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우주공간에 대한 안전하고 지속가능한 접근과 이를 통한 우주 활용은 인류의 삶과 국가안보, 그리고 경제에 매우 중요한 요소로 자리 잡고 있다. 특히 우주공간에서의 인간 활동이 증가하고 이를 통해 창출되는 군사적, 경제적, 사회적 가치가 증대함에 따라 이러한 우주활동에 대한 위협은 국가안보, 경제안보 차원의 문제로 부상하고 있다. 가장 심각한 위협 요소 중 하나인 우주잔해로부터 안전과 안보를 어떻게 확보할 것인가는 일국적 차원에서 해결될 수 있는 문제가 아니라는 점에서 국제협력이 필수적이다. 안전하고 평화로우며 지속가능한 우주 환경을 위한 공동의 이해와 국제사회의 노력에도 불구하고, 왜 우주 환경 안보를 위한 글로벌 협력의 수준은 여전히 낮은가? 이러한 질문에 대해 본 연구는 우주잔해 경감·제거, 나아가 우주 환경의 안전, 안보 및 지속가능성을 위해 국제사회가 협력해야 한다는 당위성이 아닌 그 원인을 체계적으로 분석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우주 환경의 변화, 특히 우주잔해가 안전과 안보를 위협하는 다양한 메커니즘과 이에 대응하기 위한 국제협력의 현황을 먼저 살펴본 후, 국제정치학 분야의 다양한 이론적 접근과 대안적 설명을 활용하여 왜 이러한 협력이 어려운지를 분석한다. 분석 결과, 현실주의, 자유주의, 구성주의적 접근은 지속가능한 우주 환경과 안보를 위한 우주행위자들의 특정 행동과 정책 등을 상대적으로 잘 설명하지만, 한계적인 측면이 존재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이러한 이론적 접근법과 함께 미시적 수준에서 우주행위자의 경쟁적 유인구조와 전략적 행동에 대한 면밀한 분석이 보완되었을 때 보다 종합적인 이해가 가능하다는 점을 제시한다.

참고문헌 (58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Bowen, Bleddyn. War in Space: Strategy, Spacepower, Geopolitics. Edinburgh: Edinburgh University Press, 2022. 미소장
2 Cobb, Wendy. Privatizing Peace: How Commerce Can Reduce Conflict in Space. Abingdon: Routhledge, 2021. 미소장
3 Keohane, Robert. After Hegemony: Cooperation and Discord in the World Political Economy. New Jersey, NJ: Princeton University Press, 1984. 미소장
4 Klein, John. Understanding Space Strategy: The Art of War in Space. New York, NY: Routledge, 2019. 미소장
5 Mearsheimer, John. The Tragedy of Great Power Politics. New York, NY: Norton, 2001. 미소장
6 Moltz, James. The Politics of Space Security: Strategic Restraints and the Pursuit of National Interests. Stanford, CA: Stanford University Press, 2019. 미소장
7 Sheehan, Michael. International Politics of Space. New York, NY:Routledge, 2007. 미소장
8 Waltz, Kenneth. Theory of International Politics. Reading, MA:Addison-Wesley Publishing Company, 1979. 미소장
9 김해동. “우주쓰레기 경감 가이드라인 동향 및 향후 전망.” 『한국항공우주학회지』 제48권 제4호 (2020년), pp. 311-321. 미소장
10 박진영·김관혁·이유·조경석·박영득·문용재·김해동·김연한. “강한 태양 및 지자기 활동 기간 중에 아리랑 위성 1호(KOMPSAT-1)의 궤도 변화.” Journal of Astronomy a nd Space S ciences. 제24권 제2호(2007년), pp. 125-134. 미소장
11 신상우. “UN 우주활동 장기 지속가능성(LTS) 가이드라인 채택의 의미.” 『항공우주시스템공학회지』 제13권 제5호 (2019년), p.49. 미소장
12 신상우. “UN 우주활동 장기지속성(LTS) 가이드라인의 정책적 검토.” 한국항공우주학회 2019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2019년 11월), p. 335. 미소장
13 정영진. “우주활동 국제규범에 관한 유엔 우주평화적이용위원회 법률소위원회의 최근 논의 현황.” 『항공우주정책·법학회지』 제29권 제1호 (2014년), pp. 127-160. 미소장
14 정헌주. “미국과 중국의 우주 경쟁과 우주 안보딜레마.” 『국방정책연구』 제37집 제1호 (2021년), pp. 9-40. 미소장
15 정헌주·백유나·정윤영. “우주와 국제개발협력: 우주기술을 활용한 지속가능발전목표 달성에 대한 탐색적 분석.” 『사회과학연구』 제33권 제2호(2022년), pp. 125-147. 미소장
16 Bowen, Bleddyn. “Cascading Crises: Orbital Debris and the Widening of Space Security.” Astropolitics. Vol. 12, Iss. 1 (March 2014), pp. 46-68. 미소장
17 Grieco, Joseph. “Anarchy and the Limits of Cooperation: A Realistic Critique of the Newest Liberal Institutionalism.” International Organization. Vol. 42, No. 3 (Summer 1988), pp. 485-507. 미소장
