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본 논문의 목적은 지역사회 계속거주에 대한 고령자의 인식과 수요를 조사하고, 고령자의 지역사회 계속거주 의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는 것이다. 고령자 대상의 인식조사를 통해 지역사회 계속거주의 공간적 범위는 집보다는 확장된 범위인 지역사회라는 점과 고령자의 연령대와 거주지역에 따라 지역사회 계속거주 의향과 필요한 지원 서비스 등에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항로짓 회귀분석 결과, 지역사회 계속거주 의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연령, 거주형태, 거주기간, 거주지역 등으로 나타났다. 특히, 주택 만족도와 지역사회 만족도가 지역사회 계속거주 의향에 미치는 영향이 가장 큰 요인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논문의 결과는 향후 초고령사회를 대비하여 지역사회 기반의 고령자 계속거주 지원 정책을 수립하는 데 활용이 가능할 것이다.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perception and demand of the elderly regarding Aging in Place (AIP) and to analyze factors affecting AIP willingness of the elderly. Through an AIP perception survey, this study confirmed that the spatial scope of AIP extends beyond the home to the community, and there were differences in AIP willingness and necessary support services depending on the age group and where they live. The binomial logit regression analysis showed home ownership status, length of residence, age, and area of residence directly impacted AIP willingness. In particular, housing and community satisfaction were the most critical factors influencing AIP willingness of the elderly. The results can be used to establish community-based support policies for AIP in the super-aged era.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기술형 입찰사업의 유찰 원인 분석과 활성화 방안 = Analyzing the causes of bidding failures in technology-type bidding projects and plans for stimulation 이치주 p. 3-21

섬 관광자원의 분류체계 정립 및 분포 현황 분석 연구 = Classification system and distribution analysis of Korean island tourism resources 김도은, 김용진, 오영석, 손용훈 p. 23-42

접경지역 공간구조 예측에 따른 ‘접경지역 발전종합계획’ 타당성 평가 = Evaluation of the ‘comprehensive plan for the development of border areas’ based on the prediction of the spatial structure of the border area 신혜원, 김철민, 고경택, 김영석 p. 43-58

지역사회 계속거주(Aging in Place)에 대한 고령자의 인식과 결정요인 = Aging in place of elderly : perception, needs and determinants 정소양, 김현중 p. 59-77

통화정책의 주택가격에 대한 시간가변 변동 기여도 분석 = A time-varying contribution analysis of monetary policy on fluctuations in housing prices 이태리, 박진백 p. 79-97

주택임차보증금 반환 지연 및 미반환 발생 구조 이해 = Understanding the structure behind delays and non-refunds of housing lease deposits in Korea : 보증금 반환 재원과 우선순위를 고려하여 윤성진, 이슬 p. 99-117

서울시 폭우 회복력 지수의 공간분포 분석 = Spatial distribution analysis of climate resilience index in heavy rainfall : the case of Seoul 백영선, 김관수, 안동환 p. 119-138

도시환경이 인구집단별 자살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 of urban environment on suicide rates by population group comparing between economically active population and elderly population : 경제활동가능인구와 노인인구의 비교 이진희, 김동준, 구지영, 백희은 p. 139-161

노후주택 신축은 소형 민간임대주택 임대료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 = How does the replacement of old housing affect the rent level of small-sized private rental housing? : analysis of the case in Seodaemun-gu, Seoul : 서대문구 사례 실증분석 홍정훈, 김수현 p. 163-179

