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제지
제출문
참여진
보고서구성
요약
목차
제1장 연구개요 18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20
2. 연구 내용 21
제2장 육상 중력자료 통합 재처리 및 품질검증 24
1. 통합기준점 중력자료 통합 재처리 26
1.1. 통합기준점 중력자료 27
1.2. 통합기준점 중력자료 재처리 방안 30
1.3. 통합기준점 중력자료 재처리 결과 35
2. 망조정 완료된 수준점 중력성과와 연결 처리 44
2.1. 수준점 중력성과 44
2.2. 통합기준점과 수준점 중력성과의 비교 및 연결 처리 47
3. 전체 중력성과 이상점 검출 및 각종 오차 제거방안 마련 49
3.1. 전체 중력성과의 이상점 검출 방안 49
3.2. 전체 중력성과의 이상점 검출 및 제거 52
제3장 위성고도계 자료를 기준으로 선상 중력자료 통합·처리 58
1. 우리나라 주변의 위성고도계 자료 확보 60
2. 국립해양조사원 선상 중력자료 확보 및 처리방법 검증 62
2.1. 국립해양조사원 선상 중력자료 62
2.2. 국립해양조사원 선상 중력자료의 처리방법 64
2.3. 국립해양조사원 선상 중력자료의 검증 66
3. 위성고도계 기반 선상 중력자료 통합 70
제4장 기존 GPS/Leveling 자료통합 및 품질검증 72
1. 우리 나라 가용 GPS/Leveling 자료 확보 74
2. GPS/Leveling 자료 품질검증 및 이상점 검출, 각종 오차 제거방안 마련 77
2.1. 품질검증 및 이상점 검출, 각종 오차 제거방안 77
2.2. GPS/Leveling 자료 품질검증 및 이상점 검출 78
제5장 전국 5m 수치표고자료를 이용한 지형효과 분석 82
1. 국토지리정보원 5m 수치표고자료 정확도 분석 84
2. 국토지리정보원 5m 수치표고자료 기반 지형효과 분석 86
2.1. 지형효과 계산 86
2.2. 지오이드에 미치는 효과 93
제6장 각종 중력자료의 최적 융합 알고리즘 개발 94
1. 중력자료의 차이 분석 (취득시기, 플랫폼, 측량 및 처리방법) 96
1.1. 취득시기 96
1.2. 플랫폼 (센서) 98
1.3. 측량 및 처리방법 100
2. 지오이드 모델 계산에 적합한 기반자료 선정 103
3. 각종 중력자료의 최적 융합 알고리즘 개발 105
3.1. 중력자료 최적 융합 필요성 105
3.2. 중력자료 최적 융합 방안 106
제7장 일부 산악지역을 포함한 육지부분 지오이드 모델 개발 110
1. 주요 지오이드 모델 구축 알고리즘 비교·분석 112
2. 최신 중력자료를 활용한 지오이드 모델 개발 117
2.1. 대상자료 117
2.2. 지오이드 계산 119
3. 지오이드 모델 정밀도 분석 128
3.1. 중력 지오이드 모델의 정밀도 129
3.2. 합성 지오이드 모델의 정밀도 131
4. 지오이드 모델 기복을 고려한 최적 격자간격 선정 135
제8장 결론 138
제9장 '12년도 측지측량 관련사업 편람 작성 144
1. 측지과 편람 작성 목적 146
2. 측지과 편람 작성 방안 147
2.1. 외국의 편람(연보) 사례조사 147
2.2. 측지과 편람의 작성 방향 153
3. 2012년 측지과 주요업무 추진계획 및 발주용역 사업 분석 156
3.1. 기준측량 관련 추진계획 156
3.2. 우주측지 관련 추진계획 157
3.3. 지구물리 관련 추진계획 158
3.4. 2012년 측지과 발주 사업 현황 159
4. 측지과 편람 최종 목차 165
참고문헌 166
부록 : 통합기준점 중력성과 169