18 Imburgia, Joseph. “Space Debris and Its Threat to National Security.”Vanderbilt Journal of Transnational Law. Vol. 44, Iss. 3 (2021), pp. 589-641. 미소장
19 Martinez, Peter. “The UN COPUOS Guidelines for the Long-term Sustainability of Outer Space Activities.” Journal of Space Safety Engineering. Vol. 8, Iss. 1 (March 2021), pp. 106. 미소장
20 Migaud, Michael. “Protecting Earth’s Orbital Environment: Policy Tools for Combating Space Debris.” Space Policy. Vol. 52 (May 2020), pp. 1-9. 미소장
21 Page, Scott. “U.S. Space Policy and Theories of International Relations:The Case for Analytical Eclecticism.” Space Policy. Vol. 65(August 2023), pp. 1-13. 미소장
22 Schreiber, Nils. “Man, State, and War in Space: Neorealism and Russia’s Counterbalancing Strategy Against the United States in Outer Space Security Politics.” Astropolitics. Vol. 20, Iss. 2-3 (2022), pp. 151-174. 미소장
23 Silverstein, Benjamin. “Promoting International Cooperation to Avoid Collisions Between Satellites.” Carnegie Endowment of International Peace, Working Paper (September 2023), pp. 1-33. 미소장
24 Weinzierl, Matthew. “Space, the Final Economic Frontier.” Journal of Economic Perspectives. Vol. 32, No. 2 (2018), pp. 173-192. 미소장
25 Wendt, Alexander. “Anarchy is what States Make of it: The Social Construction of Power Politics.” International Organization. Vol. 46, No. 2 (Spring 1992), pp. 391-425. 미소장
26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우주쓰레기 경감을 위한 우주비행체 개발 및 운용 권고(안)』 (세종: 과학기술정보통신부, 2020). 미소장
27 과학기술정보통신부·한국항공우주연구원. 『UN COPUOS 우주활동 장기지속가능성 가이드라인』 (세종: 과학기술정보통신부, 2020). 미소장
28 관계부처 합동. 『미래 우주경제 로드맵 이행을 위한 제4차 우주개발진흥기본계획(안)』 (세종: 관계부처 합동, 2022). 미소장
29 문성록·최충현·한민규. “우주 쓰레기 제거 기술.”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KISTEP 브리프」 통권 86호 (2023), p. 4. 미소장
30 한국천문연구원. “국가 우주자산 보호를 위한 근지구 우주 환경 이해.” 한국천문연구원. 「KASI Insight」 제4호 (2014), p. 7. 미소장
31 Hildreth, Steven and Allison Arnold. Threats to U.S. National Security Interests in Space: Orbital Debris Mitigation and Removal. CRS Publication No. R43353. (Washington DC: Congressional Research Service, 2014), pp. 1-13. 미소장
32 NASA. Orbital Debris Quarterly News, Vol. 27, Iss. 1 (March 2023), p. 12. 미소장
33 NASA. Orbital Debris Quarterly News, Vol. 27, Iss. 4 (October 2023), p. 11. 미소장
34 NASA. Orbital Debris Quarterly News, Vol. 28, Iss. 1 (February 2024), p. 2. 미소장
35 World Economic Forum. Space Industry Debris Mitigation Recommendations in collaboration with the European Space Agency, WEF Centre for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June 2023). 미소장
36 김봉수. “中 우주쓰레기 ‘공습’에 시달리는 인도…“한 달 새 벌써 두 번”.” 『아시아경제』 2022년 5월 17일. https://www.asiae.co.kr/article/2022051707281375165(검색일: 2024년 2월 3일). 미소장
37 김홍범. “러시아, 위성 요격 시험, 1500개 파편 쏟아져 ISS 우주인 한때 비상.” 『중앙일보』 2021년 11월 17일.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024297(검색일: 2024년 2월 15일). 미소장
38 박시수. “네덜란드·오스트리아·이탈리아, 위성 요격 미사일 시험 중단 선언.”『Spaceradar』 2023년 4월 30일. https://www.spaceradar.co.kr/news/articleView.html?idxno=1214(검색일: 2024년 2월 29일). 미소장
39 박시수. “EU 모든 회원국, ‘인공위성 요격 미사일 시험’ 중단 선언.”『Spaceradar』 2023년 8월 28일. https://www.spaceradar.co.kr/news/articleView.html?idxno=2140(검색일: 2024년 1월 20일). 미소장
