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제지
제출문
참여진
요약문
목차
제1장 서론 22
1. 연구 필요성 및 목적 22
2. 연구 범위 및 방법 24
1) 내용적 범위 24
2) 연구방법 24
3. 연구진 구성 및 연구 일정 28
제2장 1/1,000 수치지도 연계 수정 방안 30
1. 연구 배경과 목적 30
2. 기술현황분석 32
1) 3차원 공간정보의 특징 32
2) 1/1,000 수치지도의 특징 45
3. 1/1,000 수치지도와 3차원 공간정보 연계성 분석 78
1) 3차원 객체모델 79
2) 정사영상 81
3) DEM 82
4) 분석결과 82
4. 1/1,000 수치지도 수정 방안 제시 85
1) 3차원 객체모델을 이용한 수정 방안 85
2) 정사영상을 이용한 수정 방안 89
3) DEM을 이용한 수정 방안 90
5. 1/1,000 수치지도 수정 시범제작 및 정확도 분석 93
1) 대상지역 선정 및 기초자료 수집 93
2) 시범구축 95
3) 1/1,000 수치지도 수정 시범제작 정확도 분석 111
4) 1/1,000 수치지도 수정 시범제작 분석 결과 124
6. 작업규정 및 품셈 작성 125
1) 최적방안 정립 125
2) 1/1,000 수치지도 수정 소요시간 산정 128
3) 작업 규정 및 품셈 안 작성 130
7. 결론 및 제언 135
제3장 지상 MMS 데이터 융·복합 활용방안 138
1. 연구의 배경과 목적 138
2. 기술현황 분석 140
1) 지상 MMS 기술 현황 140
2) 지상 MMS 적용현황과 한계점 분석 146
3. 지상 MMS 융·복합 구축방안 150
1) 항공·지상 측정 데이터간 편차소거 방법 150
2) 항공·지상측량 자료의 중첩조회에 의한 동시 활용 방안 174
3) 융·복합자료를 이용한 공간정보 구축 방안 181
4. 고건축물 및 랜드마크 건물에 대한 3차원 공간정보 구축방안 202
1) 고건축물과 랜드마크 건물의 특성 202
2) 구축방법론 정립 202
3) 시범구축에 의한 방법론 검증 208
5. 시범구축 및 작업규정, 품셈 연구 217
1) 실험장비의 사양과 시범구축 대상지역 217
2) 지상 MMS 자료의 취득과 처리 219
3) 항공·지상 데이터간 편차소거 실험 223
4) 작업규정 및 품셈 개선 방안 227
6. 결론 및 제언 240
제4장 지하시설물 3차원 가시화방안 242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242
2. 국내외 기술여건 및 현황분석 244
1) 지하시설물 전산화사업 추진 현황 및 여건 244
2) 국내외 3차원 공간정보 가시화 현황 및 여건 분석 261
3) 3차원 공간정보 구축 및 가시화 소요기술 분석 278
3. 지하시설물 3차원 가시화 모델 시범 제작 301
1) 시범제작 개요 301
2) 지하시설물 3차원 가시화 실험 312
3) 가시화 실험 분석 335
4. 시범지역 지하시설물 3차원 가시화 작업규정 및 품셈연구 337
1) 지하시설물 가시화 작업 공정 337
2) 3차원 국토공간정보 작업규정 개선(안) 338
3) 시범지역 지하시설물 3차원 가시화 작업량 산정 350
5. 결론 및 제언 356
참고문헌 360
판권기 362
[표 1.1] 연구 일정 29
[표 2.1] 3차원 공간정보 구축 연도별 구축 현황 34
[표 2.2] 3차원 공간정보 구축 항목 35
[표 2.3] 지자체별 1/1,000 수치지도 제작·수정년도 48
[표 2.4] 1/1,000수치지도 제작 및 수정 현황 50
[표 2.5] 도단위 행정구역 수치지도 제작 및 수정 현황 52
[표 2.6] 도단위 행정구역 수치지도 제작 및 수정 현황 54
[표 2.7] 1/1,000수치지도 중분류 구분 - 지방자치 단체 62
[표 2.8] 1/1,000수치지도 활용 현황 분석 - 지방자치단체 63
[표 2.9] 1/1,000수치지도 중분류 구분 - 정부부처 및 공공기관 66
