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이 연구의 목적은 통계청의 5세 미만 영유아 출생코호트 추적관찰자료를 활용하여 영유아의 세부시기별(0세, 1~4세) 사망의 위험요인을 분석하기 위함이다. 분석 결과, 출생아 1,274,027명 중 5세 미만 사망아는 총 3,929명(0세 사망: 2,889명, 1~4세 사망: 1,040명)으로 0세 사망의 비율이 전체의 79.62%였다. COX 비례위험 생존 분석 결과, 영유아의 성별, 출생체중, 임신주수, 모총출생아수, 부모연령, 부모교육 정도가 5세 미만 사망과 관련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세부시기별 분석 결과, 0세 시기 사망은 출생체중, 임신주수, 모의연령, 부모교육 수준이 사망과의 관련성이 컸지만, 1~4세 시기에는 부모의 연령과 교육 수준이 사망에 미치는 영향이 감소하였다. 시기별 주요 사망원인을 분석한 결과, 0세 사망은 출생전후기병태(1,165명:(40.33%))와 선천성 기형의 비중이 높고(707명:(24.47%)), 1~4세 사망은 기타질환(신생물, 208명:(20.00%)), 신경계통질환:(15명(1.44%))과 외인사(운수사고: 108명(10.38%), 낙상: 42명(4.04%), 가해: 51명(4.90%) 등)의 비중이 높았다. 이 연구를 바탕으로 영유아 세부시기별 차이를 고려한 모자보건 및 영유아 건강정책을 개발하여 사망위험요인을 예방하여야 함을 제언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both the risk factors for death and the causes of death in infants and toddlers, categorized by detailed age (less than 12 months old, 1-4 years old), using birth cohort tracking observation data from the National Statistical Office.
The analysis revealed that out of 1,274,027 infants and toddlers, 3,929 deaths occurred under the age of 5 (2889 deaths at age 0 and 1,040 deaths at ages 1-4), with the rate of death at age 0 accounting for 79.62% of the total. Findings from the COX proportional risk survival analysis suggest that gender, birth weight, gestational week, maternal total birth rate, parental age, and parental education level were related to deaths under the age of 5.
A detailed age-group analysis indicated significant associations between death at age 0 and birth weight, gestational weeks, maternal age, and parental education level, while the effect of parental age and education level decreased in the age range of 1-4. Deaths at age 0 were largely attributed to pre-birth and post-natal diseases (1,165 deaths; 40.33%) and congenital abnormalities (707 deaths; 24.47%), while deaths at ages 1-4 were predominantly due to other diseases (208 deaths neoplasms; 20.00%), nervous system diseases (15 deaths; 1.44%), and external causes like transportation accidents (108 deaths; 10.38%), falls (42 deaths; 4.04%), and harms (51 deaths; 4.90%). Based on this study, it is suggested that maternal and child health policies should be developed to address differences in risk factors among infants and toddlers across different ages, aiming to prevent death.번호 | 참고문헌 |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
---|---|---|
1 | 김민형.(2017). 태아 프로그래밍과 성인기 질환. 한국모자보건학회지, 21(1), 1-13. | 미소장 |
2 | 김종환. (2018). 우리나라 5세미만 영유아사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고려대학교 보건대학원]. | 미소장 |
3 | 국민건강보험공단. (2024). 영유아 건강검진 안내 [팸플릿]. https://www.nhis.or.kr/nhis/healthin/wbhaca04800m01.do | 미소장 |
4 | 김혜련.(2013). 모자보건지표의 변화추이와 정책과제. 보건복지포럼, (206), https://dx.doi.org/10.23062/2013.12.6. | 미소장 |
5 | 고리경, 이승욱. (2000). 사망영아의 생존기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보건정보통계학회지, 25(2), 1-11. | 미소장 |
