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학교문화는 비공식적 시민교육의 영역으로 사회 구성원인 청소년들의 신념, 가치 및 태도, 행동을 변화시키는 요인 중 하나이다. 그동안의 경험적 연구는 청소년 시기의 시민교육 효과에 대해 관심을 가져왔으나, 청소년기를 넘어 장기적이고 지속적인 관점에서 시민교육의 효과에 주목하지 못했다. 본 연구는 기존의 연구를 보완하고자 「한국교육종단연구 2013(6-9차년도)」 데이터를 활용하여 고등학생 시기에 경험한 학교의 민주적 문화가 초기 성인기의 시민의식 및 비제도적 정치참여 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자신이 경험한 학교의 문화가 민주적이라고 인지하는 청소년일수록 초기 성인기에 높은 시민의식을 보이고 있었다. 둘째, 초기 성인기의 시민의식은 민주적 학교문화와 비제도적 정치참여 행동 간의 관계를 완전매개하고 있었다. 즉, 민주적 학교문화를 경험한 청소년일수록 높은 시민의식을 매개로 하여 더 많은 비제도적 정치참여 행동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민주적 학교문화는 비제도적 정치참여 행동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통해, 민주주의에서 중요한 의미를 갖는 비제도적 정치참여 행동을 증진하기 위한 시민교육의 일환으로 민주적 학교문화을 조성하고 시민으로서 바람직한 가치 및 태도, 즉 시민의식 향상을 위한 교육이 수반되어야 함을 확인할 수 있다.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다문화청소년의 이중문화수용태도 잠재프로파일 분류 예측요인 및 결과변인 차이 검증 = A latent profile analysis on bicultural acceptance attitude among multicultural adolescents : testing predictors on the latent profiles and differences in distal outcome 이정민, 정혜원 p. [1-2], 5-33

예비교사 전문성 개발을 위한 교원양성기관 교육과정 및 교수-학습의 문제점과 개선 방향 = Problems and directions for improving curriculum and teaching-learning in teacher education institutions for pre-service teachers' professional development 박선형, 김갑성, 김병찬, 주현준, 황준성, 주영효 p. [1-2], 35-67

서이초 사건 이후 형성된 담론 프레임의 특징 및 한계 = The characteristics and constraints of discourse frames formed after the incident of Seoi Elementary School 성열관, 안상진, 이지은 p. [1-2], 69-93

학생부종합전형의 정책 어그러짐 분석 = Analysis of policy slippage in the school record-based screening method 이청민, 김수진 p. [1-2], 95-119

보직교사 제도 개선 방안 연구 = A study on how to improve the chief teachers system : focusing on the perceptions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 초등교원의 인식을 중심으로 김유리, 이상철, 송영미 p. [1-2], 121-151

초등학교 학교효과성 진단도구 개발 연구 =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elementary school effectiveness diagnostic tools : student-level school effectiveness : 학생수준 학교효과성을 중심으로 박정우 p. [1-2], 153-177

중학생의 긍정적 정서, 학업적 자아개념, 학업성취의 종단적 관계 = Longitudinal relations among positive emotion, academic self-concept, and academic achievement among middle school students 최희철, 이미아, 김영미, 강혜진 p. [1-2], 179-210

고등학생 시기에 경험한 민주적 학교문화가 초기 성인기의 비제도적 정치참여 행동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s of democratic school culture experienced during high school on non-institutionalized political participation behavior in early adulthood :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 of civic consciousness : 시민의식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전자배, 김찬미, 유혜영 p. [1-2], 211-233

LINC 사업은 대학을 산학협력 친화형으로 변화시키는데 기여하였는가? = Did the LINC project contribute to making university more industry friendly? : focusing on college-industry cooperation revenue : 산학협력 수익에 대한 효과를 중심으로 전호성 p. [1-2], 235-264