[표 2.10] 특수 지형지물 제작 현황 67
[표 2.11] 1/1,000 수치지도 활용 현황 분석 - 정부부처 및공공기관 68
[표 2.12] 1/1,000 수치지도중분류 구분 - 정부부처 및공공기관 71
[표 2.13] 1/1,000 수치지도활용 현황 분석 - 민간기관 72
[표 2.14] 1/1,000 수치지도활용 현황 분석 결과 73
[표 2.15] 대상기관에서 공통 사용 지형지물 74
[표 2.16] 3차원 객체모델로 수정 가능한 1/1,000 수치지도 지형지물 80
[표 2.17] 정사영상으로 수정 가능한 1/1,000 수치지도 지형지물 82
[표 2.18] DEM을 이용한 1/1,000수치지도 제작이 가능한 지형지물 Layer 82
[표 2.19] 활용도별 3차원 공간정보 연계 지형지물 83
[표 2.20] 1/1,000 수치지도 속성정보 수정방안 102
[표 2.21] 모든 속성정보의 수정이 가능한 1/1,000 수치지도 지형지물 105
[표 2.22] 부분 속성정보 수정이 가능한 지형지물 107
[표 2.23] 면형 지형지물 수평위치 정확도 분석 115
[표 2.24] 면형 지형지물 면적 정확도 분석 119
[표 2.25] 선형 지형지물의 수평위치 정확도 분석 121
[표 2.26] 선형지형지물 길이 정확도 분석 123
[표 2.27] 시범구축 지역에 존재하는 1/1,000 수치지도 지형지물 128
[표 2.28] 1/1,000 수치지도 수정 소요시간 129
[표 2.29] 1/1,000 수치지도 10도엽의 지형지물 객체수 130
[표 2.30] 3차원 객체모델을 이용한 수정 편집 작업 규정 131
[표 2.31] 3차원 객체모델의 수치지도 지형지물 전환 132
[표 2.32] 3차원 객체모델을 이용한 1/1,000 수치지도 수정 편집 품셈 133
[표 3.1] 해상도별 모바일 레이저스캐너의 종류와 주요 사양 141
[표 3.2] Ladybug 5 파노라마 카메라의 주요 사양 144
[표 3.3] 항공·지상 자료 사이의 편차와 편차로 인한 공간정보 구축 오류의 예 150
[표 3.4] 지상 MMS 측정자료들 사이의 평면 편차량에 대한 통계지표 156
[표 3.5] 항공측량자료와 지상 MMS 측정자료 사이의 평면 편차량에 대한... 158
[표 3.6] 항공측량자료와 지상 MMS 측정자료 사이의 표고 편차량에 대한... 160
[표 3.7] 항공·지상 자료의 편차 소거를 위해 고려되어야 하는 사항들 162
[표 3.8] 보정용 기준점 좌표의 취득 방법별 장·단점 167
[표 3.9] 항공·지상 융·복합 구축 프로세스의 종류 182
[표 3.10] 지상 MMS 표준자료의 종류와 형식 185
[표 3.11] 형태에 따른 도로시설물의 구분 192
[표 3.12] 3차원 공간정보 구죽시 지형·지물의 묘사에 사용하는 면 정보의 종류 204
[표 3.13] 건물의 종류별 면 정보 선정 방법 206
[표 3.14] 접합점들의 표정오차 211
[표 3.15] 중복하여 취득한 지상 MMS 자료들의 상호편차 소거를 위하여 취득한 접합점의 예 224
[표 3.16] 항공사진측량 프로젝트에서 취득한 기준점과 평가점의 예 225
[표 3.17] "고건축물3차원공간정보구축작업규정" 구성방안 234
[표 3.18] 고밀도면 제작을 위한 필터링 및 보간 항목 설정의 예 235
[표 3.19] 지상 MMS 시범 구축시 투입 기술인력의 등급과 인원수 236
[표 3.20] 단위작업물량에 대한 투입인원수 분석 237
[표 3.21] 지상 MMS 측량 작업의 기계경비 관련 계수들 237
[표 3.22] 고건축물 3차원 공간정보 시범구축시 투입 기술인력의 등급과... 238
[표 3.23] 단위작업물량에 대한 투입인원수 분석 239
[표 3.24] 고건축물의 유형별 증감계수 계산의 예 239
[표 3.25] 고건축물 3차원 공간정보 구축작업의 기계경비 관련 계수들 239
[표 4.1] 지하시설물 정보화사업의 지방자체단체 연도별 예산 집행 현황 247