6 | 보건복지부. (2010). 마더세이프프로그램 [정책브리핑]. https://www.gov.kr/portal/service/serviceInfo/PTR000050395 | 미소장 |
7 | 심주영. (2019). 탄자니아 5세 미만 아동 사망 결정 요인 [박사학위논문, 연세대학교 보건대학원]. | 미소장 |
8 | 안수정, 손미아, 김영주. (2015). 부모의 교육수준과 직업에 따른 사망원인별 유아사망 불평등 연구.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17(4), 1919-1932. | 미소장 |
9 | 이명숙, 진현승, 심재원, 김민희, 임재우, 김천수, 이정주, 김은령. (2010). 재태연령과 출생 체중에 따른 미숙아의 생존율과 사망원인에 관한 다기관 연구. Perinatology, 21(4), 370-377. | 미소장 |
10 | 이은숙.(2003). 우리나라의 영아 및 유아사망 위험요인 [박사학위논문 연세대학교 대학원]. | 미소장 |
11 | 이수형.(2016). 유엔의 지속가능발전목표(SDGs) 분석과 이행 전략: 보건의료를 중심으로. 복지복지포럼, (242), 96-114. https://dx.doi.org/10.23062/2016.12.7 | 미소장 |
12 | 장민정. (2021). 임신주수에 따른 5세미만 사망률과 주 사망원인 [석사학위논문, 건양대학교 대학원]. | 미소장 |
13 | 진화영. (2021). 인구현상에 대한 인식과 함의. 보건복지포럼, (293), 70-86. | 미소장 |
14 | 조현정, 김창렬, 김남수, 염명걸, 박은영, 김종화. (2000). 자궁내 성장제한의 원인에 따른 태아심박수 자율신경조율 및불안정성이상의 차이. 한국순환기학회지, 35(7), 547-552. | 미소장 |
15 | 최규연. (2010). 성인기의 태중기원. 대한산부인과학회지, 53(6), 475-488. | 미소장 |
16 | 최경희. (2008). 사회경제적 사망 불평등에 대한 사망 원인별 기여도 [박사학위논문, 울산대학교]. | 미소장 |
17 | 통계청. (2022a). 출생통계결과 [보도자료]. | 미소장 |
18 | 통계청. (2022b). 고령자 통계. 대전: 통계청. https://kostat.go.kr/board.es?mid=a10301010000&bid=10820&act=view&list_no=427252 | 미소장 |
19 | 통계청. (2015c). 5세미만 출생사망코호트 https://mdis.kostat.go.kr/ofrData/selectOfrDataDetail.do?survId=1000017&itmDiv=1&nPage=3&itemId=2001&itemN m=%EC%9D%B8%EA%B5%AC#click | 미소장 |
20 | 통계청. (2016d). 제7차한국표준질병사인분류. https://kssc.kostat.go.kr:8443/ksscNew_web/index.jsp# | 미소장 |
21 | 한국건강증진개발원. (2022). 제5차 국민건강증진종합계획. | 미소장 |
22 | 한영자, 최정수, 이상욱, 서경, 오희철, 이승욱, 이난희, 신창우. (2009). 5세미만 사망수준 및 특성분석. 보건복지가족부, 한국보건사회연구원. | 미소장 |
23 | 홍재석. (2004). 우리나라 신생아의 사망수준과 재태기간별 출생체중에 관한 연구 [박사학위논문, 연세대학교 대학원]. | 미소장 |
24 | Jane, C. G., Malone, F. D., John, V., Robert, H., David, A., Christine, H., George, R., Keith, A., Susan, K., Lorraine, D., Ilan, E, Sabrina, D., Stephen, R., Honor, M., Diana, W., & Mary, D. (2005). Impact of maternal age on obstetric outcome. Obstetrics & Gynecology, 105(5 Part 1), 983-990. | 미소장 |
25 | Clausen, J. O., Knut, B. J., & Pedersen, O. (1997). Relation between Birth Weight and the Insulin Sensitivity Index in a Population Sample of 331 Young, Healthy Caucasians. American Journal of Epidemiology, 146(1), 23-31. | 미소장 |
26 | Fang, H. S, Chen, W. L., Chen, C. Y., Jia, C. H., Li, C. Y., & Hou, W. H. (2015). Levels of urbanization and parental education in relation to the mortality risk of young children. International journal of environmental research and public health, 12(7), 7682-7696. | 미소장 |
27 | Jo, M., Oh, I., Moon, D., Kim, S., Jung-Choi, K., & Chung, H. (2023). Maternal socioeconomic position and inequity in child deaths: An analysis of 2012 South Korean birth cohort of 466,636 children. Population Health, 21(3), 1-10. | 미소장 |
