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제지
제출문
참여진
요약문
목차
제1장 연구의 개요 20
1. 연구의 배경 22
1) 지명 관련 업무의 국제 경쟁력 강화의 필요성 대두 22
2) 〈지명법(안)〉의 지속적 추진을 위한 대응 방안 연구의 필요성 대두 22
2. 연구의 목적 23
3. 연구의 내용 24
4. 연구의 방법 25
제2장 지명부여 대상물에 대한 현황파악 및 지명 제정기준 마련 28
1. 지명부여 대상물의 정의 및 해설 30
1) 지명부여 대상물의 개념 정의 30
2) 지명부여 대상물의 개념 해설 34
2. 지명부여 대상물에 대해 개별 기관에서 운용되던 기준의 조사 55
1) 개별 기관의 지명부여 대상물 운용 기준의 조사 방법 55
2) 개별 기관의 지명부여 대상물 운용 기준의 현황 56
3. 지명부여 대상물에 대해 개별 기관의 요구사항 분석 70
1) 유선 면담 방식의 수집과 분석 70
2) 개별 간담회 방식의 수집과 분석 71
4. 지명부여 대상물의 명칭 제정기준(안) 72
1) 지명부여 대상물의 명칭 제정기준에 대한 연구 방법 72
2) 지명부여 대상물 명칭 제정기준의 구성 72
3) 지명부여 대상물의 세부 제정기준(안) 내용 80
제3장 지명부여 대상물의 표기기준 마련 84
1. 지명부여 대상물의 표기 실태 조사 86
1) 지명부여 대상물의 표기 기준과 적용 현황 86
2) 지명부여 대상물의 표기 기준과 적용 사례 87
2. 지명부여 대상물의 로마자 표기기준 및 표기실태 파악 96
1) 지명부여 대상물의 로마자 표기기준 현황 조사 96
2) 지명부여 대상물의 로마자 표기 실태 조사 106
3. 지명부여 대상물의 로마자 표기기준(안) 제시 117
1) 지명부여 대상물의 로마자 표기기준(안) 제정원칙 117
2) 지명부여 대상물의 로마자 표기기준(안) 내용 121
4. 지명부여 대상물의 약어 사용실태 조사 및 약어기준 마련 125
1) 지명부여 대상물의 약어 사용실태 조사 125
2) 지명부여 대상물의 약어기준 마련 129
3) 지명부여 대상물의 약어기준 내용 136
제4장 지명의 레벨별 표현대상 제시 및 DB 구축방안 연구 138
1. 지명DB 현황 파악 141
1) 국토지리정보원의 지명DB 현황 141
2) 국토지리정보원의 연속수치지도 DB 현황 145
3) 지명DB와 연속수치지도 DB의 연계를 위한 문제점 분석 153
2. 지명의 등급별(레벨별) 구분 방안 제시 155
1) 지명부여 대상물의 현행 분류 체계 검토 155
2) 지명DB와 연속수치지도 DB의 연계 가능성 155
3) 행정지명의 레벨별 구분방안 168
4) 자연, 인공, 해양 지명의 레벨별 구분방안 169
3. 레벨별 지명의 표기대상을 제시하고 DB구축방안 제시 171
1) 레벨의 설정 171
2) 레벨별 지명표기 대상의 선정 178
3) 레벨별 지명DB 구축방안 제시 181
4. 축척별 지도제작과 연계한 레벨별 지명DB의 관리방안 제시 182
1) 축척별 지도제작과 지명DB의 연계 182
2) 지도제작과 연계를 위한 지명DB의 관리방안 182
5. 레벨별 지명DB의 활용방안 제시 184
1) 레벨별 지명DB의 지도 제작적 측면의 활용방안 184
2) 레벨별 지명DB의 정책적 활용방안 184
6. 레벨별 지명DB의 구축 및 활용을 위한 제언 185
1) 지명DB의 구축을 위한 제언 185
2) 지명DB와 연속수치지도의 연계를 위한 제언 186
3) 지명DB의 활용을 위한 제언 187
제5장 기초지명 선정방안 마련 및 기초지명 활용방안 마련 190