[표 4.2] 지하시설물 통합관리체계 구축사업 연도별 예산 집행 현황 250
[표 4.3] 7대 지하시설물 통합 현황 250
[표 4.4] 지하시설물 관련 시스템별 소요장비 256
[표 4.5] 지자체별 DB 구축현황 및 측량방법 257
[표 4.6] 기기 및 미디어별 공간정보 오픈플랫폼 서비스 현황 262
[표 4.7] 3차원 국토공간정보 구축개선안(2008) 세밀도 단계별 세부 사항 280
[표 4.8] 3DF-GML의 특성 282
[표 4.9] GML3.X의 특성 283
[표 4.10] CityGML의 LOD 별 형태 표현 285
[표 4.11] CityGML의 특성 287
[표 4.12] KML의 특성 289
[표 4.13] GML, CityGML, KML(COLLADA)의 표현 능력 비교 290
[표 4.14] Shape 파일에서 지원하는 객체 타입 292
[표 4.15] 3차원 국토공간정보 표준데이터셋 297
[표 4.16] 상·하수 객체별 3차원 가시화 제작방식 307
[표 4.17] 상수도 시설물 3차원 데이터 구축 제작 방향 312
[표 4.18] 하수도 시설물 3차원 데이터 구축 제작 방향 313
[표 4.19] 전문시설물 3차원 가시화 기준 329
[표 4.20] 지하시설물 제작종류별 가시화 성과 332
[표 4.21] 3DF-GML과 3DS 포맷 비교 335
[표 4.22] 시범지역 제작 작업반 편성 350
[표 4.23] 3차원 지하시설물 정보 구축 단위면적당 소요 작업량 산정 351
[표 4.24] 3차원 가시화데이터 구축 작업 단위면적당 소요 작업량 산정 352
[표 4.25] 3차원 국토공간정보 구축 품셈 상에서의 지형유형에 따른 계수 354
[표 4.26] 지하시설물도 구축 품셈 상에서의 지형유형에 따른 계수 354
[그림 1.1] 연구 필요성 및 목적 23
[그림 1.2] 연구진 구성 28
[그림 2.1] 연도별 3차원 공간정보 구축 현황 33
[그림 2.2] 3차원 공간정보 구축 방법의 발달 35
[그림 2.3] 1/1,000 수치지도를 이용한 3차원 공간정보 구축 공정 36
[그림 2.4] 1/1,000 수치지도를 이용한 3차원 공간정보 생성의 문제점 38
[그림 2.5] 3차원 모델러를 이용한 3차원 공간정보 구축 방법 39
[그림 2.6] 3차원 모델러를 이용한 3차원 공간정보 40
[그림 2.7] 3차원 공간정보의 객체 구성 40
[그림 2.8] 수치사진기법을 이용한 3차원 공간정보의 문제점 42
[그림 2.9] 인천광역시 실감정사영상 + 도화원도 43
[그림 2.10] DEM자료 44
[그림 2.11] 3차원 객체모델 45
[그림 2.12] 수치지도Ver1.0과 Ver2.0의 예 46
[그림 2.13] 수치지도Ver1.0과 Ver2.0의 제작 및 수정과정 47
[그림 2.14] 기존 1/1,000 수치지도의 광역 시·도별 제작 비율 49
[그림 2.15] 도단위 행정구역 제작율 분석 결과 52
[그림 2.16] 도단위 행정구역 수정율 분석 결과 53
[그림 2.17] 활용도 분석의 조사 범위 58
[그림 2.18] 활용도 분석의 주요 과정 59
[그림 2.19] 국가공간정보유통시스템의 자료 조회 60
[그림 2.20] 데이터 분석 과정 61
[그림 2.21] 1/1,000 수치지도 활용도 분석 - 지방자치단체 64
[그림 2.22] 정부부처 및 공공기관의 대표적 웹 서비스 형태 65
[그림 2.23] 1/1,000 수치지도 활용도 분석 - 정부부처 및 공공기관 68
[그림 2.24] 1/1,000 수치지도를 활용하는 민간기관 조사 대상 69
[그림 2.25] 민간기관의 대표적 웹 서비스 형태 70
[그림 2.26] 1/1,000 수치지도 활용도 분석 - 민간기관 73
[그림 2.27] 1/1,000 수치지도의 문제점 75
[그림 2.28] 1/1,000 수치지도 문제점 개선방안 76
[그림 2.29] 1/1,000 수치지도와 3차원 공간정보의 연계성 분석 78
