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본 연구는 실행연구 방법을 적용한 현장과 학계의 협력적 공동 작업을 통해, 주체성 지향의 〈자립지원 사례관리〉에 대한 실천원칙을 알아보고, 주체성 지향의 〈자립지원 사례관리〉 실천원칙의 실천 경험을 탐구했다.

2년에 걸친 실행연구에는 현장 연구진으로 자립준비청년 당사자, 자립지원전담인력이 참여했다. 실행연구 1차년도에는 실천원칙을 개발하였고, 2차년도에는 실천원칙의 수정·보완과 현장 적용이 이루어졌다. 자립지원전담인력은 7대 실천원칙(자립준비청년의 주체성 인정, 넓은 의미의 자립 정의, 작은 성취 경험의 기회 제공, 실패와 수정의 인정, 차별 없는 지원, 관계의 지속성, 기관과 지역사회의 지원과 협력)을 실행하고 연구진과 함께 자기 성찰 과정을 통해 주체성 지향의 〈자립지원 사례관리〉를 위한 실천목록을 제안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자립준비청년 지원에 있어 주체성 강화를 위한 실천적, 정책적 함의를 제시했다.

This study applied the action research method to explore the definition and practice of agency-oriented case management and the practical experience of agency-oriented case management through the collaborative work of field and academia. The two-year action research study included young adults in transition to independent living from out-of-home care and independence support workers as field researchers.

In the first year of the action research, the principles were developed, and in the second year, the principles were revised, supplemented, and applied in the field. Independence support workers implemented seven principles of practice (recognizing the agency of transition-age youth, defining independence in a broad sense, providing opportunities to experience small accomplishments, acknowledging failure and modification, non-discriminatory support, continuity of relationships, and agency and community support and collaboration) and, through a process of self-reflection with researchers, proposed an action list for agency-oriented transition case management. Based on the findings of the action research, we suggest practical and policy implications for strengthening agency in supporting young people preparing for independence.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가구분화에 따른 노인가구의 빈곤 및 소득불평등 추정과 정책 방향 = Estimation of the elderly poverty rate due to household separation and policy response 강성호 p. 4-29

성인 화상 생존자 보호자의 의료기관 기반 사회복지서비스 욕구 = Hospital-based social welfare service needs among caregivers of adult burn survivors 황세희, 박소영 p. 30-49

5세 미만 영유아 세부시기별 사망위험요인과 사망원인 분석 = A study on risk factors for death and the causes of death in infants (12 months old or younger) and toddlers (1-4 years old) : based on Statistics Korea’s birth-and-death data on infants under the age of 5, 2012~2015 : 통계청 5세 미만 영유아 출생사망연계자료를 활용하여(2012~2015년) 박상희 p. 50-66

이주민 가족의 사회통합을 위한 법제도 검토 = Review of legal framework for social integration of immigrant families : focus on childcare and support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and single-parent family support : 영유아 보육 및 장애인, 한부모가족 지원을 중심으로 장주영, 김희주 p. 67-84

사회복지 실천현장의 ICT 활용 의도에 영향을 주는 조직 요인 분석 = An analysis of the effect of organizational factors on the intention to use ICT in social work practice 신준섭, 신유선, 양호정 p. 85-107

지역약국 신규 도입 서비스에 대한 재정 분석 = Financial analysis of new specialty services provided by community pharmacy pharmacists 최한실, 권순홍, 황태원, 이진형 p. 108-128

사회서비스 공급기관 규모화와 사업체 특성 변화 연구 = Scaling-up in social service sector and changing organizational characteristics 함선유, 안수란, 하태정 p. 129-153

의료사회복지사의 직무열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factors affecting work engagement of medical social worker : the job demands-resources model perspective : 직무요구-자원 모형을 중심으로 유진선, 이유진, 공보경 p. 154-177

음주규범이 음주행동에 미치는 영향과 음주기대의 매개효과 = Drinking norms and drinking behavior : alcohol expectancy as a mediator 박정선, 손창우, 김광기 p. 178-196

팬데믹의 인식과 대응이 지역주민의 신체활동과 사회적 자본에 미치는 영향 = The impact of perception and respond to pandemics on residents’ physical activity and social capital 정현 p. 197-217

초기 청소년의 스마트폰 과의존이 공감에 미치는 영향 = The impact of smartphone overdependence on empathy in early adolescence : serial mediating effects of maternal attachment and self-esteem : 모애착과 자아존중감의 순차적 매개효과 이상미 p. 218-238