참고문헌 (28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고은아. 2023. 노인의 주거환경이 지역사회 계속거주에 미치는영향: 지역별 비교를 중심으로. 한국노년학 43권, 5호:801-825. Go Eunah. 2023. The effect of the residential environment of the dlderly in aging in place: Focusing in comparison of regions. Journal of the Korean Gerontological Society 43, no.5: 801-825 미소장
2 곽인숙. 2011. 노인의 자녀와 동거희망과 지속거주희망에영향을 미치는 요인: 초고령노인기를 가정하여. 한국주거학회논문집 22권, 6호: 83-95. Kwak Insuk. 2011. A study on the factors affection decisions by the super-aged on their preference of living with their children and continuously living in their current houses. Journal of the Korean Housing Association 22, no.6: 83-95. 미소장
3 권오정, 이용민, 하해화, 김진영, 염혜실. 2014. 노년층의 지역내 계속 거주 이유에 관한 연구. Human Ecology Research 52권, 3호: 285-299. Kwon Ohjung, Lee Yongmin, Ha Haehwa, Kim Jinyoung and Yeom Hyeshil. 2014. Reasons for senior’s aging in place within their community. Human Ecology Research 52, no.3: 285-299. 미소장
4 권오정, 김진영. 2019. 장노년층의 Aging in Place 의사여부와 이에 따른 관련 변인 특성 차이. 한국주거학회논문집30권, 3호: 77-85. Kwon Ohjeong and Kim Jinyoung. 2019. Intention in aging in place of middle aged and elderly and differences in characteristics of related variables. Journal of the Korean Housing Association 30, no.3:77-85. 미소장
5 김영주, 유병선. 2012. 주거환경만족도와 커뮤니티 의식이도시 거주자의 이주의사에 미치는 영향: 광주광역시를 중심으로. 대한건축학회 논문집 28권, 6호: 219-226. Kim Youngjoo and Yoo Byungsun. 2012. Effects of residential satisfaction and the sense of community on residential mobility decision of urban residents:Focused on Gwangju Metropolitan City. Journal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28, no.6: 219-226. 미소장
6 김용진, 김성희. 2016. 신도시 거주민의 계속거주의사 결정요인 분석 : 분당신도시 거주민을 대상으로.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17권, 5호: 405-411. Kin Younjin and Kim Seonghee. 2016. Study on the determinant factors of new town residents’ living intention: Focused on the residents of Bundang New Town. Journal of the Korea Acedemia-Industrial 17, no.5: 405-411. 미소장
7 남기철. 2020. 한국 지역사회통합돌봄 정책과 주거지원: 케어안심주택과 지원주택을 중심으로. 사회과학연구 27권, 3호:158-181. Nam Kicheol. 2020. Community care and housing support in Korea. Jounral of Social Science 27, no.3:158-181. 미소장
8 박준범, 마강래. 2020. 고령자의 계속거주(Aging in place)와사회적 관계에 대한 연구. 대한부동산학회지 38권, 4호: 5-21. Park Junboem and Ma Kangrae. 2020. A study on aging in place and social relational factors. Journal of Korea Real Estate Society 38, no.4: 5-21. 미소장
9 서종균. 2022. 노인의 지역사회 거주를 위한 주거정책 과제. 건축과 도시공간 48권: 21-27. Seo Jonggyun. 2022. Housing policy challenges for community residence of the elderly. Architentire and Urban Space 48: 21-27. 미소장
10 우국희. 2017. 섬 지역 고령자의 장소경험과 의미-Aging in Place는 가능한가? 비판사회정책 54호: 260-304. Woo Kungee. 2017. Place experience of older adults in Island Area: Is Aging in Place possible? Journal of Critical Social Policy 54: 260-304. 미소장
11 이경영, 정문기, 정예은. 2018. 지속거주의향의 영향 요인에관한 연구: 서울시 5대 생활권 비교를 중심으로. 한국행정연구27권, 2호: 179-210. Lee Kyungyoung, Jeong Moongi and Jung Yeeun. 2018. An empirical study of factors affecting continual residence intention: Focusing on comparison among five regions in Seoul. The Korean Journal of Public Administration 27, no.2: 179-210. 미소장
12 이미애. 2022. 노인의 지역사회 내 계속거주(AIP) 의향에영향을 미치는 요인: 동거형태를 중심으로. 산업융합연구20권, 9호: 131-139. Lee Meeae. 2022. The effects of older persons’inclination to choose agin in place(aip): Focusing in living arrangements. Journal of Industrial Convergence 20, no.9: 131-139. 미소장