[그림 2.30] 3차원 공간정보 연계성 분석 결과 83
[그림 2.31] 3차원 객체모델을 이용한 수정 방안 85
[그림 2.32] 3차원 객체모델을 이용한 면형 지형지물 생성 86
[그림 2.33] 3차원 객체모델의 1/1,000 수치지도 전환(면형 지형지물) 86
[그림 2.34] 3차원 객체모델을 이용한 선형 지형지물 생성 87
[그림 2.35] 3차원 객체모델의 1/1,000 수치지도 전환(선형 지형지물) 88
[그림 2.36] 3차원 객체모델을 이용한 점형 지형지물 생성 88
[그림 2.37] 3차원 객체모델의 1/1,000 수치지도 전환(점형 지형지물) 89
[그림 2.38] 정사영상을 이용한 1/1,000 수치지도 수정 방안 90
[그림 2.39] DEM을 이용한 지형지물 생성 91
[그림 2.40] LiDAR 자료를 이용하여 생성된 DEM을 이용한 수정 방안 92
[그림 2.41] 1/1,000 수치지도 수정 시범제작 및 정확도 분석 93
[그림 2.42] 대상지역 기초자료 94
[그림 2.43] 면형 지형지물 전환 방안 95
[그림 2.44] 면형 지형지물(건물)의 전환 과정 96
[그림 2.45] 면형 지형지물(횡단보도)의 전환 과정 97
[그림 2.46] 선형 지형지물 변환과정 98
[그림 2.47] 도로면 객체의 결합 전, 후 98
[그림 2.48] 선형 지형지물의 불필요한 점, 선, hole 제거 전, 후 99
[그림 2.49] 점형 지형지물 변환과정 100
[그림 2.50] 3차원 공간정보와 도화원도의 가로수 101
[그림 2.51] 3차원 공간정보 속성의 1/1,000 수치지도 속성정보 입력 방안 106
[그림 2.52] 3차원 객체모델을 이용한 일괄 수정 방안 108
[그림 2.53] 3차원 객체모델을 이용한 부분 수정 방안 109
[그림 2.54] 3차원 객체모델을 이용한 시범구축 지형지물의 정위치 편집 109
[그림 2.55] 3차원객체모델의 1/1,000 수치지도 전환 모습(인천 지역) 110
[그림 2.56] 3차원객체모델의 1/1,000 수치지도 전환 모습(부산 지역) 111
[그림 2.57] 3차원객체모델의 1/1,000 수치지도 전환 장점 112
[그림 2.58] 3차원객체모델의 1/1,000 수치지도 전환 단점 113
[그림 2.59] 인천광역시 정확도 분석 대상지역 114
[그림 2.60] 면형 지형지물 과대오차 발생 부분 114
[그림 2.61] 3차원 객체모델과 도화원도의 도로경계 120
[그림 2.62] 선형 지형지물 과대오차 발생 부분 122
[그림 2.63] 3차원 공간정보를 이용한 1/1,000 수치지도 수시 갱신 방안의 최적 공정 127
[그림 2.64] 시범 구축 지역에 존재하는 3차원 객체모델의 객체수 128
[그림 3.1] 저해상도 모바일 레이저스캐너 중심의 지상 MMS 구성 142
[그림 3.2] 고해상도 모바일 레이저스캐너 중심의 지상 MMS 구성 143
[그림 3.3] 다양한 해상도의 디지털카메라 제품들((주)씽크론) 143
[그림 3.4] Ladybug5 제품과 셈플 영상자료(Point Grey Research 사) 145
[그림 3.5] 고해상도의 지상 MMS 자료 이용 시 묘사 가능 범위 146
[그림 3.6] 위치기반 영상자료를 이용한 도로시설물 속성조사 147
[그림 3.7] "3차원국토공간정보구축작업규정"의 지상 MMS 관련 조항 147
[그림 3.8] GPS 신호단절 이후 3차원 좌표에 포함되는 오차의 증가(Sandy 등, 2006) 148
[그림 3.9] 도심지에서 취득한 GPS/INS 측위자료의 평면오차(Haala 등, 2008) 148
[그림 3.10] 중복하여 취득한 지상 MMS 측정자료들 사이에 발생한 상호편차의 예 151
[그림 3.11] 항공측량자료와 지상 MMS 측정자료 사이에 발생한 편차의 예 152
[그림 3.12] 지상 MMS 측정자료들 사이의 평면 편차량 154
[그림 3.13] 특정 노선의 경거편차 분포와 피팅 오차 155
