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번호 | 참고문헌 |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
---|---|---|
1 | 강현석(2022). 현대 교육과정 탐구. 서울: 학지사 | 미소장 |
2 | 교육부(2009). 초・중등학교 교육과정 총론. 교육부 고시 제2009-41호 [별책 1]. | 미소장 |
3 | 교육부(2011). 도덕과 교육과정. 교육부 고시 제2011-361호 [별책 6]. | 미소장 |
4 | 교육부(2015a). 초・중등학교 교육과정 총론. 교육부 고시 제2015-74호 [별책 1]. | 미소장 |
5 | 교육부(2015b). 도덕과 교육과정. 교육부 고시 제2015-74호 [별책 6]. | 미소장 |
6 | 교육부(2022a). 초・중등학교 교육과정 총론. 교육부 고시 제2022-33호 [별책 1]. | 미소장 |
7 | 교육부(2022b). 도덕과 교육과정. 교육부 고시 제2022-33호 [별책 6]. | 미소장 |
8 | 교육부(2023). 2023년 초・중등 진로교육 현황조사 결과보고서. | 미소장 |
9 | 김유아(2023). 글로벌 역량 기반의 중학교 선택과목용 세계시민교육(GCED) 교육과정기준 개발. 고려대학교 박사학위논문. | 미소장 |
10 | 박용헌(2002). 가치교육의 변천과 가치의식. 서울: 서울대학교출판부. | 미소장 |
11 | 서울대학교 교육연구소(2002). 교육학 용어사전. 서울: 하우. | 미소장 |
12 | 신창호(2006). 한국 교육의 시대적 요청 강의안. K-MOOC. | 미소장 |
13 | 유지선(2022). 포스트 코로나 시대, 사회문제해결을 위한 대학 교양교육 핵심가치교육과정 개발 및 평가. 예술교육연구, 20(4), 97-120. | 미소장 |
14 | 유지선・홍후조(2022). 핵심개념과 핵심기능을 대비한 핵심가치를 논함. 한국교육과정학회 월례학술대회, 24-55. 6월 30일. 대구카톨릭대학교 효성캠퍼스. | 미소장 |
15 | 임유나(2017). 역량기반 교육목표 개발과 분석을 위한 Hauenstein 신 목표분류학의 재조명.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7(21), 771-797. | 미소장 |
16 | 한국직업능력연구소(2023). 학생의 직업가치 변화: 의사와 법률전문가를 중심으로 (KRIVET Issue Brief 2023-32). | 미소장 |
17 | 홍후조(2018). 알기 쉬운 교육과정. 서울: 학지사. | 미소장 |
18 | 홍후조(2024). “지능혁명시대, 우리는 무엇을 가르치고 배울 것인가?” 안암교육학회 하계학술대회 발표논문자료집, 한국의 미래, 교육의 미래, 7-14. 인촌기념관(2020.7.26.). | 미소장 |
19 | 홍후조・조용(2021). 핵심 프로젝트의 이론과 실제 : 역량중심 교육과정의 실제적 대안. 파주: 교육과학사. | 미소장 |
20 | IBO (2019). What is an IB education?. Cardiff: International Baccaluareate Organization. ibo.org(May 10, 2022). https://www.ibo.org/programmes/ | 미소장 |
21 | Inkeles, A.(1973). A model of the modern man: theoretical and methodological issues. Michigan: Michigan State University. | 미소장 |
22 | Kohlberg, L., Levine, C., & Hewer, A.(1983). Moral stages: A current formulation and a response to critics, NY: Karger. | 미소장 |
23 | OECD(2013). The Future of Education and Skills: OECD Learning Compass for Mathematics. OECD Publishing. | 미소장 |
24 | OECD (2018). OECD Future of education and skills 2030 conceptual learning framework: A series of concept notes. OECD Publishing. | 미소장 |
25 | OECD (2019). An OECD Learning Framework 2030. The Future of Education and Labor, 23-35. | 미소장 |
26 | Parsons, T.(1951). The Social System. New York: The Free Press. | 미소장 |
27 | Robert, F. B.(1988). Morality of Democratic Citizenship: Goals for Civic Education in the Republic’s Third Century. 김해성 역(2007). 민주 시민의 도덕. 파주: 나남. | 미소장 |
28 | Schattle, H.(2008). Education for global citizenship: illustrations of ideological pluralism and adaptation, Journal of Political Ideologies, 13(1), 73-94. | 미소장 |
29 | Tawil, S.(2013). Education for ‘global citizenship’: a framework for discussion. UNESCO Education Research and Foresight, Paris. [ERF Working Papers Series, No. 7]. | 미소장 |
30 | Tyler, R. W.(1949). Basic principles of curriculum and construction. Chicago: Th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 미소장 |
31 | UNESCO APCEIU(2015).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topics and learning objective. Paris: UNESCO Publishing. | 미소장 |
32 | UNESCO(2013). Revised provisional agenda of the 37th session of the General Conference. Paris: UNESCO Publishing. | 미소장 |
33 | UNESCO(2014). UNESCO Education Strategy 2014-2021. Paris: UNESCO Publishing. | 미소장 |
34 | UNESCO(2017a). E2030: Education and skills: For the 21 century. Paris: UNESCO Publishing. | 미소장 |
35 | UNESCO(2017b). Towards sustainable, collective and participatory accountability in Education 2030. Paris:UNESCO Publishing. | 미소장 |
36 | UNESCO(2017c). Leveraging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to Achieve Education 2030. Paris:UNESCO Publishing. | 미소장 |
37 | UNESCO(2022). UNESCO strategy on education for health and well-being. Paris: UNESCO Publishing. | 미소장 |
38 | World Economic Forum(2023). Defining Education 4.0: A taxonomy for the future of learning. World Economic Forum. | 미소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정기간행물실(524호) / 서가번호: 국내12
2021년 이전 정기간행물은 온라인 신청(원문 구축 자료는 원문 이용)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