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본 연구의 목적은 초·중등학교의 교육용 메타버스의 구축과 운영에 필요한 요소를 포함하는 프레임워크를 개발하는 것이다. 기존 연구들은 주로 메타버스의 수업 활용이나 기술 구축에 초점을 맞춰왔으며, 구체적으로 교육용 메타버스를 구축 및 운영하기 위한 프레임워크에 대한 연구는 부족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문헌 분석, 설문조사, 전문가 면담 및 델파이조사를 통해 목표, 참여 주체, 제반 요소, 주요 역할을 포함한 교육용 메타버스의 프레임워크를 개발하였다. 초·중등학교의 교육용 메타버스의 목표는 학습권 보장, 진로 탐색 지원, 학습 커뮤니티 공간 제공, 맞춤형 교육 실현이며 학생, 교원, 학부모가 참여 주체가 된다. 교육용 메타버스의 효과적인 구축과 운영을 위해 필요한 제반 요소로는 기술, 문화, 윤리가 포함된다. 교육용 메타버스는 교과 및 비교과 학습 지원, 풍부한 학습 경험 제공, 진로 체험 제공, 안전 교육, 커뮤니티 공간, 에듀테크 도구와의 상호운용성, 학습 현황 관리, 개별 포트폴리오 구축 등의 역할을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메타버스가 다양한 교수·학습 활동, 커뮤니티 공간을 통합하는 미래형 가상학교 공간으로서 기능할 수 있다는 가능성을 제시하고 초·중등학교 교육용 메타버스 구축 및 운영을 위한 실질적인 프레임워크를 제안하는 데에 의의가 있다.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협력학습 지원 도구의 효과 = The effects of collaborative learning support tools : focusing on high school students’ co-regulation and learning outcomes : 고등학생의 협력적 조절 및 협력학습 성과를 중심으로 이주원, 임규연 p. 177-213

디지털 도구 활용 독서토론 모형 개발 연구 =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reading discussion model using digital tools 호민애, 변호승 p. 215-247

학습자가 인식하는 실재감에 대한 구조방정식 기반 국내문헌 메타분석 = Structural equation-based meta-analysis of domestic literature on learners’ perceived presence 원용호, 진단비, 손지현, 신윤희 p. 249-273

Vygotsky 이론에 기반한 이중자극 제시 유무와 중립성 수준이 ‘과학적 개념’을 활용한 자발적 고등사고와 과제성취도에 미치는 효과 = Effects of the level of neutrality of the second stimulus in double stimulation based on Vygotsky’s theory on fostering of volitional high-order thinking and task achievement 김회수, 염시창, 윤혜정, 나은창 p. 275-306

게임 기반 학습에서의 자기 조절 학습 행동 분석 = Analysis of self-regulated learning behaviors in game-based learning using ordered network analysis : 순서화된 네트워크 분석(Ordered Network Analysis)의 활용 신은혜, Dan Carpenter, Jonathan Rowe p. 307-330

SNA 대시보드에 대한 학습자 사용 행동과 인식 탐색 = Exploring learner behaviors and perceptions on an SNA dashboard : interactivity and data visualization literacy : 상호작용성(Interactivity)과 데이터 시각화 리터러시 차수민, 임규연 p. 331-360

초·중등학교의 교육용 메타버스 구축 및 운영을 위한 프레임워크 개발 = Developing a comprehensive framework for constructing and operating edu-metaverse in K-12 education 임철일, 한형종, 임은선, 고보경, 엄태연, 김승하, 홍수민 p. 361-398

정보교사의 증강현실(Augmented Reality) 수용에 관한 선행요인 탐색 = Exploring the antecedents of computer teachers’ acceptance of augmented reality : towards an examination of the relations of technical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school support, perceived usefulness, and perceived ease of use : 기술준비도와 기술-교수내용 지식, 학교 지원, 지각된 유용성, 지각된 용이성을 중심으로 박정민, 송지훈 p. 399-440

비선호 농어촌 학교에서 중등 교사의 테크놀로지 활용에 관한 사례연구 = A case study on the technology use of secondary teachers in non-preferred rural schools 김재영, 김현진 p. 441-473