40 박시수. “미국·러시아, 우주 협력 지속 유인우주선 좌석 공유 2025년까지 연장.” 『산경투데이』 2023년 12월 31일. https://www.sankyungtoday. com/news/articleView.html?idxno=44422(검색일: 2024년 2월 15일). 미소장
41 윤보리. “위성 잔해, 한반도 피해간 듯”...우주 쓰레기 위협은 이제 시작?.”『YTN』 2023년 1월 9일. https://www.ytn.co.kr/_ln/0105_202301091944159358(검색일: 2023년 11월 5일). 미소장
42 윤 슬. “‘우주 쓰레기’ 추락 5년 새 10배 증가…지난해 2461개 지구로 낙하.”『뉴스스페이스』 2023년 4월 18일. https://www.newsspace.kr/news/articleView.html?idxno=560(검색일: 2024년 1월 10일). 미소장
43 이성규. “위성 17개 중 6개는 추력기 없어…충돌 위험.” 『YTN』 2015년 1월 5일. https://m.science.ytn.co.kr/program/view.php?mcd=0082&key=201501051040156928(검색일: 2023년 12월 15일). 미소장
44 이정호. “나무로 만든 인공위성 띄운다고?… “생각보다 튼튼”.” 『경향신문』2023년 6월 4일. https://m.khan.co.kr/science/aerospace/article/202306040900001#c2b(검색일: 2024년 1월 10일). 미소장
45 ESA. “Space Environment Statistics.” https://sdup.esoc.esa.int/discosweb/statistics/(accessed: February 10, 2024). 미소장
46 Tereza Pultarova. “Old Soviet satellite breaks apart in orbit after space debris collision.” Space.com August 31, 2023. https://www.space.com/soviet-satellite-breaks-apart-after-debris-strike(accesse d: February 10, 2024). 미소장
47 Karl Tate. “Russian Satellite Crash with Chinese ASAT Debris Explained.” Space.com November 18, 2021. https://www.space. com/20145-russian-satellite-chinese-debris-crash-infographic .html(accessed: February 12, 2024). 미소장
48 UN OOSA. “Long-term Sustainability of Outer Space Activities.”https://www.unoosa.org/oosa/en/ourwork/topics/long-term-su stainability-of-outer-space-activities.html(accessed: January 10, 2024). 미소장
49 Brian Weeden. “2009 Iridium-Cosmos Collision Fact Sheet.” Secure World Foundation November 10, 2010. https://swfound.org/media/6575/swf_iridium_cosmos_collision_fact_sheet_updated_2012.pdf(accessed: January 3, 2024). 미소장
50 White House. National Security Strategy 2010 (Washington DC: U.S. White House, May 2010), p.49. 미소장
51 White House. Space Policy Directive-1, Reinvigorating America’s Human Space Exploration Program (Washington DC: U.S. White House, December 2017). 미소장
52 White House. Space Policy Directive-2, Streamlining Regulations on Commercial Use of Space (Washington DC: U.S. White House, May 2018). 미소장
53 White House. Space Policy Directive-3, National Space Traffic Management Policy (Washington DC: U.S. White House, June 2018). 미소장
54 White House. Space Policy Directive-4, Establishment of the United States Space Force (Washington DC: U.S. White House, February 2019). 미소장
55 White House. Executive Order 13914—Encouraging International Support for the Recovery and Use of Space Resources (Washington DC:U.S. White House, April 2020). 미소장
56 White House. Space Policy Directive-5, Cybersecurity Principles for Space Systems (Washington DC: U.S. White House, September 2020). 미소장
57 White House. Space Policy Directive-6, National Strategy for Space Nuclear Power and Propulsion (Washington DC: U.S. White House, December 2020). 미소장
58 White House. Space Policy Directive-7, U.S. Space-Based Positioning, Navigation, and Timing Policy (Washington DC: U.S. White House, January 2021).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