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임대료 상승을 억제하고 주거비 부담을 완화하기 위해서는 임대주택 공급 확대가 필요하다. 그동안 국내에서는 공공부문보다 민간부문의 임대주택 공급을 확대해야 한다는 주장이 우세했는데, 이는 학술적으로 여과이론에 바탕을 둔다. 반면, 해외에서는 이러한 접근법이 취약계층의 주거비 부담을 개선하지 못한다는 논쟁이 이어지고 있다. 이 논문은 2020년 이후 노후주택 신축이 많았고, 여러 대학가가 위치한 서울 서대문구에서 구축주택의 임대료에 나타난 변화를 살펴본다. 국토교통부 실거래가 자료를 바탕으로 건축물대장, 공공임대주택 자료 등을 연계하여 실시한 선형회귀분석 결과, 신규주택 비율이 높은 법정동에 위치한 주택일수록 2021년 하반기 대비 2023년 하반기 임대료 상승률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항 로지스틱회귀분석 결과, 공공임대주택 비율이 높은 법정동에 위치한 주택일수록 소득 하위 청년가구에 부담가능한 임대료를 유지할 확률이 높았다. 연구 결과는 민간임대주택 공급 자체보다는 여과과정이 원활히 작동하기 위한 법정동 단위 근린효과의 중요성을 확인했다는 의의가 있다.
To control rent increases and reduce the burden of housing costs for tenants, it is necessary to expand the supply of rental housing. Meanwhile, the private sector has dominated the supply of rental housing and many have advocated initiatives based on the housing filtering theory. However, there has been debate overseas that the private sector’s housing provision itself could not improve the affordability of vulnerable groups. This paper examines rent changes in existing housing in Seodaemun-gu, Seoul, where many old houses have been replaced with small rental housing units since 2020, using transaction data from the MOLIT, linking with building registry and public rental housing data. First, linear regression analysis indicates that the higher the proportion of new small houses in a neighborhood, the higher the rent inflation. Second, binary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shows that the higher the proportion of public rental housing, the more likely it is to maintain affordability for low-income young households. These findings highlight the importance of neighborhood effects to facilitate the filtering process, rather than merely increasing the supply of private rental housing.번호 | 참고문헌 |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
---|---|---|
1 | 국토교통부. 2015. 월세시대를 맞아 새로이 개편한 월세통계, 첫 공표, 7월 30일. 보도자료.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2015. The announcement of newly revised statistics, with the dawn of the era of monthly renters, July 30. Press release. | 미소장 |
2 | 국토교통부. 건축물대장 표제부 정보(API, 2024년 5월 30일검색).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Building register title information database (API, accessed May 30, 2024). | 미소장 |
3 | 국토교통부. 공동주택 및 개별주택 공시가격자료(2019년 12월및 2024년 1월 기준 자료). https://www.vworld.kr /dtmk/dtmk_ntads_s001.do (2024년 4월 2일 검색).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Publicly noticed housing values (published in December, 2019and January, 2024). https://www.vworld.kr/dtmk /dtmk_ntads_s001.do (accessed April 2, 2024). | 미소장 |
4 | 국토교통부. 실거래가 자료 (2021년 7~12월 및 2023년 7~12월 기준. API, 2024년 5월 17일 검색).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Real transaction price (from July to December, 2021 and 2023. API, accessed May 27, 2024). | 미소장 |
5 | 국토교통부·LH. 마이홈포털. https://www.myhome.go.kr /hws/portal/sch/selectRentalHouseInfoListView.do (2024년 1월 3일 검색). Myhome Portal. https://www.myhome.go.kr/hws/por tal/sch/selectRentalHouseInfoListView.do (accessed January 3, 2024). | 미소장 |
6 | 김미경, 이창무. 2013. 주택여과과정의 실증분석-주택재개발사업의 신규주택공급효과를 대상으로. 주택연구 21권, 2호:23-45. Kim Mikyung and Lee Changmoo. 2013. Housing Filtering Process and Supply Effect of Housing Redevelopment. Housing Studies Review 21, no.2:23-45. | 미소장 |
7 | 김수현. 2010. 우리나라 공공임대주택의 성격과 서울시 장기전세주택: Harloe와 Kemeny의 논의를 중심으로. 한국사회정책17권, 3호: 123-152. Kim Soohyun. 2010. The Characteristic of Long-term Public Housing in Korea : Focusing on the discussion of M. Harloe and J. Kemeny. Korea Social Policy Review 17, no.3: 123-152. | 미소장 |
8 | 김수현. 2022. 가난이 사는 집: 판자촌의 삶과 죽음. 서울:오월의봄. Kim Soohyun. 2022. Housing Where the Poverty Dwells: The lives and deaths of Shanty towns. Seoul:May Books. | 미소장 |
9 | 문수현. 2022. 주택, 시장보다 국가: 독일 주택정책 150년. 서울: 이음. Moon Soohyun. 2022. Housing, The State rather than markets: The 150 years history of German housing policy. Seoul: Eum Books. | 미소장 |