초등교육에서 인공지능 활용에 대한 체계적 문헌고찰 = A systematic literature review of the use of AIED in primary education 김소망, 홍지혜, 이정민 p. 475-500

비디오 포트폴리오를 활용한 대학교수의 교수역량 수행평가 도구 개발 연구 = Development of a performance evaluation tool for university professors’ teaching competency using video portfolios 박선향, 박인우 p. 501-540

대학 온라인 수업을 위한 교수자 역량 모형 개발 연구 = Development of college instructor’s competency model for online class in higher education 이세현, 임정훈 p. 541-570

인공지능 융합교육 필요성과 활성화 방안에 관한 질적 연구 = A qualitative research on the necessity and activation methods of AI convergence education : focusing on the perceptions of educational supervisors in charge of AI education : 인공지능 교육 업무 담당 교육전문직의 인식을 중심으로 이서교, 신민철, 황경빈, 박인우 p. 571-611

참고문헌 (44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강민수, 김건우, 신예은, 김대권 (2022). 메타버스 플랫폼 게더타운을 활용한 교육대학원 수업에서 학습자의 학습실재감과 몰입감이 학습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교육문제연구, 35(1), 83-116. (Translated in English) Kang, M., Kim, G., Shin, Y., & Kim, D. (2022). Effects of learning presence and flow on the learning satisfaction of learner's in a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class utilizing the metaverse platform gather.town. The Journal of Research in Education, 35(1), 83-116. 미소장
2 계보경, 서정희, 박연정, 이동국, 신윤미, 한나라, 김은지 (2021). 메타버스(Metaverse)의 교육적 활용 방안. 한국교육개발원. (Translated in English) Gye, B., Seo, J., Park, Y., Lee, D., Shin, Y., Han, N., & Kim, E. (2021). Educational application methods of the Metaverse. Korean Educational Development Institute. 미소장
3 계보경, 이동국, 이은상, 조안나, 김은지, 권미영 (2023). 메타버스(Metaverse) 기반 미래교육 학습환경 설계 연구. (RR 2023-02). 한국교육학술정보원. (Translated in English) Gye, B., Lee, D., Lee, E., Cho, A., Kim, E., & Kwon, M. (2023). Research on designing future learning environments based on Metaverse. (RR 2023-02). Korea Education and Research Information Service. 미소장
4 공하림, 김윤희 (2022). 한국어교육 전공 학습자의 메타버스 활용 수업에 대한만족도 조사 및 요구분석 연구. 인문사회21, 13(5), 3603-3617. (Translated in English) Gong, H., & Kim, Y. (2022). Satisfaction survey and demand analysis study on metaverse-using classes for learners majoring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The Journal of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 13(5), 3603-3617. 미소장
5 김나랑 (2022). 메타버스 특성요인과 학습 몰입 및 학습 만족도 간의 구조적 관계분석: 게더타운을 대상으로. 정보시스템연구, 31(1), 219-238. (Translated in English) Kim, N. (2022). Analysis of structural relationships among metaverse characteristic factors, learning immersion, and learning satisfaction: With Gather.town. The Journal of Information Systems, 31(1), 219-238. 미소장
6 김수인, 김효정 (2021). 게임기반학습에 기초한 디자인 수업이 중학교 1학년의 학습 몰입도에 미치는 영향-마인크래프트 활용을 중심으로. 미술교육연구논총, 64, 37-71. (Translated in English) Kim, S., & Kim, H. (2021). The effect of game-based learning design class on the learning flow of 1st grade middle school students - Based on Minecraft -. Journal of Art Education, 64, 37-71. 미소장
7 김주연 (2020). 3D MUVE(다중참여자형가상공간)를 활용한 연극교육 : 제페토(Zepeto)를 활용한 과정드라마. 교육연극학, 12(2), 23-42. (Translated in English) Kim, J. (2020). A study of theater education using 3D MUVE (multi-user virtual environments): Focusing on process drama in use of Zepeto. Journal of Korea Association for Drama/Theatre and Education, 12(2), 23-42. 미소장
8 김준호, 이병성, 최성진 (2022). 비대면 교육을 위한 메타버스 구축 및 활용 사례에 대한 연구. 문화기술의 융합, 8(1), 483-497. (Translated in English) Kim, J., Lee, B., & Choi, S. (2022). A study on metaverse construction and use cases for non-face-to-face education. The Journal of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gy, 8(1), 483-497. 미소장