1. 국가기본도에 대한 지명의 표기 실태 분석 192
2. 지식수준별 기초지명 선정방법 제시 194
1) 기초지명 선정의 의의 194
2) 기초지명 선정 관련 국내외 연구 동향 195
3) 우리나라 중고생의 기초 지명 지식의 실태 197
4) 기초지명 선정 방법 201
3. 국내외 지명을 대상으로 지식수준별 기초지명 선정 204
1) 초중고 사회과 및 지리교과서에 표기된 빈출 지명 204
2) 초중고 학교급별 기초지명 선정을 위한 전문가 검토 자료 218
3) 지식수준별 기초지명 선정 결과 255
4. 기초지명 활용방안 제시 및 홍보방안 259
1) 초중고 사회과부도 및 지리부도의 부록에 기초지명을 제시한다 259
2) 초중고 학교급별 『기초지명 자료집』을 제작하여 교육에 활용하도록 한다 259
3) 지도박물관에서 개최하는 지도그리기 대회에서 지명골든벨도 실시한다 259
4) 디지털 시대에 기초지명 활용은 정보처리기능과 연계되어야 한다 260
제6장 지도 제작과 연계한 지명의 조사 및 DB의 운용방안 연구 262
1. 지명시스템의 지명DB와 지도제작시스템의 자료 분석 264
1) 지명DB의 현황 및 지명DB구조 조사 264
2) 공간 데이터 모델링 현황 및 지명 이력 관리 현황 분석 278
2. 지명관련 지도제작시스템의 운영실태 및 문제점 분석 283
1) 지도제작시스템의 지명 자료 DB 검토 283
2) 지도제작시스템에서 지명DB 활용의 문제점 분석 288
3. 지도제작과 연계를 위한 지명시스템 개선방안 제시 및 DB설계 294
1) 지도제작과 연계를 위한 지명시스템 개선방안 294
2) 지도제작과 연계를 위한 지명DB 설계 307
4. 지도제작과 연계한 지명DB의 운용방안 마련 339
1) 지도 축척별 지명 데이터 선정 방안 339
2) 지도제작을 위한 지명 위치 선정 방안 340
3) 지명DB의 지명을 활용한 지도제작 방안 347
제7장 결론 354
참고문헌 364
부록 372
부록 2-1. 소분류 범주 정의 374
1. 자연지명 374
2. 인공지명 375
3. 해양지명 377
4. 행정지명 380
부록 2-2. 지명의 분류와 지명 후부 요소의 정의 381
1. 자연지명 381
2. 인공지명 389
3. 해양지명 415
4. 행정지명 418
부록 3-1. 지명부여 대상물의 로마자 표기 사례 419
1. 자연지명 로마자 표기 419
2. 해양지명 로마자 표기 421
3. 인공지명 로마자 표기 422
4. 행정지명 로마자 표기 429
부록 5-1. 초·중고 학교급별 기초지명 선정 및 활용방안에 대한 전문가 검토 의뢰 430
부록 6-1. 지명의 세부유형 (지명표준화편람의 부록 1) 454
부록 6-2. TN_LAND_MANAGE 파일의 데이터 세부 설계 내역 (한진 개발보고서) 459
부록 6-3. 지도제작 시스템 지명 레이어의 상세 분류 통합코드 461
부록 6-4. 수치지도(v2.0) 레이어 테이블 목록 462
부록 6-5. 지명관리시스템과 지도제작시스템의 DB비교 467
부록 6-6. 지명관련 테이블과 엔티티 도메인 470
부록 6-7. 지명에 관한 INSPIRE 데이터 내역(번역문) 479
ABSTRACT 538
판권기 540
뒷표지 541
[표 2-1] 일시적으로 설치되거나 가변성이 있는 인공 시설물의 사례 34
[표 2-2] 민간 소유 지명부여 대상물의 사례 35
[표 2-3] 불특정 지역에 다수 설치되어 있어 지명부여가 불필요한 시설 36
[표 2-4] 공익성이 발생하여 지명부여가 필요한 시설물의 사례 36
[표 2-5] 지명의 부여 대상물의 종류, 정의, 소관기관 38