참고문헌 (66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강민자·강은숙(2022). 학교운영위원회 학생 참여 경험에 관한 사례 연구: 개교 8년차 전북 소재 햇빛고등학교 사례를 중심으로. 교육행정학연구, 40(2), 57-83. 미소장
2 강정인(1989). 한국에 있어서 민주화와 정치참여: 직접행동의 정치참여성, 폭력성 및 합리성에 관한고찰. 한국과 국제정치, 5(1), 179-211. 미소장
3 강충열(2015). 혁신 지향적 초·중등학교 학교문화 창조 모델 탐색. 교원교육, 31, 207-230. 미소장
4 교육부(2018). 민주시민교육 활성화를 위한 종합계획. 미소장
5 김동진·김재우(2021). 민주적 학급풍토가 청소년의 정치참여 의도에 미치는 영향 –정치효능감의 매개효과-. 시민교육연구, 53(1), 1-25. 미소장
6 김미희·김성훈(2017). 경기도 초·중·고등학생의 시민의식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 및 학교 요인 탐색. 교육연구, 70, 143-167. 미소장
7 김서현·전자배·강병희(2022). 미디어를 활용한 청소년 사회참여 방안. 경기도교육연구원. [현안보고2022-07] 미소장
8 김영지 외(2021). 2021 아동청소년 권리에 관한 국제협약 이행 연구 – 한국 아동청소년 인권실태:총괄보고서 -.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연구보고21-R01]. 미소장
9 김용철(2016). 한국 민주주의의 품질: 민주화가 정체된 결함 있는 민주주의. 현대정치연구, 9(2), 31-62. 미소장
10 김욱(2013). 투표참여와 다른 유형의 정치참여 간의 연계성 분석. 정치·정보연구, 16(2), 27-59. 미소장
11 김현경·김신영(2015). 인권친화적 학교문화가 청소년의 시민의식에 미치는 영향. 시민교육연구, 47(2), 29-52. 미소장
12 김형철(2012). 아시아 민주주의의 질: 지표의 구축전략과 과제. 비교민주주의연구, 8(2), 99-131. 미소장
13 라종민·김소영(2018). 학생특성 및 교사특성이 청소년 시민의식 형성에 미치는 영향. Global Creative Leader, 8(3), 109-127. 미소장
14 류태건(2014). 사회자본론의 시각에서 본 시민참여와 호혜성의 관계: 부산시민 대상 설문조사 결과분석을 중심으로. 지방정부연구, 18(1), 465-495. 미소장
15 모상현 외(2021). 청소년 정치참여 실태와 활성화방안 연구.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연구보고21-R04] 미소장
16 모경환·김명정·송성민(2010). 한국 청소년의 시민의식 조사 연구. 시민교육연구, 42(1), 77-101. 미소장
17 민수빈·박해인·김이경(2016). 중학교 학생의 활동 경험이 시민의식에 미치는 영향 분석. 교육정치학연구, 26(3), 117-139. 미소장
18 박삼철(2003). Schein의 조직문화개념 분석에 기초한 학교문화와 학교풍토의 개념적 관계. 교육행정학연구, 21(4), 161-178. 미소장
19 박상준(2002). 합리적 의사결정 모형의 개인주의적 가정에 대한 비판적 논의 – Banks, Woolever, Scott를 중심으로. 시민교육연구, 34(1), 85-111. 미소장
20 박윤경 외(2020). 학교민주주의 진단을 위한 지표개발 : 충북 지역 학교를 중심으로. 교육문화연구, 26(2), 75-98. 미소장
21 박찬욱(2005). 한국인 정치참여의 특징과 결정요인: 2004년 조사결과 분석. 한국정치연구, 14(1), 147-193. 미소장
22 손봉호·조영달·이승종·김해성(1999). 한국의 시민사회와 시민윤리. 시민교육연구, 28, 1-44. 미소장
23 오관석·신기현(2008). 민주시민의식 형성을 위한 청소년 교육이념 및 정향에 관한 연구: 시민의식수준과 영역체계를 중심으로. 인문사회과학연구, 21, 69-106. 미소장
24 유혜영(2014). 청소년의 사회참여 활동이 정치참여 의사에 미치는 경로 –사회적 신뢰, 공동체 의식, 자아 효능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시민교육연구, 46(3), 141-166. 미소장
25 유혜영(2020). 민주적 학교문화가 청소년의 참여적 시민성에 미치는 영향 –ICCS 2016을 활용한 학교의 맥락효과를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미소장
26 유혜영(2022). 학생 자치 참여가 민주적 가치에 대한 신념에 미치는 영향. 법교육연구, 17(1), 33-65. 미소장
27 이대성·이병희(2019). 경기 민주시민교육의 실천과 과제: 학교민주주의 지수를 중심으로. 법과인권교육연구, 12(1), 1-14. 미소장
28 이승종·김혜정(2018). 시민참여론. 서울: 박영사. 미소장
29 이재현·김욱(2018). 비제도적 정치참여가 제도적 정치참여에 미치는 영향: 정치적 효능감과 정치신뢰도를 중심으로. 한국지방정치학회보, 8(1), 89-111. 미소장
30 장성집·이점조(2007). 학교장 리더십, 학교문화, 학교 재구조화, 학교 효과성, 통합교육 효과의 인과관계에 관한 고찰. 발달장애연구, 11(2), 69-95. 미소장
31 장은주 외(2015). 학교민주주의 지수 개발 연구(Ⅱ) - 지표 체계와 평가도구 개발 -. 경기도교육연구원. 미소장
32 전지원·전자배(2018). 청소년 참여활동 경험이 초기 성인기 시민의식과 사회참여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육, 45(2), 5-30. 미소장
33 정혜진·조영하(2020). 서울형 혁신학교에서 민주적 학교 운영에 의한 혁신은 실현되고 있는가: A중학교교사들의 경험에 관한 질적사례연구. 교육행정학연구, 38(1), 79-108. 미소장
34 조영서·유승민·심경은(2021). 시·도교육청별 학교 민주시민교육 정책 분석. 교육종합연구, 19(3), 69-93. 미소장
35 조원빈(2014). ‘좋은 민주주의’ 지표 : 민주주의 질의 경험적 측정. 비교민주주의연구, 10(1), 65-92. 미소장
36 조일수(2020). 대의민주주의와 참여민주주의의 특징 및 한계 비교 연구. 한국교육논총, 41(3), 23-50. 미소장
37 쿠키뉴스 2019.12.18.일자 기사: 경기도교육청, 학교민주주의 지수 79.65 … 4년째 상승. https://www.kukinews.com/newsView/kuk201912180099(검색일: 2024.04.09.) 미소장
38 한겨레 2006.01.18.일자 학생회 법제화, 찬성을 위한 반대. 기사:https://www.hani.co.kr/arti/society/schooling/96134.html(검색일: 2024.04.09.) 미소장