9 김지혜 (2021). 미국의 교육 분야 메타버스 운영 및 활용 현황. 교육정책네트워크정보센터. (Translated in English) Kim, J. (2021). Current status of metaverse operation and utilization in the field of education in the United States. KEDI Education Policy Network. 미소장
10 김현정, 원종남, 이민구 (2022). 과학 분야 진로에 초점을 둔 고교생을 대상으로 한 메타버스 콘텐츠 제작 교육. 한국컴퓨터교육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26(1), 63-66. (Translated in English) Kim, H., Won, J., & Lee, M. (2022). Education for metaverse contents production based on science career. The Proceedings of Conference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Computer Education, 26(1), 63-66. 미소장
11 김현진, 김은영, 이은상, 계보경, 이은환 (2017). 미래학교 설립․운영 모델 개발 연구 (CR 2017-6). 한국교육학술정보원. (Translated in English) Kim, H., Kim, E., Lee, E., Gye, B., & Lee, E. (2017). Research on the development of future school establishment and operation models (CR 2017-6). Korea Education and Research Information Service. 미소장
12 박영신, 김의철 (2009). 한국 청소년의 행복: 심리적, 관계적, 경제적 자원과 학업성취의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사회문제, 15(3), 399-429. (Translated in English) Park, Y., & Kim, E. (2009). Factors influencing happiness among korean adolescents: With specific focus on the influence of psychological, relational and financial resources and academic achievement. Korean Psychological Journal of Culture and Social Issues, 15(3), 399-429. 미소장
13 박정호 (2021). 뉴노멀시대 마인크래프트 활용 비대면 SW교육 사례 연구. 한국디지털콘텐츠학회 논문지, 22(6), 951-958. (Translated in English) Park, J. (2021). A case study on non-faced sw education using Minecraft in new normal era.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22(6), 951-958. 미소장
14 박휴용 (2022). 메타버스 환경 속 가상학습의 이론적 토대 및 유형, 그리고 수업의 실제. 교사교육연구, 61(1), 35-56. (Translated in English) Park, H. (2022). Virtual learning in the meta-verse: Theoretical foundation, types, and the classroom practices. Teacher Education Research, 61(1), 35-56 미소장
15 부산시교육청 (2023). 고교학점제 메타캠퍼스 활용안내서. 부산교육 2023-53. (Translated in English) Busan Metropolitan City Office of Education. (2023). High school credit system metacampus usage guide. Busan Education 2023-53. 미소장
16 서울특별시교육청 (2022). 서울 수학학습 메타버스 이용안내. (Translated in English) Seoul Metropolitan Office of Education. (2022). Seoul mathematics learning metaverse usage guide. 미소장
17 윤지희, 이예슬 (2018). 초등교사의 의사결정권한이 수업개선활동과 교사효능감, 교직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분석. 한국초등교육, 29(4), 1-21. (Translated in English) Yoon, J., & Lee, Y. (2018). Decision-making authority in elementary school impact on instructional improvement activities, teacher efficacy, and teacher satisfaction. Korean Journal of Elementary Education, 29(4), 1-21. 미소장
18 이동국, 변숙자, 김동원 (2021). 메타버스 활용 교육 실태조사 및 활성화 방안. 충청북도 교육연구정보원. (Translated in English) Lee, D., Byun, S., & Kim, D. (2021). A survey and activation plan for education using metaverse. Chungcheongbuk-do Education Research & Information Institute. 미소장
19 이명숙 (2021). 해커톤 수업사례를 통한 메타버스 플랫폼의 교육적 활용방안. 컴퓨터교육학회 논문지, 24(6), 61-68. (Translated in English) Lee, M. (2021). Educational use of a metaverse platform through the case of the hackathon class. The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of Computer Education, 24(6), 61-68. 미소장