우울장애 진단-자살사망 기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연구 = A study on the factors affecting the duration between diagnosis of depressive disorder and suicide 성근혜, 최진화, 이동현, 황태연 p. 239-255

비영리 모금기관에 대한 인식과 기부 행위의 관계 =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ptions of nonprofit charitable organizations and giving behavior 최성언, 최수빈, 강다은 p. 256-280

자립지원전담인력의 주체성 지향 <자립지원 사례관리> 실천을 위한 실행연구 = An action research on the practice of independence support workers’ agency-oriented <Independence Support Case Management> 정선욱, 임세희, 이상정, 윤수경 p. 281-310

부모의 스마트폰 의존도와 자녀의 스마트폰 의존도의 전이관계 = The latent transition analysis of smartphone dependency from parents to children 안선경, 정익중, 강진아, 김소연 p. 311-335

가족돌봄청년 일상의 재구성과 정서적 경험 = Young carer’s reconstruction of everyday life and emotional experiences 노혜진 p. 336-359

토픽모델링과 의미연결망을 이용한 국내 언론의 마약 보도 주제와 경향 분석 = Topic modeling and semantic network analysis of themes and trends of news reports on drugs in South Korea 백혜진, 정유미 p. 360-380

청소년의 여가활동과 주관적 행복감의 관계에 관한 종단연구 = A longitudinal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leisure activities and subjective happiness among adolescents 신성희, 이선우 p. 381-402

다자녀정책 인식에 대한 탐색적 연구 = An exploratory study on awareness of the multi-child policy : topic modeling analysis of comments on news articles about the multi-child policy : 토픽모델링을 활용한 다자녀정책 뉴스 기사의 댓글 분석 배혜원 p. 403-429

부산시 소지역 주민참여 건강사업의 형성과 발전 과정 = The establishment and development of community participatory health programs in Busan : fifteen years of the healthy Bansong project : 건강반송사업 이후 15년 윤태호 p. 430-449