13 이윤경, 강은나, 김세진, 변재관. 2017. 노인의 지역사회계속 거주(Aging in place)를 위한 장기요양제도 개편 방안. 세종: 한국보건사회연구원. Lee Yunkyung, Kang Eunna, Kim Sejin and Byun Jaegwan. 2017. Suggestion Of Long-Term Care System Reform In View Of Aging In Place(AIP). Sejong: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미소장
14 이윤경, 김세진, 황남희, 임정미, 주보혜, 남궁은하, 이선희 외. 2020. 2020년도 노인실태조사. 세종: 보건복지부ㆍ한국보건사회연구원. Lee Yunkyung, Kim Sejin, Hwang Namhee, Lim Jeongmi, Joo Bohye, Namgung Eunha and Lee Sunhee et al. 2020. 2020 Survey on Senir Citizens. Sejong: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and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미소장
15 이윤경. 2022. 인구 초고령사회와 미래 정책 이슈. 소비자정책동향 121호. 음성: 한국소비자원. Lee Yunkyung. 2022. Super-aging society and future policy issues. Consumer Policy Trends 121. Eumseong: Korea Cunsumer Agency. 미소장
16 장희안, 한정란, 구본혜, 김정순. 2022. Q방법론을 활용한Aging in Place 선호 유형 분석. 노년교육연구 8권, 1호:21-38. Jang Heean, Han Jungran, Ku Bonhye and Kim Jeongsoon. 2022. Aging in Place preference type analysis using Q methodology. Korean Journal of Educational Gerontology 8, no.1: 21-38. 미소장
17 정경희, 오영희, 이윤경, 박보미. 2011. 베이비 부머의 삶의다양성에 관한 연구. 서울:한국보건사회연구원. Jeong Kyeonghee, Oh Younghee, Lee Yunkyung and Park Bomi. 2011. A Study On The Diversity Of Baby Boomers’ Lives. Seoul: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미소장
18 정용문. 2013. 호주의 ‘현 거주지에서의 노화 (ageing-inplace)’지원 정책이 한국의 노인복지 정책에 주는 시사점. 한국노년학 33권, 4호: 847-863. Jung Yongmoon. 2013. Aged care policies supporting ageing-in-place in australia and their implications for korean aged care policy. Journal of the Korea Gerontological Society 33, no.4: 847-863. 미소장
19 정은하. 2018. 지역사회 돌봄 활성화를 위한 초고령 노인의생활 특성 및 지역사회 애착도 영향 요인에 관한 연구. 장기요양연구 6권, 2호: 32-54. Jeong Eunha. 2018. A study on the factors influencing the life characteristics and community attachment of very old people to revitalize community care. The Journal of Korean Long Term Care 6, no.2: 32-54. 미소장
20 최성은. 2022. 고령화시대의 노인장기요양보험과 노인돌봄재정정책. 재정포럼 308호: 26-46. Choi Seongeun. 2022. Long-term care insurance for the elderly and financial policies for elderly care in the aging era. Financial Forum 308: 26-46. 미소장
21 홍송이. 2017. Aging-in-Place를 위한 노인복지정책의비판적 이해: 싱가포르 사례연구. 사회과학연구 43권, 1호:227-254. Hong Songhee. 2017. Critical review on singapore aging policies and programs for aging-in-place. Journal of Social Science 43, no.1: 227-254. 미소장
22 AARP. Despite Pandemic, Percentage of Older Adults Who Want to Age in Place Stays Steady. https://www.aarp.org/home-family/your-home/inf o-2021/home-and-community-preferences-survey. html (accessed May 29, 2023). 미소장
23 Ann Forsyth and Jennifer Molinsky. 2021. What is Aging in Place? Confusions and Contradictions. Housing Policy Debate 31, no.2: 181-196. 미소장
24 Australian Housing and Urban Research Institute. 2019. What’s needed to make ‘ageing in place’ work for older Australians. Brief of AHURi 10 Dec. 미소장
25 Bookman, Ann. 2008. Innovative models of aging in place: Transforming our communities for an aging population. Community, Work & Family 11, no.4:419-438. 미소장
26 Department of Health and Aged Care. 2023. Commonwealth Home Support Programme: Program Manual 2023-2024. Department of Health and Aged Care. 미소장
27 Glass, T.A. and Balfour, J.L. 2003. Neighborhoods, aging, and functional limitations. In: Kawachi, I. and Berkman, L.F., Eds., Neighborhoods and Health., 303-334.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미소장
28 Nissim, R. 2008. Universal Housing Universal Benefits. A VCOSS discussion paper on universal housing regulation in Victoria. Melbourne: Victorian Council of Social Service.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