20 이유택, 김묘은, 김원, 하산 틴마즈, 하스난 베이버, 이수복, 김희철, 미나 이바노비치, 김주리 (2022). 서울형 메타버스 구축 방안 마련을 위한 정책 연구. 서울특별시교육청교육연구정보원. (Translated in English) Lee, Y., Kim, M., Kim, W., Tinmaz, H., Baybar, H., Lee, S., Kim, H., Ivanovich, M., & Kim, J. (2022). Policy research for establishing a seoul-type metaverse. Seoul Education Research & Information Institute. 미소장
21 이정미 (2022. 01. 04). 메타버스에 학교 만들자 했더니... ‘공부’에 빠진 아이들. 오마이뉴스. https://omn.kr/1wpev (Translated in English) Lee, J. (2022, January 4). When i suggested making schools in the metaverse... Children got immersed in ‘Studying’. Ohmynews. https://omn.kr/1wpev 미소장
22 임철일 (2019). 미래 사회와 교육을 위한 교육공학 연구 및 실천 영역의 재조명. 교육공학연구, 35(2), 253-287. (Translated in English) Lim, C. (2019). Redirecting the research and practice of educational technology for future society and education. Journal of Educational Technology, 35(2), 253-287. 미소장
23 임철일, 박태정, 한형종, 김근재, 권혜성, 이지연 (2019). 미래학교 공간 구축 및 개선을 위한 핵심 설계요소에 대한 탐색적 연구. 교육공학연구, 35(2), 589-619. (Translated in English) Lim, C., Park, T., Han, H., Kim, G., Kwon, H., & Lee, J. (2019). An exploratory study on essential design elements for constructing a future school space. Journal of Educational Technology, 35(2), 589-619. 미소장
24 임철일, 한송이, 계보경, 김은지, 권미영, 홍수민, 이다연, 박주현, 엄태연, 최재훈 (2022). 메타버스의 교육적 활용을 위한 가이드라인 연구(KR 2022-06). 한국교육학술정보원. (Translated in English) Lim, C., Han, S., Gye, B., Kim, E., Kwon, M., Hong, S., Lee, D., Park, J., Eom, T., & Choi, J. (2022). Research on guidelines for the educational use of the metaverse (KR 2022-06). Korea Education and Research Information Service. 미소장
25 임철일, 한송이, 계보경, 이다연, 박주현, 엄태연, 최재훈, 전민선, 김은지, 권미영, 홍수민 (2023). 초․중등교육에서 메타버스의 교육적 활용을 위한 교수․학습방법에 따른 유형화 및 전략 개발 연구. 교육정보미디어연구, 29(4), 1007-1036. (Translated in English) Lim, C., Han, S., Gye, B., Lee, D., Park, J., Eom, T., Choi, J., Jeon, M., Kim, E., Kwon, M., & Hong, S. (2023). Development of instructional strategies for metaverse class in K-12 education.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for Educational Information and Media, 29(4), 1007-1036. 미소장
26 임태형, 양은별, 김국현, 류지헌 (2021). 메타버스를 활용한 고등학생 진로체험 프로그램 사용자 경험 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1(15), 679-695. (Translated in English) Lim, T., Yang, E., Kim, G., & Ryu, J. (2021). A study on user experience analysis of high school career education program using metavers. The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21(15), 679-695. 미소장
27 임태형, 류지헌, 정유선 (2022). 메타버스 학습환경에 사회적 상호작용 여부와 수업유형이 실재감과 흥미발달에 미치는 효과. 한국교육학연구(구 안암교육학연구), 28(1), 167-189. (Translated in English) Lim, T., Ryu, J., & Jung, Y. (2022). The effects of emotional interaction by avatar on presence and interest development in the metaverse learning environment. The Korea Educational Review, 28(1), 167-189. 미소장
28 임해미 (2016). 부모의 수학에 대한 태도와 기대가 수학 학습 동기와 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수학교육학연구, 26(4), 701-714. (Translated in English) Lim, H. (2016). The relationships among parental attitudes, parental expectations, motivation and achievement focusing on mathematics. The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in Mathematics, 26(4), 701-714. 미소장
29 장혜승 (2022). 메타버스의 교육적 활용의 가능성. 한국교육개발원 이슈분석 209호. (Translated in English) Jang, H. (2022). The Potential for Educational Use of the Metaverse. Issue Analysis No. 209. Korean Educational Development Institute. 미소장
