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본 연구의 주제는 직장여성의 ‘일과 가족의 균형(Work-Family Balance)’ 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경험적으로 분석해 보는 것이다. 우리나라 직장여성의 삶과 가족의 영역에 있어서 연구 개념의 적용과 결과의 해석에 여전히 학문적으로 비워진 부분은 남아 있다. 그런 점에서 본 연구는 일과 가족의 균형 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크게 일의 차원, 가족의 차원, 개인 속성으로 구분하고, 이론적으로 총 18개의 영향요인을 설정하였다. 또한 직업적 특성과 대표성을 고려하여, 직장여성은 공공부문의 공무원과 민간기업의 회사원 표본으로 구분하였다. 주요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전체 표본에서 가사 분담의 수준, 일-가정 양립문화, 업무의 자율성, 가족과의 소통, 업무 스트레스, 가족과의 동거, 급여 등의 순서로 일과 가족의 균형 인식에 영향을 미쳤다. 둘째, 공무원 표본에서는 급여, 가족과의 동거, 업무 스트레스, 가사 분담의 수준, 일-가정 양립문화, 가족과의 소통 등의 순서로 일과 가족의 균형 인식에 영향을 미쳤다. 셋째, 회사원 표본에서는 업무의 자율성, 직장의 규모, 업무 스트레스, 가사 분담의 수준, 가족과의 동거, 일-가정 양립문화, 미취학 자녀 등의 순서로 일과 가족의 균형 인식에 영향을 미쳤다. 특히 직업군에 따라 일과 가족의 균형에 대한 영향요인의 차이점이 드러났다. 회사원 여성은 직장의 규모, 업무의 자율성, 미취학 자녀 등이 유의했고, 공무원은 급여와 금전 문제가 상대적으로 유의했던 차이가 있었다. 결론에서는 이런 연구 결과에 근거한 함의와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The topic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and empirically analyze the factors that influence working women's perception of work-family balance. There is a gap in the research and interpretation of work-family balance in the life and family issues of working women. In this regard, this study categorized the influencing factors on the perception of work-family balance into work dimensions, family dimensions, and personal attributes, and theoretically established a total of 18 influencing factors. In addition, considering occupational characteristics and representativeness, the sample of working women was divided into public sector employees and private sector employees. The main results of the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in the sample of women in the public sector, 1)salary, 2)living with family, 3)stress from work, 4)division of household labor, 5)family-friendly workplace culture, and 6)communication with family had a significant impact on perceived work-family balance. Second, in the sample of women in the private sector, 1)work autonomy, 2)company size, 3)stress from work, 4)division of household labor, 5)cohabitation with family, 6)family-friendly workplace culture, and 7)preschool children had a significant impact on perceptions of work-family balance. Third, this study revealed differences in the influencing factors on women’s perceptions of work-family balance according to their occupational group. Therefore, the conclusion of this study discussed implications based on these findings.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초등학교 교과서를 통해 본 가족담론의 변화 = Changes in family discussion through elementary school textbooks : focusing on social studies textbooks for 1st and 2nd graders and integrated textbooks : 1-2학년 사회과 교과서 및 통합교과서를 중심으로 박미선, 신항수 p. 5-39

게이 남성 관계·돌봄 실천의 조건 = Preconditions for gay men's relationship and caregiving practices : the light and shadow of the first generation (heterosexual) unmarried gay community : 첫 세대 비(이성애)혼 게이커뮤니티의 명암 김대현, 이유나 p. 41-78

퀴어생존의 생태계를 구축하는 실천으로서의 돌봄 = Caring as a practice that builds relationships of interdependence of queer survival : 게이 남성을 중심으로 김순남, 나영정 p. 79-114

자기조직화 전략으로서 ‘커뮤니티 오거나이징’ = The “community organizing” as a strategy for self-organizing : the background and significance of Alinsky’s idea on community organizing : 알린스키의 커뮤니티 오거나이징 구상의 출현 배경과 의미 최대희 p. 115-144

초개인화시대, 인문커뮤니티역량지도사 양성방안 연구 = A study on training methods for competency coaches of humanity-community in the hyper-individual era 류도향 p. 145-166

<진정사효선쌍미>의 서사 분석과 효선 재해석 = The analysis of narrative and reinterpretation of filial piety and good deed in “Jinjeongsa Hyoseon Ssangmi” 정천구 p. 167-192

<부여노정기>에 나타난 연안 이씨의 다층적 공간 인식과 여행 인식 = Multilayered spatial perception and travel perception of Yeonan Lee in <Buyeonojeonggi> 김동연 p. 193-214

玉川 趙德鄰의 親族 관련 祭文에 나타난 애도방식과 의미 = The way and meaning of mourning in Cho Deok-rin's Kinship-related Jemun(祭文) 최은주 p. 215-238

유의(儒醫) 석봉(石峰) 김병태(金抦泰) 가문의 대택(大宅) 경영 = Confucian doctor(儒醫) Seokbong(石峰) Kim, Byung-tae(金抦泰) family’s management of head house(大宅) 김종수 p. 239-268

레비나스에게 가족의 의미 = The meaning of family for Levinas : an interpretation of Totality and Infinity, part 4, C “fecundity” and D “subjectivity in eros” : 『전체성과 무한』 4부 C “번식성” 및 D “에로스 속의 주체성”에 대한 한 가지 해석 김동규 p. 269-291

직장여성의 ‘일과 가족의 균형’ 인식에 대한 영향요인 = Influencing factors on women’s perception of ‘work-family balance’ in the workplace : comparison between government and private employees : 공무원과 회사원의 비교 우양호 p. 293-320

반응 중심 문학교육 방법을 활용한 고전시가 감상 교육 방안 = The educational plan for appreciating classical poetry using response-based literary education methods : targeting marriage immigrants in the Jeju area : 제주지역 결혼 이민자를 대상으로 윤선숙, 조유영 p. 321-348

노인 돌봄의 특징과 현실, 정책의 전환 = A special features and reality of elderly caring, policy shift : for digital care model at local area : 지역공동체 디지털 돌봄을 위하여 정숙경 p. 349-36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