28 | KANG, M. S., LEE, J. Y., LEE, S. H., OH, E. H., LEE, C. W., Choi, Beom.,C. Y., & KIM, D. J. (2002). The obstetrical and statistical aspects of the unmarried mother. Korean Journal of Obstetrics and Gynecology, 45(8), 1347-1353. | 미소장 |
29 | Kim, S., & Cho, Y. (2011). Impact of Delayed Childbearing on Infant Mortality by Maternal Education. Health and Social Science, 6, 69-97. | 미소장 |
30 | Kong, K. A., Khang, Y. H., Cha, E. S., Moon, E. K., Lee, Y. H., & Lee, W. J. (2010). Childhood cancer mortality and socioeconomic position in South Korea: a national population-based birth cohort study. Cancer Causes & Control, 21, 1559-1567. http://springerlink.metapress.com/link.asp?id=100150 | 미소장 |
31 | Greisen, G., & Petersen, M. B. (1989). Perinatal growth retardation in preterm infants. Acta Pædiatrica, 78, 43-47. | 미소장 |
32 | Harding, J. E., & McCowan, L. M. E. (2003). Perinatal predictors of growth patterns to 18 months in children born small for gestational age. Early human development, 74(1), 13-26. | 미소장 |
33 | Liu, L., Oza, S., Hogan, D., Perin, J., Rudan, I., Lawn, J. E., & Black, R. E. (2015). Global, regional, and national causes of child mortality in 2000–13, with projections to inform post-2015 priorities: an updated systematic analysis. The lancet, 385(9966), 430-440. | 미소장 |
34 | Mirowsky, J. (2005). Age at first birth, health, and mortality. Journal of health and social behavior, 46(1), 32-50. | 미소장 |
35 | Rich-Edwards, J. W., Buka, S. L., Brennan, R. T., & Earls, F. (2003). Diverging associations of maternal age with low birthweight for black and white mothers. International journal of epidemiology, 32(1), 83-90. | 미소장 |
36 | Son, M., An, S. J., Choe, S. A., Park, M., & Kim, Y. J. (2020). Role of Parental Social Class in Preterm Births and Low Birth Weight in Association with Child Mortality: A National Retrospective Cohort Study in Korea. Yonsei Med Jounrnal, 61(9), 805-815. | 미소장 |
37 | Tashiro, A., Yoshida, H., & Okamoto, E. (2019). Infant, neonatal, and postneonatal mortality trends in a disaster region and in Japan, 2002–2012: a multi-attribute compositional study. BMC public health, 19(1), 1-13. | 미소장 |
38 | Wang, Y. P., Miao, L., Dai, L., Zhou, G. X., He, C. H., Li, X. H., & Liang, J. (2011). Mortality rate for children under 5 years of age in China from 1996 to 2006. Public health, 125(5), 301-307. | 미소장 |
39 | World Health Organization (2004). International statistical classification of diseases and related health problems: Alphabetical index volume 3. 2nd ed. Geneva: WHO. | 미소장 |
40 | World Health Organization. (2016). International statistical classification of diseases and related health problems, 10th revision, Fifth edition, 2016. http://apps..int/classfications/icd10/browse/2016/en | 미소장 |
41 | UNICEF, WHO, World Bank. (2021). United Nations. Levels & Trends in Child Mortality report 2021. | 미소장 |
42 | UN. (2023). Global Sustainable Development Report(GSDR) 2023. https://sdgs.un.org/goals | 미소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