[표 2-6] 국가기본도 지명DB의 자연지명 중분류와 소분류 체계 38
[표 2-7] 국가기본도 지명DB의 인공지명 분류 체계 40
[표 2-8] 국가 지명DB의 해양지명 분류 체계 42
[표 2-9] 국가 지명DB의 행정지명 분류 체계 43
[표 2-10] 지리적 실체에 따른 자연지명 중분류와 소분류의 종류 45
[표 2-11] 지리적 실체에 따른 인공지명의 중분류와 소분류의 종류 47
[표 2-12] 지리적 실체에 따른 해양지명의 중분류와 소분류의 종류 49
[표 2-13] 행정지명 중분류와 소분류의 종류 50
[표 2-14] 국제적인 지명 표준화의 압력 53
[표 2-15] 법령 단순 지정형 운용 기준 56
[표 2-16] 〈각급 법원의 설치와 관할구역에 관한 법률〉의 명칭 관련 운용 기준 57
[표 2-17] 법령 유사명칭 사용금지형 운용 기준 58
[표 2-18] 〈국립대학병원 설치법〉에 소개된 명칭 관련 운용 기준 59
[표 2-19] 법령 통일명칭 사용금지형 운용 기준 59
[표 2-20] 〈암관리법〉에 소개된 명칭 관련 운용 기준 59
[표 2-21] 법령 동일명칭 사용 부과형 운용 기준 60
[표 2-22] 〈농수산물유통 및 가격안정에 관한 법률 시행령〉 명칭 관련 운용 기준 60
[표 2-23] 법령 명칭 부여 지침형 운용 기준 60
[표 2-24] 〈달성군 리의 명칭에 관한 조례 전부개정조례안〉 입법예고 61
[표 2-25] 행정중심복합도시 마을 및 시설 명칭부여 기준 62
[표 2-26] 〈지명법(안)〉의 표준화 원칙 63
[표 2-27] 「지명 표준화 편람 제2판」의 표준화 특성 분석 65
[표 2-28] 〈사적의 지정명칭 부여에 관한 일반 지침〉의 표준화 특성 분석 66
[표 2-29] 〈무인도서의 보전 및 관리에 관한 법률 시행령〉의 표준화 원칙 67
[표 2-30] 〈도로표지규칙의 안내지명 선정기준〉의 표준화 특성 분석 67
[표 2-31] 〈철도역명 및 노선명 관리운영 규정〉의 표준화 특성 분석 68
[표 2-32] 〈부산광역시 도로시설물 명칭제정 운영 규정〉의 표준화 특성 분석 69
[표 2-33] 단계별 표준화 특성 73
[표 2-34] 법령에 의해 결정된 공식지명의 사례 74
[표 2-35] 권위성 표준화 특성의 세부 결정 기준 74
[표 2-36] 지속성 표준화 특성의 세부 결정 기준 75
[표 2-37] 복수지명의 사례 75
[표 2-38] 단일성 표준화 특성의 세부 결정 기준 76
[표 2-39] 중복지명으로 인하여 발생된 공간 생활의 혼란 사례 76
[표 2-40] 유일성 표준화 특성의 세부 결정 기준 77
[표 2-41] 적절성 표준화 특성의 세부 결정 기준-1 77
[표 2-42] 적절성 표준화 특성의 세부 결정 기준-2 77
[표 2-43] 대표성 표준화 특성의 세부 결정 기준 78
[표 2-44] 규칙성 표준화 특성의 세부 결정 기준 78
[표 3-1] 지명부여 대상물의 표기기준과 지명 관련 주요 법률 현황 86
[표 3-2] 한국철도공사 여객안내 시행세칙 91
[표 3-3] 행정지명이 역명에 나타난 형태 92
[표 3-4] 두 지역 역명이 혼합된 형태 92
[표 3-5] 행정지명과 인공지명이 혼합된 형태 93
[표 3-6] 방향성 명사와 접두사가 결합된 형태 93
[표 3-7] 대학명이 반영된 형태 94
[표 3-8] 인공지명이 반영된 형태 94
[표 3-9] 자연지명이 반영된 형태 95
[표 3-10] 기관별 로마자 표기기준 96
[표 3-11] 지명부여 대상 기관별 로마자 표기원칙 99