참고문헌 (54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강현주, 김미숙, 강누리. (2023). 자립지원전담인력 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 연구. 청소년시설환경, 21(1), 91-105. http://doi.org/10.55063/KIYFE.2023.21.1.9 미소장
2 강현주, 홍나미, 박주혜. (2020). 보호종료아동의 자립역량강화 사업 참여경험에 관한 연구. 청소년복지연구, 22(3), 1-36. http://doi.org/10.19034/KAYW.2020.22.3.01 미소장
3 곽금주. (2010). 흔들리는 20대–청년기 생애설계 심리학.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미소장
4 관계부처합동. (2020. 12.). 제1차 청년정책 기본계획(’21~’25). https://www.opm.go.kr/flexer/view.do?ftype=hwp&attachNo=103721 미소장
5 관계부처합동. (2021. 7. 13). 보호종료아동(자립준비청년) 지원강화 방안 [보도자료]. https://www.korea.kr/briefing/pressReleaseView.do?newsId=156461720#pressRelease 미소장
6 권자영, 박향경. (2018). 사회복지사의 실천관계경험에 대한 탐색적 연구. 한국사회복지교육, 44, 51-75. http://doi.org/10.31409/KJSWE.2018.44.51 미소장
7 김동현, 홍재영. (2023). 시각중복장애학생의 여가 활동 참여 촉진을 위한 협력적 실행연구: 기본 운동 능력 변화를 중심으로. 시각장애연구, 39(1), 91-124. http://doi.org/10.35154/kjvi.2023.39.1.91 미소장
8 김경미. (2009). 자립생활 체험홈에서 장애인의 자립에 대한 경험과 변화에 대한 연구. 한국장애인복지학, 11, 151-182.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1416984 미소장
9 김미옥. (2009). 사회복지학에서의 실행연구(Action Research) 적용과 유용성. 한국사회복지학, 61(3), 179-204. http://doi.org/10.20970/kasw.2009.61.3.008 미소장
10 김진우. (2018). 영국 장애인 탈시설화의 함의 – 지역사회 내 거주 및 주체성 증진을 중심으로 –. 한국사회복지학 70(3), 7-27. http://doi.org/10.20970/kasw.2018.70.3.001 미소장
11 남기철, 정선욱. (2020). 사회복지실천 기법과 지침. 나남. 미소장
12 노혜련, 김경희, 소라미, 김유나, 강정은, 김희진. (2021). 서대문구 시설보호아동 최선의 이익 보장을 위한 기초지자체의 역할과과제: 아동의 지지체계를 중심으로. 서대문구청, 숭실대학교 산학협력단. 미소장
13 마한얼. (2024). 거주시설에서의 인권과 자기결정권의 개념 및 적용 과제. 보건복지포럼, 329, 4-19. https://kiss-kstudy-com-ssl.libproxy.snu.ac.kr/Detail/Ar?key=4084298 미소장
14 박병금. (2023). 자립준비청년의 자립관련 연구동향 분석. 청소년학연구, 30(8), 59-80. http://doi.org/10.21509/KJYS.2023.08.30.8.59 미소장
15 박성희. (2023). 한‧독간 비교분석을 통한 보호종료아동의 자립지원체계에 대한 제언. 교육연구, 37(2), 45-65. https://scholar.kyobobook.co.kr/article/detail/4010037106435 미소장
16 박수선, 송인주, 신지현. (2015). 지역사회복지기관 사례관리자 실천지표 개발 연구. 한국지역사회복지학, 55, 61-102.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2053161 미소장
17 박해선, 김현옥, 김소형. (2023). 자립준비에 관한 두 개의 목소리 – 당사자와 실천가의 진술 비교. 한국사회복지학, 75(4), 13-47.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3019464 미소장
18 보건복지부, 아동권리보장원. (2024). 2024년 자립지원 업무 매뉴얼. 미소장
19 보건복지부. (2024). 2024 아동분야 사업안내. 2권. 보건복지부. 미소장
20 신도경. (2023. 10. 4.). 최근 2년간 자립지원전담인력 정원의 40% 퇴사...1명당 71명 관리. 뉴스핌. https://www.newspim.com/news/view/20231004000133 미소장
21 신혜령. (2001). 시설청소년의 자립준비에 관한 연구. 한국아동복지학, 11, 90-124. https://www.dbpia.co.kr/Journal/articleDetail?nodeId=NODE07113573 미소장
22 아동권리보장원. (2021). 2021 아동복지 생활시설 보호아동 실태조사(미발간자료). 미소장
23 유민상, 신동훈. (2022). 2021 청년도전지원사업 참여자 사후 모니터링 및 성과평가.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미소장
24 이경아, 하경희, 유명이. (2009). 정신장애인 사회복귀시설에서 사회복지사의 강점 사정 적용에 관한 실행연구. 정신보건과 사회사업, 33(12), 130-166.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1404064 미소장
25 이미영, 최연실, 김성은. (2022). 여성장애인을 위한 자녀 양육 상담 실행연구. 가족과 가족치료, 30(3), 465-492.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2885702 미소장
26 이상정, 김지민, 류정희, 허은영, 박세경, 임성은, 김지연, 황정하, 김무현. (2020). 보호종료아동 자립실태 및 욕구조사. 보건복지부, 한국보건사회연구원. 미소장
27 이상정. (2018). 미국의 아동 자립지원제도와 시사점. 국제사회보장리뷰, 7, 94-101. https://kiss.kstudy.com/Detail/Ar?key=3646143 미소장
28 이상정, 주보혜, 이민경, 권영지, 강민희, 김성희, 임세희, 심석순, 김혜진, 강현주, 허선영, 김민정, 마한얼. (2023). 거주시설 이용자의 인권과 보호: 자기결정권 보장 방안을 중심으로. 한국보건사회연구원. 미소장
29 이예진. (2022). 자립지원사업의 이해 [발표자료]. 2022년 자립지원전담인력 보수교육자료. 미소장
30 이재혁. (2023. 10. 3.). 자립준비청년 사후관리 전담 인력 1인당 63.4명 맡아. 메디컬투데이. https://mdtoday.co.kr/news/view/1065595322990912 미소장
31 오혜인, 박수빈. (2020). 사회복지 전문가 후견인들의 치매 노인 후견 경험에 관한 연구 – 신상보호과정에서 피후견인의 자기결정 지원을 중심으로. 한국사회복지학, 72(4), 181-213. http://doi.org/10.20970/kasw.2020.72.4.007 미소장