10 | 민달팽이유니온. 2024. 신촌·구로·병점 100억대 전세사기 피해자 대책위원회 출범 기자회견, 6월 23일. 보도자료. Minsnail Union. 2024. Press conference with the launch of Victims Committee in Sinchon-Guro-Byeongjeom, June 23. Press release. | 미소장 |
11 | 박천규. 2023. 지방시도별 민간부문주택인허가물량의 가격탄력성 추정-지역별 비교와 내생성 제어를 위한 도구변수적용. 부동산분석 9권, 3호: 1-16. Park Chungyu. 2023. Estimation of price elasticity of housing supply by local city and province: Regional comparison and employment of instrumental variables. Journal of Real Estate Analysis 9, no.3: 1-16. | 미소장 |
12 | 배영균. 2012. 주택공급의 가격탄력성과 주택가격 변동성. 대한부동산학회지 30권, 1호: 67-84. Bae Youngkyun. 2012. The Price elasticities of housing supply and the variability of housing prices. Journal of Korea Real Estate Society 30, no.1: 67-84. | 미소장 |
13 | 신정엽, 김감영. 2014. 도시 공간 구조에서 젠트리피케이션의비판적 재고찰과 향후 연구 방향 모색. 한국지리학회지 3권, 1호: 67-87. Shin Jungyeop and Kim Kamyoung. 2014. Critical review of gentrification in urban spatial structure and exploration of the future research direction. Journal of the Association of Korean Geographers 3, no.1: 67-87. | 미소장 |
14 | 이재수. 2013. 서울시 도시형생활주택의 공급실태와 개선방안. 서울연구원 정책리포트 147호. 서울: 서울연구원. Lee Jaesu. 2013. A research on current state of and policy suggestions for urban housing in Seoul. Seoul Institute Policy Report no.147. Seoul: Seoul Institute. | 미소장 |
15 | 차경은, 김태현, 김호연. 2015. 하부시장별 필터링을 이용한공공부문 및 민간부문의 주택공급효과 분석. 국토계획 50권, 4호: 119-138. Cha Kyungeun, Kim Taehyun, and Kim Hoyeon. 2015. Effects of housing provision by public and private sectors via the sub-market filtering processes. Journal of Korea Planners Association 50, no.4: 119-138. | 미소장 |
16 | 통계청. 2023. 가계금융복지조사 마이크로데이터. Statistics Korea. 2023. Microdata of Survey of Household Finances and Living Conditions. | 미소장 |
17 | Barker, K. 2004. Review of Housing Supply: Delivering Stability: Securing Our Future Housing Needs, Final Report. London: HM Treasury. | 미소장 |
18 | Ball, M., Meen, G. and Nygaard, C. 2010. Housing Supply Price Elasticities Revisited: Evidence from International, National, Local and Company Data. Journal of Housing Economics 19, 4: 255-268. | 미소장 |
19 | Boddy M. and Gray, F. 1979. Filtering Theory, Housing Policy and the Legitimation of Inequality. Policy and Politics 7, no.1: 39-54. | 미소장 |
20 | Grimmwood, G. 2021. Planning in England: Permitted Development and Change of Use. House of Commons Briefing Paper, no:00485. London: House of Commons Library. | 미소장 |
21 | Hulse K. and Yates J. 2017. A Private rental sector paradox: Unpacking the effects of urban restructuring on housing market dynamics. Housing Studies 32, no.3: 253-270. | 미소장 |
22 | Hoolachan, J. and McKee, K. 2019. Inter-generational housing inequalities: ‘Baby Boomers’ versus the ‘Millennials’. Urban Studies 56, no.1: 210-225. | 미소장 |
23 | Lowry, I. 1960. Filtering and housing standards: A conceptual analysis. Land Economics 36, no.4:362-370. | 미소장 |
24 | Meen, G. 2005. On the economics of the barker review of housing supply. Housing Studies 20, no. 6: 949–971. | 미소장 |
25 | Meen, G. 2011. A Long-run model of housing aff ordability. Housing Studies, 26 no.7-8: 1081-1104. | 미소장 |
26 | Meen, G. and Whitehead, C. 2020. Understanding Affordability: The Economics of Housing Markets. Bristol: Bristol University Press. | 미소장 |
27 | Rowley, S., Ong, R. and Haffner M. 2015. Bridging the gap between housing stress and financial stress:The case of Australia. Housing Studies 30, no.3:473-490. | 미소장 |
28 | Skaburskis, A. 2006, Filtering, city change and the supply of low-priced housing in Canada. Urban Studies 43, no.3: 533-558. | 미소장 |
29 | Somerville, C. and Holmes, C. 2001. Dynamics of the affordable housing stock: Microdata analysis of filtering. Journal of Housing Research 12, no.1:115-140. | 미소장 |
30 | Turner, L. and Wessel, T. 2019. Housing market filtering in the Oslo region: Promarket housing policies in a nordic welfare-state. International Journal of Housing Policy 19, no. 4: 483–508. | 미소장 |
31 | Yates, J. and Wood, G. 2005. Affordable rental housing:Lost, stolen and strayed. The Economic Record 81, no.255: 582-595. | 미소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정기간행물실(524호) / 서가번호: 국내02
2021년 이전 정기간행물은 온라인 신청(원문 구축 자료는 원문 이용)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