[표 3-12] 지명부여 개별 기관별 후부요소 로마자 표기기준 분석 100
[표 3-13] 후부요소 표기 방식 비교 분석 101
[표 3-14] '수도'의 로마자 표기사례 111
[표 3-15] '암'의 로마자 표기사례 111
[표 3-16] '만'의 로마자 표기사례 112
[표 3-17] '초'의 로마자 표기사례 112
[표 3-18] '기요'의 표기사례 112
[표 3-19] '해저간극'의 표기사례 113
[표 3-20] '해산'의 표기사례 113
[표 3-21] 도로표지판에 사용된 약어 125
[표 3-22] 지하철 역명 약어 사용 실태 127
[표 3-23] 영문 지명 약어 유형 128
[표 3-24] 한글 지명 약어 유형 128
[표 3-25] 지명 관련 영문 약어목록 131
[표 3-26] 한글 지명 약어목록 134
[표 4-1] 국토지리정보원의 지명DB 보유 현황 141
[표 4-2] 지명DB에 포함된 정보 142
[표 4-3] 지명DB 예시 143
[표 4-4] 연속수치지도의 레이어 및 레이어에 포함된 지명관련 필드 145
[표 4-5] 연속수치지도 지명(연번 105) 레이어의 DB 구조 152
[표 4-6] 지명DB와 연속수치지도의 지명관련 레이어 비교 156
[표 4-7] 지명DB(1,549,066건)의 지명 코드별 지명수 159
[표 4-8] 지명DB의 소분류 코드와 연속수치지도 DB의 연계가능성 162
[표 4-9] 연속수치지도 건물(연번 23) 레이어의 DB 구조 166
[표 4-10] 현행 행정구역 지명DB 코드 168
[표 4-11] 행정구역 지명DB 코드 개선안 168
[표 4-12] 레벨을 고려한 행정구역 지명DB 코드 169
[표 4-13] 레벨별 지명표기 대상 179
[표 4-14] 지명DB의 현황 및 개선방향 186
[표 4-15] 지명DB에 필요한 추가 필드 및 입력 방법 187
[표 5-1] 대한민국 전도의 지명 192
[표 5-2] 한국의 행정구역 및 주요 도시의 지명 기억력과 위치 인지력 197
[표 5-3] 세계의 6대주 명칭에 대한 기억력과 위치 인지력 199
[표 5-4] 세계의 국가 명칭에 대한 기억력과 위치 인지력 199
[표 5-5] 고등학생의 기초 지리 지식 응답 통계표 200
[표 5-6] 초등학교 사회 3학년 204
[표 5-7] 초등학교 사회 4학년 205
[표 5-8] 초등학교 사회(역사) 5학년 206
[표 5-9] 초등학교 사회 6학년 208
[표 5-10] 중학교 사회 1 210
[표 5-11] 중학교 사회 2 212
[표 5-12] 고등학교 한국지리 214
[표 5-13] 고등학교 세계지리 216
[표 5-14] 초등학교 기초지명 - 자연지명 : 산지 219
[표 5-15] 초등학교 기초지명 - 자연지명 : 평야 220
[표 5-16] 초등학교 기초지명 - 자연지명 : 하천(강) 221
[표 5-17] 초등학교 기초지명 - 자연지명 : 만 222
[표 5-18] 초등학교 기초지명 - 자연지명 : 반도 222
[표 5-19] 초등학교 기초지명 - 자연지명 : 도서 222
[표 5-20] 초등학교 기초지명 - 자연지명 : 사막 223
[표 5-21] 초등학교 기초지명 - 자연지명 : 호수 223
[표 5-22] 초등학교 기초지명 - 자연지명 : 해양 224
[표 5-23] 초등학교 기초지명 - 인문지명 : 6대주 224
[표 5-24] 초등학교 기초지명 - 인문지명 : 국가 225
[표 5-25] 초등학교 기초지명 - 인문지명 : 지역 및 지방 228
[표 5-26] 초등학교 기초지명 - 인문지명 : 행정(특별시, 광역시, 자치시, 도) 229