30 조영환, 황매향, 김윤강, 김명섭, 홍서연 (2015). 3차원 가상세계를 활용한 학교폭력 문제해결 활동의 효과와 개선점: 활동이론을 적용하여. 교육과학연구, 46(4), 71-97. (Translated in English) Cho, Y., Hwang, M., Kim, Y., Kim, M., & Hong, S. (2015). Effectiveness and weakness of school bullying problem solving activities in a 3D virtual world: Application of activity theory. Journal of Educational Studies, 46(4), 71-97. 미소장
31 한송이, 신윤미, 홍수민, 박주현, 임은선, 박성경, 엄태연, 정예일, 조준희 (2024). 교육용 메타버스 플랫폼 개발 및 운영 사례 연구: D대학교를 중심으로.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4(4), 1023-1043. (Translated in English) Han, S., Shin, Y., Hong, S., Park, J., Lim, E., Park, S., Eom, T., Jeong, Y., & Cho, J. (2024). Case study of development of metaverse platform for education using rapid prototype development methodology - Focus on D University. The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24(4), 1023-1043. 미소장
32 한형종, 홍수민 (2022). 초등 온라인 교육환경에서의 메타버스 활용에 대한 교사의 인식 및 요구도 분석. 디지털콘텐츠학회논문지, 23(8), 1383-1397. (Translated in English) Han, H., & Hong, S. (2022) A study on analyzing teachers' perception and needs of using metaverse in elementary online learning environment. Journal of Digital Contents Society, 23(8), 1383-1397. 미소장
33 Allam, Z., Sharifi, A., Bibri, S. E., Jones, D. S., & Krogstie, J. (2022). The metaverse as a virtual form of smart cities: Opportunities and challenges for environmental, economic, and social sustainability in urban futures. Smart Cities, 5(3), 771-801. 미소장
34 Chen, X., Zou, D., Xie, H., & Wang, F. L. (2023). Metaverse in education: Contributors, cooperations, and research themes. IEEE Transactions on Learning Technologies. 미소장
35 Hwang, G. J., & Chien, S. Y. (2022). Definition, roles, and potential research issues of the metaverse in education: An artificial intelligence perspective. Computers and Education: Artificial Intelligence, 3, 100082. 미소장
36 Lawshe, C. H. (1975). A quantitative approach to content validity 1, Personnel Psychology, 28(4), 563-575. 미소장
37 Lin, H., Wan, S., Gan, W., Chen, J., & Chao, H. C. (2022, December). Metaverse in education: Vision, opportunities, and challenges. In 2022 IEEE International Conference on Big Data (Big Data) (pp. 2857-2866). 미소장
38 Shu, X., & Gu, X. (2023). An empirical study of A smart education model enabled by the edu-metaverse to enhance better learning outcomes for students. Systems, 11(2), 75. 미소장
39 Sin, Z. P., Jia, Y., Wu, A. C., Zhao, I. D., Li, R. C., Ng, P. H., ... & Li, Q. (2023). Towards an Edu-Metaverse of knowledge: Immersive exploration of university courses. IEEE Transactions on Learning Technologies. 미소장
40 Standl, B., Kühn, T., Schlomske-Bodenstein, N. (2021). Student-collaboration in online computer science courses: An explorative case study. International Journal of Engineering Pedagogy, 11(5). 미소장
41 Sudarmaji, I., Yusuf, D. (2021). The effect of Minecraft video game on students’ English vocabulary mastery. JETAL: Journal of English Teaching & Applied Linguistic, 3(1), 30-38. 미소장
42 Wang, F. Y., Qin, R., Wang, X., & Hu, B. (2022). MetaSocieties in Metaverse: MetaEconomics and MetaManagement for MetaEnterprises and MetaCities. IEEE Transactions on Computational Social Systems, 9(1), 2-7. 미소장
43 Wu, T., & Hao, F. (2023). Edu-Metaverse: Concept, architecture, and applications. Interactive Learning Environments, 1-28. 미소장
44 Zhang, X., Chen, Y., Hu, L., & Wang, Y. (2022). The metaverse in education: Definition, framework, features, potential applications, challenges, and future research topics. Frontiers in Psychology, 13, 6063.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