은영, 김범성, 노연희, 이지영, 한지현. (2004). 청년실업이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종단연구. 한국심리학회지, 23(2), pp.121-144.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1153754 | 미소장 |
38 | 정순돌, 구미정. (2011). 우울 영향요인: 베이비부머, 예비노인, 현재노인의 비교. 노인복지연구, 52, pp.305-324. doi: https://doi.org/10.21194/kjgsw..52.201106.305. | 미소장 |
39 | 조맹제, 박종익, 배안, 배재남, 손정우, 안준호 등. (2011). 2011년도 정신질환실태 역학조사. https://www.mohw.go.kr/boardDownload.es?bid=0019&list_no=336979&seq=1에서 2024. 3. 7. 인출 | 미소장 |
40 | 조옥선, 백진아. (2018). 취업 여성의 미혼 성인자녀 돌봄 부담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 부부의사소통과 일 만족도의 매개효과. 융합정보논문지, 8(6), pp.293-303. doi: https://doi.org/10.22156/CS4SMB.2018.8.6.293. | 미소장 |
41 | 질병관리청. (2023). 2022 국민건강통계. https://knhanes.kdca.go.kr/knhanes/sub04/sub04_04_01.do에서 2024. 3. 7. 인출 | 미소장 |
42 | 최지원, 노수현, 정하람, 김혜경. (2023). 기혼 직장 중년여성의 우울 관련 다 수준 요인. 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지, 40(2), pp.67-78. doi: https://doi.org/10.14367/kjhep.2023.40.2.67. | 미소장 |
43 | 통계청, 여성가족부. (2015). 2015 통계로 보는 여성의 삶. https://eiec.kdi.re.kr/policy/materialView.do?num=144303에서 2024. 3. 7. 인출 | 미소장 |
44 | 허준수, 유수현. (2002). 노인의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정신보건과 사회사업, 13, pp.7-35.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0894403 | 미소장 |
45 | 홍진표, 이동우, 함봉진, 이소희, 성수정, 윤탁 등. (2016). 2016년도 정신질환실태 조사. https://www.mohw.go.kr/board.es?mid=a10411010100&bid=0019&tag=&act=view&list_no=339138에서 2024. 3. 7. 인출 | 미소장 |
46 | BackhansM. C., HemmingssonT. (2012). Unemployment and mental health - who is (not) affected?. European Journal of Public Health, 22(3), pp.429-433. doi: https://doi.org/10.1093/eurpub/ckr059. | 미소장 |
47 | Batic-MujanovicO., PoricS., PranjicN., RamicE., AlibasicE., KaricE. (2017). Influence of Unemployment on Mental Health of the Working Age Population. Mater Sociomed, 29(2), pp.92-96. doi: https://doi.org/10.5455/msm.2017.29.92-96. | 미소장 |
48 | HouseJ. S., LepkowskiJ. M., KinneyA. M., MeroR. P., KesslerR. C., HerzogR. A. (1994). The Social Stratificaion of Aging and Health. Journal of Health and Social Behavior, 35(3), pp.213-234. doi: https://doi.org/10.2307/2137277. | 미소장 |
49 | KimS. S., MuntanerC. M., KimH., JeonC. Y., PerryM. J. (2013). Gain of employment and depressive symptoms among previously unemployed workers: A longitudinal cohort study in South Korea. Am J Ind Med, 56(10), pp.1245-1250. doi: https://doi.org/10.1002/ajim.22201. | 미소장 |
50 | MiechR. A., ShanahanM. J. (2000). Socioeconomic status and depression over the life course. Journal of Health and Social Behavior, 41(2), pp.162-176. doi: https://doi.org/10.2307/2676303. | 미소장 |
51 | ParkS., ChoS. I., JangS. N. (2012). Health Conditions Sensitive to Retirement and Job Loss Among Korean Middle-aged and Older Adults.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45(3), pp.188-195. doi: https://doi.org/10.3961/jpmph.2012.45.3.188. | 미소장 |
52 | SkokA., HarveyD., ReddihoughD. (2006). Perceived stress, perceived social support, and wellbeing among mothers of school-aged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Journal of Intellectual & Developmental Disability, 31, pp.53-57. doi: https://doi.org/10.1080/13668250600561929. | 미소장 |
53 | YooK. B., ParkE. C., JangS. Y., KwonJ. A., KimS. J., ChoK. H. (2016). Association between employment status change and depression in Korean adults. BMJ Open, 6. doi: https://doi.org/10.1136/bmjopen-2015-008570. | 미소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