39 황여정·전현정(2017). 청소년의 지역사회 참여 모형개발 연구.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연구보고17-R01]. 미소장
40 Apple, M. & Beane, J. A. (2015). 민주학교: 혁신 교육의 방향을 묻는다 (강희룡 역). 서울: 살림터.(원저 2007 출간). 미소장
41 Arnett, J. J. (2000). Emerging Adulthood: A Theory of Development From the Late Teens Through the Twenties. The American Psychologist, 55(5), 469–480. 미소장
42 Barber, B. (1988). The Conquest of Politics: Liberal Philosophy in Democratic Times. Princeton: Princeton University Press. 미소장
43 Barnes, S. H. & Kaase, M. (1979). Political Action: Mass Participation in Five Western Democracy. Beverly Hills: Sage. 미소장
44 Baron, R. M., & Kenny, D. A. (1986). The moderator–mediator variable distinction in social psychological research: Conceptual, strategic, and statistical consideration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51(6), 1173–1182. 미소장
45 Berelson, R. B., Lazarsfeld, P. F., McPhee, W. N. (1954). Voting: a study of opinion formation in a presidential campaign. Chicago: Chicago University Press. 미소장
46 Bouche, V. (2010). Political Socialization, In Ishiyama, J. T. & Breuning, M. (Eds.), 21st Century Political Science: A Reference Handbook. Thousand Oaks : SAGE Publications. 미소장
47 Dewey, J. (2007). 민주주의와 교육 (이홍우 역). 파주: 교육과학사. (원저 1916 출간). 미소장
48 Dewey, J. (2011). 하우 위 싱크: 과학적 사고의 방법과 교육 (정회욱 역). 서울: 학이시습. (원저1910 출간). 미소장
49 Dewey, J. (2013). 존 듀이 교육론 (황정숙 역). 서울: 씨아이알. (원저 1897-My Pedagogic Creed/1900-The School and Society 출간). 미소장
50 Fishbein, M., & Ajzen, I. (1975). Belief, Attitude, Intention, and Behavior. New York :Wiley. 미소장
51 Freire, P. (2009). 페다고지 (남경태 역). 서울: 그린비출판사. (원저 1970 출간). 미소장
52 Hepburn, M. A. (2005). 학교와 교실에서의 시민교육 (이광성 역). 서울: 원미사. (원저 1983 출간). 미소장
53 Malowski, R., Witziers, B., & Steen, R. (2005). School Factors Related to Quality and Equity:Result from PISA 2000. OECD. 미소장
54 Marien, S., Hooghe, M., Quintelier, E. (2010). Inequalities in Non-Institutionalized Forms of Political Participation. A Multilevel Analysis for 25 contries. Political Studies, 58(1), 187-213. 미소장
55 Millbrath, L. W. & Goel, M. L. (1977). Political Participation. (2nd ed.). Chicago : Rand McNally College Pub Co. 미소장
56 Muller, E. (1982). An Explanatory Model for Differing Types of Participation. European Journal of Political Research, 10, 1-16. 미소장
57 Owens, R. G. (2001). Organizational Behavior: Instructional leadership and school reform, Needham Heights, MA: Allyn & Bacon. 미소장
58 Parker, W. & Jarolimek, J. (1984). Citizenship and the Critical Role of the Social Studies. Colorado : ERIC Clearinghouse for Social Studies/Social Science Education. 미소장
59 Parker, W. (1996) Advanced Ideas about Democracy: Toward a Pluralist Conception of Citizen Education. Teachers College Record, 98(1), 104-125. 미소장
60 Pateman, C. (1970). Participation and Democratic Theory.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미소장
61 Rosenston, S. J. & Hansen, J. M. (2003). Mobilization, Participation, and Democracy in America. New York: Longman. 미소장
62 Rousseau, J. J. (2010). 사회계약론 (김중현 역). (원저 1762 출간). 미소장
63 Sartori, G. (1962). Democratic Theory. Detroit: Wayne State University. 미소장
64 Scheerens, J. (2011). Indicators on informal learning for active citizenship at school. Educational Assessment Evaluation Accountability, 23, 201-222. 미소장
65 Schumpeter, J. (1976). Capitalism, Socialism and Democracy. London: Allen and Unwin. 미소장
66 Sunstein, C. R. (2011). 우리는 왜 극단에 끌리는가(이정인 역). (원저 2009 출간).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