판권기 197
〈표 2-1〉 통합기준점 분포 29
〈표 2-2〉 통합기준점 지구별 중력자료 및 위치 성과 출처 35
〈표 2-3〉 지구별 망조정 결과 및 이상점 35
〈표 2-4〉 통합기준점 절대중력값 37
〈표 2-5〉 통합기준점 중력이상값 37
〈표 2-6〉 중력보조점 성과 비교 38
〈표 2-7〉 지구별 절대중력값 차이 39
〈표 2-8〉 백령도 통합기준점 성과 비교 (기계값, 절대중력값) 41
〈표 2-9〉 울릉도 통합기준점 성과 비교 (기계값, 절대중력값) 41
〈표 2-10〉 소흑산도 통합기준점 성과 비교 (기계값, 절대중력값) 42
〈표 2-11〉 서울지구 절대중력값 차이 42
〈표 2-12〉 통합기준점 중력성과 검증 48
〈표 2-13〉 EGM08과의 차이가 50mGal 이상인 점 52
〈표 2-14〉 육상 중력 자료와 EGM08의 차이 54
〈표 2-15〉 항공 중력자료와 육상 중력자료의 차이 55
〈표 3-1〉 DNSC08과 DTU10 중력이상값 비교 61
〈표 3-2〉 서해에서 취득한 중력자료 63
〈표 3-3〉 위성고도계 자료의 비교 (DTU10 - DNSC08) 67
〈표 3-4〉 선상 중력자료와 위성고도계 자료의 비교 69
〈표 5-1〉 지형자료 정확도 분석 (국토지리정보원 지형자료 vs SRTM) 84
〈표 5-2〉 지형자료 정확도 분석 (국토지리정보원 지형자료 vs SRTM) 85
〈표 5-3〉 지형효과 계산 및 비교 89
〈표 5-4〉 잔여중력이상값 비교 91
〈표 5-5〉 지형자료가 지오이드에 미치는 효과 93
〈표 6-1〉 우리나라 육상, 항공, 선상 중력자료 분포 97
〈표 6-2〉 육상 중력계 모델 및 사양 98
〈표 6-3〉 항공 / 선상 중력계 모델 및 사양 99
〈표 6-4〉 각 중력자료 융합에 따른 정밀도 및 적합도 106
〈표 7-1〉 선진국 지오이드 모델 구축 현황 119
〈표 7-2〉 중력자료 가중치 부여 시 고려할 변수 123
〈표 7-3〉 잔여지오이드고 계산 및 장파장/단파장 효과 복원 시 고려할 변수 124
〈표 7-4〉 지오이드 모델 구축을 위한 최적 변수 결정 125
〈표 7-5〉 우리나라 중력지오이드 모델 126
〈표 7-6〉 중력 지오이드와 통합기준점/상시관측소 GPS/Leveling 자료의 차이 130
〈표 7-7〉 합성 지오이드와 통합기준점/상시관측소 GPS/Leveling 자료의 차이 (적합도) 132
〈표 7-8〉 합성 지오이드와 통합기준점/상시관측소 GPS/Leveling 자료의 차이 (정밀도) 133
〈표 7-9〉 합성 지오이드의 상대정밀도 134
〈표 7-10〉 합성 지오이드 해상도 변화에 따른 적합도 136
〈표 9-1〉 2012년 측지과 발주 사업 현황 정리 159
〈표 9-2〉 2012년 측지과 발주 사업 세부 내용(학술부문) 161
〈표 9-3〉 2012년 측지과 발주 사업 세부 내용(기술부문) 162
〈그림 1-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20
〈그림 1-2〉 연구의 범위 22
〈그림 2-1〉 통합기준점 (수원시청) 27
〈그림 2-2〉 전국 통합기준점 도상 선점배치도 28
〈그림 2-3〉 통합기준점 분포 29
〈그림 2-4〉 중력자료 재처리 과정 30
〈그림 2-5〉 통합기준점 절대중력값 37
〈그림 2-6〉 통합기준점 중력이상값 37
〈그림 2-7〉 통합기준점 측점별 정밀도 38
〈그림 2-8〉 지구별 절대중력값 차이 39
〈그림 2-9〉 2009/2010년 수준점 중력측량 계획도 44
〈그림 2-10〉 수준점 중력자료 처리 과정 45