[표 5-27] 초등학교 기초지명 - 인문지명 : 도시 230
[표 5-28] 초등학교 기초지명 - 인문지명 : 교통 234
[표 5-29] 초등학교 기초지명 - 인문지명 : 역사(1) 235
[표 5-30] 초등학교 기초지명 - 인문지명 : 역사(2) 236
[표 5-31] 중학교 기초지명 - 자연지명 : 산지 238
[표 5-32] 중학교 기초지명 - 자연지명 : 사막 238
[표 5-33] 중학교 기초지명 - 자연지명 : 강(하천) 239
[표 5-34] 중학교 기초지명 - 자연지명 : 호수 239
[표 5-35] 중학교 기초지명 - 자연지명 : 늪 239
[표 5-36] 중학교 기초지명 - 자연지명 : 만 240
[표 5-37] 중학교 기초지명 - 자연지명 : 도서 240
[표 5-38] 중학교 기초지명 - 자연지명 : 해양 241
[표 5-39] 중학교 기초지명 - 인문지명 : 국가 241
[표 5-40] 중학교 기초지명 - 인문지명 : 행정(도) 243
[표 5-41] 중학교 기초지명 - 인문지명 : 지역 및 지방 243
[표 5-42] 중학교 기초지명 - 인문지명 : 도시 244
[표 5-43] 고등학교 기초지명 - 자연지명 : 산지 246
[표 5-44] 고등학교 기초지명 - 자연지명 : 평야 247
[표 5-45] 고등학교 기초지명 - 자연지명 : 강(하천) 247
[표 5-46] 고등학교 기초지명 - 자연지명 : 만 248
[표 5-47] 고등학교 기초지명 - 자연지명 : 반도 249
[표 5-48] 고등학교 기초지명 - 자연지명 : 도서 249
[표 5-49] 고등학교 기초지명 - 자연지명 : 해양 250
[표 5-50] 고등학교 기초지명 - 자연지명 : 사막 250
[표 5-51] 고등학교 기초지명 - 인문지명 : 국가 250
[표 5-52] 고등학교 기초지명 - 인문지명 : 도시 251
[표 5-53] 고등학교 기초지명 - 국외 지역 및 지방 253
[표 5-54] 지식수준별 기초지명 - 초등학교(323) 255
[표 5-55] 지식수준별 기초지명 - 중학교(130) 257
[표 5-56] 지식수준별 기초지명 - 고등학교(164) 258
[표 6-1] 지명표준화편람의 지명 분류 265
[표 6-2] 지명시스템의 지명 중분류코드 266
[표 6-3] 지명DB의 대분류 유형별 DB건수 267
[표 6-4] 논리적 구분에 따른 테이블 목록 268
[표 6-5] 지명관리시스템 DB의 테이블 목록 272
[표 6-6] 한글·한자·영문 지명이 누락되거나 잘못 표기된 사례 276
[표 6-7] 강남구 1/5000지도의 지명 레이어(N3P_H0040000)의 속성테이블 284
[표 6-8] 명칭 항목을 갖고 있는 테이블 목록 284
[표 6-9] 지리사상별 도식규정 290
[표 6-10] 지명의 분류 체계 292
[표 6-11] 지명의 분류 체계에 따른 축척별 주기 분류 292
[표 6-12] 지명데이터가 포함된 교통 레이어 296
[표 6-13] 지명데이터가 포함된 건물·시설 레이어 297
[표 6-14] 지명데이터가 포함된 식생, 수계, 지형 레이어 298
[표 6-15] 지명데이터가 포함된 경계 및 주기 레이어 298
[표 6-16] 지명 필드가 없는 레이어의 지명DB유무 299
[표 6-17] 지도제작시스템의 도로시설 지명 분류 300
[표 6-18] 지도제작시스템의 지명데이터 중복 사례 300
[표 6-19] 지명정보관리시스템 S/W 구성 상세내역 302
[표 6-20] SMMP 구성 절차 306
[표 6-21] 메타데이터 데이터 요소 사이의 매핑 테이블 306
