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차 산업혁명 시대는 지식과 정보가 범람하며 해답을 찾기 어려운 국제사회의 문제들이 지속적으로 발생하므로 학습자들이 올바른 가치관과 가치판단 능력을 기르는 가치교육의 중요성이 증가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박용헌(2002)이 민족・전통 가치, 민주・근대 가치로 나누어 분석했던 기존 연구의 후속 연구로, 박용헌(2002)이 제시한 두 가지 주제에 인류・미래 가치를 추가하여 분석 준거를 만들었으며, 이를 통해 우리나라 2009, 2015, 2022 개정 교육과정 총론과 도덕과 교육과정에 제시된 가치의 양상과 변천 과정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총론에서 민족・전통 가치의 소홀, 총론과 도덕과에서 인류・미래 가치의 부실, 총론과 각론에서 중요시하는 가치 종류의 순위와 각 가치 종류의 비중이 다르게 제시되는 등 총론과 도덕과 간의 가치의 일관성 부족이 나타났다. 연구의 시사점으로는 지향하는 국가상의 교육과정 문서 제시를 통한 전통・민족 가치의 보강, 인류・미래 가치의 보완, 총론과 각론의 일관성 확보, 총론에서 핵심가치의 명시적 제시, 제시된 핵심가치의 각론 및 국가–지역–학교–교실–교사수준 교육과정에의 일관된 반영을 제안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