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2023년 7월에 있었던 서이초 사건은 한국 교육계에 큰 충격을 안겨주었다. 이 사건의 전개는 교육정책 변화에 많은 영향을 미쳤으며, 교사들의 정체성에도 큰 변화를 가져왔다. 이에 본 연구는 서이초 사건 이후 (1) 담론은 어떤 프레임을 지니고 있었는가, (2) 각각의 담론 프레임은 교육정책과 어떻게 상호작용하였는가, 그리고 (3) 형성된 담론 프레임의 한계와 시사점은 무엇인가를 알아보기 위해 수행되었다. 연구방법론으로는 프레임 분석을 사용하였고, 구체적인 데이터 관련, 주요 정책 행위자인 정부와 주요 시도교육청, 교원단체・교원노조의 보도자료 및 성명서 등 텍스트를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프레임은 문제의 원인 지목, 결과, 그리고 해결 방안 등 유사한 이야기 구조를 가진다. 이 연구에서는 (1) 학생인권 대 교권, (2) 악성 민원 대 교권보호, (3) 아동학대 방지 대 교육활동 보장 프레임을 식별하여, 각각의 프레임이 교육정책 및 현실과 상호작용하는 방식을 살펴보았다. 한편 프레임의 한계로서 (1) 소외되는 학생들을 다시 관심에서 소외시켰다는 점, (2) 교사-학부모 관계를 대결적 관점에서 본 점, (3) 학교에서의 인간적 관계가 지나치게 법적 관계로 대치되고 있다는 점을 지적했다. 이 사건 이후 약 반년 이상에 걸쳐 한국 교육계에서 벌어진 담론과 교육정책의 발전 과정을 분석하고, 그 특징과 한계를 밝히는 과제는 교육학 연구자들에게 새롭게 주어진 과업이라는 점에서 이 연구의 의의를 찾을 수 있다.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다문화청소년의 이중문화수용태도 잠재프로파일 분류 예측요인 및 결과변인 차이 검증 = A latent profile analysis on bicultural acceptance attitude among multicultural adolescents : testing predictors on the latent profiles and differences in distal outcome 이정민, 정혜원 p. [1-2], 5-33

예비교사 전문성 개발을 위한 교원양성기관 교육과정 및 교수-학습의 문제점과 개선 방향 = Problems and directions for improving curriculum and teaching-learning in teacher education institutions for pre-service teachers' professional development 박선형, 김갑성, 김병찬, 주현준, 황준성, 주영효 p. [1-2], 35-67

서이초 사건 이후 형성된 담론 프레임의 특징 및 한계 = The characteristics and constraints of discourse frames formed after the incident of Seoi Elementary School 성열관, 안상진, 이지은 p. [1-2], 69-93

학생부종합전형의 정책 어그러짐 분석 = Analysis of policy slippage in the school record-based screening method 이청민, 김수진 p. [1-2], 95-119

보직교사 제도 개선 방안 연구 = A study on how to improve the chief teachers system : focusing on the perceptions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 초등교원의 인식을 중심으로 김유리, 이상철, 송영미 p. [1-2], 121-151

초등학교 학교효과성 진단도구 개발 연구 =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elementary school effectiveness diagnostic tools : student-level school effectiveness : 학생수준 학교효과성을 중심으로 박정우 p. [1-2], 153-177

중학생의 긍정적 정서, 학업적 자아개념, 학업성취의 종단적 관계 = Longitudinal relations among positive emotion, academic self-concept, and academic achievement among middle school students 최희철, 이미아, 김영미, 강혜진 p. [1-2], 179-210

고등학생 시기에 경험한 민주적 학교문화가 초기 성인기의 비제도적 정치참여 행동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s of democratic school culture experienced during high school on non-institutionalized political participation behavior in early adulthood :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 of civic consciousness : 시민의식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전자배, 김찬미, 유혜영 p. [1-2], 211-233

LINC 사업은 대학을 산학협력 친화형으로 변화시키는데 기여하였는가? = Did the LINC project contribute to making university more industry friendly? : focusing on college-industry cooperation revenue : 산학협력 수익에 대한 효과를 중심으로 전호성 p. [1-2], 235-26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