[표 6-22] 지명분류에 따른 관리기관 307
[표 6-23] 시공간 데이터 모델의 종류 311
[표 6-24] 엔티티 후보 풀 324
[표 6-25] 지명정보관리 시스템의 테이블, 엔티티 명칭 324
[표 6-26] 지명관리 테이블의 도메인 정보 325
[표 6-27] 지명유래 엔티티의 도메인 328
[표 6-28] 지명심의 엔티티의 도메인 328
[표 6-29] 지명관리테이블의 속성 데이터 분류 329
[표 6-30] 축척별 지도에 표시되는 지명목록 339
[표 6-31] 지명DB의 지명 소분류와 1:5,000 수치지도 DB의 레이어 연결 348
[표 6-32] 지명DB의 지명 소분류 350
〈그림 3-1〉 도로표지판 오류 표기 사례 116
〈그림 4-1〉 연속수치지도 레이어 명명 규칙 145
〈그림 4-2〉 도로중심선 및 건물레이어의 지명과 레벨 관련 필드 149
〈그림 4-3〉 명칭과 주기가 혼재하는 연속수치지도의 지명 150
〈그림 4-4〉 강남구 연속수치지도 지명(연번 105)레이어에 포함된 지명 151
〈그림 4-5〉 자연마을과 행정구역명 만으로 구성된 연속수치지도 지명 레이어(구리시) 151
〈그림 4-6〉 UFID체계 153
〈그림 4-7〉 지도검색시스템(좌)와 온맵(우)의 국토지리정보원 근처 지도 154
〈그림 4-8〉 지명DB(파란색)과 연속수치지도의 지명레이어(빨강색) 비교 157
〈그림 4-9〉 지명DB(파란색)과 연속수치지도의 건물레이어(분홍색) 비교 158
〈그림 4-10〉 구글(좌), 네이버(중), 국토지리정보원(우)의 지도 레벨 171
〈그림 4-11〉 네이버 1레벨과 2레벨 171
〈그림 4-12〉 1레벨 비교 172
〈그림 4-13〉 2레벨 비교 173
〈그림 4-14〉 3레벨 비교 173
〈그림 4-15〉 4레벨 비교 174
〈그림 4-16〉 5레벨 비교 174
〈그림 4-17〉 6레벨 비교 175
〈그림 4-18〉 7레벨 비교 175
〈그림 4-19〉 8레벨 비교 176
〈그림 4-20〉 9레벨 비교 176
〈그림 4-21〉 10레벨 비교 177
〈그림 4-22〉 1레벨 비교 177
〈그림 4-23〉 1레벨 비교 178
〈그림 4-24〉 지명DB의 위치오류 사례 185
〈그림 6-1〉 '형제섬' 지명 데이터 속성 항목 264
〈그림 6-2〉 논리 ERD 270
〈그림 6-3〉 물리 ERD 274
〈그림 6-4〉 TN_LAND_MANAGE(154만건)의 테이블 274
〈그림 6-5〉 다른 위치의 동일 지명을 사용하는 사례 275
〈그림 6-6〉 옛지명만 기입된 데이터의 사례 275
〈그림 6-7〉 동일한 영어지명, 다른 한글지명의 사례 276
〈그림 6-8〉 영어고시지명 칼럼에 한글지명이 기입된 사례 276
〈그림 6-9〉 옛지명, 현재지명의 잘못된 기재 사례 277
〈그림 6-10〉 지명관리시스템의 비어있는 법정읍면동 컬럼의 예시 277
〈그림 6-11〉 지명데이터의 좌표정보 278
〈그림 6-12〉 지명관리DB의 양태분류코드 예시 279
〈그림 6-13〉 축척별 양태분류코드 279
〈그림 6-14〉 지명 유래 이력 관리 체계(위)와 물리적 구조(아래) 280
〈그림 6-15〉 지명유래 데이터의 형태 280
〈그림 6-16〉 국토포털(www.land.go.kr)의 '박간산' 지명 검색 결과 281
〈그림 6-17〉 옛지명과 현재지명의 한글, 한문, 영문 표기 예시 281
〈그림 6-18〉 강남구 1/5000지도의 지명 레이어 (N3P_H0040000) 283
〈그림 6-19〉 대분류코드, 중분류코드, 소분류코드의 예시 286