〈그림 2-11〉 수준점 통합 망조정 RMS 분포도 46
〈그림 2-12〉 통합기준점 중력성과 검증 48
〈그림 2-13〉 통합기준점·수준점 중력자료와 항공 중력자료의 비교 50
〈그림 2-14〉 항공 중력자료와 육상 중력자료의 차이 55
〈그림 2-15〉 육상 중력이상값과 고도와의 상관관계 56
〈그림 3-1〉 DTU10 위성고도계 자료 중력이상값 60
〈그림 3-2〉 국립해양조사원 선상 중력자료 62
〈그림 3-3〉 선상 중력자료 자료처리 순서도 64
〈그림 3-4〉 서해안 중력이상도 65
〈그림 3-5〉 위성고도계 자료의 비교 (DTU10 - DNSC08) 67
〈그림 3-6〉 선상 중력자료와 위성고도계 자료의 비교 68
〈그림 4-1〉 기존 GPS/Leveling 자료 분포 76
〈그림 4-2〉 국토지리정보원 GPS/Leveling 자료 분포 76
〈그림 4-3〉 GPS/Leveling 자료 이상점 제거 방안 80
〈그림 5-1〉 지형효과 계산 / 분석 88
〈그림 5-2〉 지형자료가 지오이드에 미치는 효과 93
〈그림 6-1〉 상대중력 측량방법 100
〈그림 6-2〉 육상 중력자료 처리 과정 100
〈그림 6-3〉 항공 중력 측정원리 101
〈그림 6-4〉 선상 중력자료 처리 과정 102
〈그림 6-5〉 항공 중력자료 처리 과정 102
〈그림 6-6〉 각 중력자료가 지오이드에 미치는 영향 105
〈그림 6-7〉 중력자료 최적 융합 알고리즘 108
〈그림 7-1〉 지오이드 개발 과정 112
〈그림 7-2〉 지오이드 모델 개발 기반 자료 118
〈그림 7-3〉 중력 및 합성 지오이드 모델 계산 과정 120
〈그림 7-4〉 중력자료의 가중치 부여 122
〈그림 7-5〉 우리나라 중력 지오이드 모델 126
〈그림 7-6〉 지오이드 모델의 절대 정밀도 및 상대 정밀도 129
〈그림 7-7〉 중력 지오이드와 통합기준점 GPS/Leveling 자료의 차이 130
〈그림 7-8〉 중력 지오이드와 상시관측소 GPS/Leveling 자료의 차이 130
〈그림 7-9〉 합성 지오이드와 통합기준점 GPS/Leveling 자료의 차이 (적합도) 131
〈그림 7-10〉 합성 지오이드와 상시관측소 GPS/Leveling 자료의 차이 131
〈그림 7-11〉 합성 지오이드 구축을 위한 통합기준점 GPS/Leveling 자료 132
〈그림 7-12〉 합성 지오이드와 통합기준점 GPS/Leveling 자료의 차이 (정밀도) 132
〈그림 7-13〉 합성 지오이드의 상대정밀도 133
〈그림 7-14〉 합성 지오이드 해상도 변화에 따른 적합도 135
〈그림 9-1〉 일본 국토지리원 간행물 제공 홈페이지 147
〈그림 9-2〉 2011년 일본 국토지리원 조사연구연보 목차(번역) 148
〈그림 9-3〉 조사연구연보 세부내용 149
〈그림 9-4〉 일본 해양보안청 해양정보부 간행물 페이지 149
〈그림 9-5〉 일본 해양보안청 해양정보부 기술·연구보고 제공 150
〈그림 9-6〉 미국 USGS의 Annual Report 종류 151
〈그림 9-7〉 미국 NOAA의 Annual Report 152
〈그림 9-8〉 통합기준점의 설치 및 정비 현황 154
〈그림 9-9〉 통합기준점의 시도별 설치 및 정비 현황 154
〈그림 9-10〉 2012년 기준측량 주요 업무 추진계획 156
〈그림 9-11〉 2012년 우주측지 주요 업무 추진계획 157
〈그림 9-12〉 2012년 지구물리 주요 업무 추진계획 158
〈그림 9-13〉 2012년 측지과 용역사업 현황 15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