32 정무성, 양희택, 노승현. (2006). 장애인복지개론. 학현사. 미소장
33 정선욱, 노충래, 김현진, 임선영. (2022). 아동 의견을 어떻게 들어야 하는가? - 아동보호관련 기관 종사자의 의견청취 현실과과제. 한국아동복지학, 71(3), 27-60.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2883769 미소장
34 정유경, 김정란, 최준수, 공명자, 박경영. (2023). 장애인 운전교육통합서식지 개발을 위한 실행연구. 대한작업치료학회지, 31(2), 15-29.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2970851 미소장
35 조용환. (2015). 현장연구와 실행연구. 교육인류학연구, 18(4), 1-49. http://doi.org/10.17318/jae.2015.18.4.001 미소장
36 최윤정, 박소영, 정신모, 김주희. (2018). 재난위험에 있어 장애인의 주체성 강화 방안 모색 연구. 한국사회복지학회 2018년도춘계공동학술대회 자료집 (pp. 283-307). https://www.dbpia.co.kr/Journal/articleDetail?nodeId=NODE09351097 미소장
37 하지선, 김정현, 우아영, 임정현. (2019). 현장 사업에 대해 질적 연구를 수행한 사회복지실천가들의 경험: 비판적 성찰을 통한 실천원형의 복원. 사회복지연구, 50(4), 87-117. http://doi.org/10.16999/kasws.2019.50.4.87 미소장
38 허만세, 전준희. (2018). 정신병원 장기입원환자에 대한 퇴원적절성 평가 도구 개발을 위한 실행연구. 정신보건과 사회사업, 46(2), 31-60. http://doi.org/10.24301/MHSW.2018.06.46.2.31 미소장
39 허민숙. (2023). 지속가능한 자립: 자립지원전담기관 운영실태와 개선과제. 국회입법조사처. 미소장
40 홍문기. (2022). 독일 자립준비청년 지원체계 분석 및 한국에의 함의점. 사회복지법제연구, 13(3), 119-139.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2899606 미소장
41 황상현, 노형규. (2022). 지체장애인 가족 스키 프로그램에 관한 실행연구. 한국특수체육학회지, 30(4), 77-96. http://doi.org/10.17006/kjapa.2022.30.4.77 미소장
42 Bandura, A. (2001). Social cognitive theory: An agentic perspective. Annual Review of Psychology, 52(1), 1-26. https://doi.org/10.1111/1467-839X.00024 미소장
43 coramVoice. (2023, Febrary 14). The Story of New Belongings: Improving services for care leavers with care leavers. https://coramvoice.org.uk/latest/the-story-of-new-belongings/ 미소장
44 Deci, E. L., & Ryan, R. M. (1985). The general causality orientations scale: Self-determination in personality. Journal of research in personality, 19(2), 109-134. https://doi.org/10.1016/0092-6566(85)90023-6 미소장
45 Donato, R. (2003). Action Research. Eric Digest. EDO-FL-03-08. 미소장
46 Kemmis, S., & McTaggart. R. (2005). Participatory Action Research Communicative Action and the Public Sphere. In Denzin, N. K., & Lincoln, Y. S. (Eds.), The Sage Handbook of Qualitative Research(3rd) (pp. 559-604). Thousand Oaks: Sage. 미소장
47 Kemmis, S., & McTaggert, R. (1998). The action research planner. Geelong, Victoria, Australia: Deakin University Press. 미소장
48 Kemmis, S., McTaggart, R., & Nixon, R. (2014). The action research planner: Doing critical participatory action research. Singapore: Springer. 미소장
49 Nottinghamshire County Council. (n.d.). Personal Advisor. Retrieved April 24, 2024, from https://nottinghamshire.tal.net/vx/mobile-0/appcentre-ext/brand-2/candidate/so/pm/4/pl/1/opp/16686-Personal-Adviso r/en-GB 미소장
50 OECD. (2019). Future of Education and Skills 2030, Concept note: Student Agency for 2030. https://www.oecd.org/education/2030-project/teaching-and-learning/learning/student-agency/Student_Agency_for_2030_concept_note.pdf. 미소장
51 SGB VIII. (n.d.). Sozialgesetzbuch VIII. Retrieved January 20, 2024, https://www.sozialgesetzbuch-sgb.de/sgbviii/1.html 미소장
52 Stringer, E. (1996). Action Research: A handbook for pracitioners. Thousand Oaks, CA: Sage. 미소장
53 United Nations. (2016). Leaving no one behind: the imperative ofinclusive development, Report on the World Social Situation 2016. https://www.un.org/esa/socdev/rwss/2016/full-report.pdf 미소장
54 Wehmeyer, M. L. (1999). A functional model of self-determination: describing development and implementing instruction. Focus on autism and other developmental disabilities, 14(1), 53-61. https://www.imdetermined.org/wp-content/uploads/2018/06/SD5_A-Functional-Model-of.pdf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