〈그림 6-20〉 지명DB 및 수치지형도 DB의 활용 현황 288
〈그림 6-21〉 좌표를 이용하여 공간정보로 변환하는 과정 290
〈그림 6-22〉 지명레이어(N3P_H0040000)의 지명데이터 294
〈그림 6-23〉 지명정보관리시스템의 구성도 301
〈그림 6-24〉 스키마 개념도 303
〈그림 6-25〉 강 결합방식을 적용한 예시 304
〈그림 6-26〉 약 결합방식을 적용한 예시 305
〈그림 6-27〉 국가지명위원회와 지방자치단체 지명위원회의 구성 307
〈그림 6-28〉 지명관리시스템 업무 프로세스 308
〈그림 6-29〉 지명의 제정·변경 업무 흐름도 309
〈그림 6-30〉 시간데이터의 유형 310
〈그림 6-31〉 변화데이터 310
〈그림 6-32〉 시공간 데이터베이스와 자료의 사전구성 311
〈그림 6-33〉 스냅샷 모델의 T1부터 Tn까지의 레이어 변화의 예 312
〈그림 6-34〉 벡터 스냅샷 모델 313
〈그림 6-35〉 래스터 스냅샷 모델 313
〈그림 6-36〉 time cube의 사례 313
〈그림 6-37〉 Event-oriented 모델의 기본 요소 315
〈그림 6-38〉 the space-time composite(STC) data model 316
〈그림 6-39〉 three domain Model 317
〈그림 6-40〉 Object class 318
〈그림 6-41〉 시간, 공간, 비공간적 속성 자료 사이의 관계도 319
〈그림 6-42〉 시스템 객체 다이어그램 319
〈그림 6-43〉 Collaboration 다이어그램의 예시 320
〈그림 6-44〉 Feature based temporal model의 개념도 321
〈그림 6-45〉 Feature-based 시간 모델의 개념 322
〈그림 6-46〉 사상 이력 관리 시스템의 DB 구조 테이블 323
〈그림 6-47〉 기능에 따른 지명관리시스템 분류 ERD 331
〈그림 6-48〉 지명유래 및 변경이력 관리 연관 테이블 ERD 333
〈그림 6-49〉 지명위원회 지명심의 관련 테이블 ERD 335
〈그림 6-50〉 기초정보관리 관련 테이블 ERD 336
〈그림 6-51〉 지명 레벨 관리 및 지도DB 연계 테이블 337
〈그림 6-52〉 재구성된 지명관리시스템 ERD 338
〈그림 6-53〉 지명관리DB의 양태분류코드 예시 340
〈그림 6-54〉 점 사상의 기본 규칙 341
〈그림 6-55〉 여러 줄로 분할하여 명칭을 표시 341
〈그림 6-56〉 면 사상 라벨링 342
〈그림 6-57〉 면 사상의 레이블 표기 343
〈그림 6-58〉 Yoeil의 점 사상의 레이블 위치 344
〈그림 6-59〉 Imhof의 점 사상의 레이블 위치 344
〈그림 6-60〉 Doershler와 Freeman의 점 사상의 레이블 위치 344
〈그림 6-61〉 선 사상 라벨링 345
〈그림 6-62〉 선 사상의 레이블 위치 방법 345
〈그림 6-63〉 선 사상의 레이블 위치 345
〈그림 6-64〉 두 가지의 면 사상 라벨링 양식 346
〈그림 6-65〉 지명관리시스템과 수치지도의 행정동·법정동 관련 컬럼 비교 347
〈그림 6-66〉 지명관리시스템의 행정동코드(HIST_EMD_CD), 지명(LAND_KCURRA), 법정동이름(HIST_KLAW) 348
〈그림 6-67〉 수치지도의 법정동코드(BJCD), 지명, 레이어명 사례 348
〈그림 6-68〉 지명을 활용한 수치지도 제작 사례 35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