[그림 3.14] 특정 노선의 위거편차 분포와 피팅 오차 155
[그림 3.15] 지상 MMS 측정자료들 사이의 평면 편차량의 크기에 대한 도수분포 156
[그림 3.16] 항공측량자료와 지상 MMS 측정자료 사이에 발생한... 157
[그림 3.17] 항공측량자료와 지상 MMS 측정자료 사이의 평면 편차량의 크기에 대한... 158
[그림 3.18] 지상 MMS 운행 노선별 항공측량자료와의 평면편차 분포 159
[그림 3.19] 항공측량자료와 지상 MMS 측정자료 사이에 발생한 표고편차들의... 160
[그림 3.20] 항공측량자료와 지상 MMS 측정자료 사이의 표고 편차량의 크기에 대한 도수분포 161
[그림 3.21] 변환 파라미터의 추정과 왜곡량 모델링에 의한 보정 방법의 예 163
[그림 3.22] Affine 변환모델을 사용하여 변환... 163
[그림 3.23] GPS/INS 자료를 수정하여 지상 MMS 자료를 보정하는 방법 164
[그림 3.24] GPS 신호수신이 단절된 이후 다양한 GPS/INS 장비들이 나타내는 오차의... 165
[그림 3.25] 기준좌표를 이용한 GPS/INS 자료용 보정 매개변수... 166
[그림 3.26] 접합점 정보만을 사용하여 지상 MMS 자료의 상대적인 편차를... 168
[그림 3.27] 항공사진측량 프로젝트에서 추출한 기준점을 사용하여 지상 MMS... 170
[그림 3.28] 항공사진측량 프로젝트에서 추출한 기준점을 사용하여 지상 MMS... 171
[그림 3.29] 항공사진측량 프로젝트에서 추출한 기준점을 사용하여... 172
[그림 3.30] 항공사진측량 프로젝트에서 추출한 기준점을 사용하여... 173
[그림 3.31] 공선조건식과 외부표정정보를 이용하여 3차원 절대좌표를 영상좌표로... 175
[그림 3.32] 지상영상자료상에 레이저점군자료를 표시한 결과 176
[그림 3.33] 3차원 공간상에 영상을 나타내는 방법의 예 177
[그림 3.34] 지오파노라마영상의 제작 단계 178
[그림 3.35] 지오파노라마영상의 제작을 위한 초점변환의 개념 179
[그림 3.36] 지오파노라마영상자료에 사용되는 좌표계 180
[그림 3.37] 지상 MMS 측정 및 전처리 프로세스 183
[그림 3.38] GPS/INS 처리 결과에 근거하여 기준점을 선점하는 작업의 예 184
[그림 3.39] 항공 레이저점군자료와 지상 레이저점군자료의 차이 186
[그림 3.40] 항공·지상 융합 DEM 제작 프로세스 187
[그림 3.41] 접합기준선 디지타이징의 예 188
[그림 3.42] 항공지상 융합 DSM 188
[그림 3.43] Progressive Morphological Filter의 구조와 효과(Zhang 등(2003)) 189
[그림 3.44] 지상 MMS 이동경로 중심의 자료 Thinning 접근방법 190
[그림 3.45] 항공·지상 융합 DEM 191
[그림 3.46] 지상영상자료를 이용한 규격형 소형 시설물 측정방법 193
[그림 3.47] 레이저점군자료를 이용한 규격형 소형 시설물... 193
[그림 3.48] 지상 MMS 자료를 사용하여 교통안내표지에... 195
[그림 3.49] 버스정거장에 대한 지상 MMS 측정자료 196
[그림 3.50] 교통시설물 중 비규격형 대형 시설물에 대한 3차원 공간정보 구축의... 197
[그림 3.51] 지상 MMS 자료를 이용한 터널입구 3차원 가시화 정보... 198
[그림 3.52] 지상 MMS 자료를 이용한 지하차도 입구의 3차원 가시화 정보 취득 199
[그림 3.53] 지상 MMS를 이용한 3차원 공간정보 보완측정... 200
[그림 3.54] 가시화자료 추출작업에 대한 예 201
[그림 3.55] 복잡한 구조를 가지고 있는 고건축물의 예 202
[그림 3.56] 독특한 디자인의 랜드마크건물 202
[그림 3.57] 고밀도면 정보를 측정하는 단계 205
[그림 3.58] 항공측량자료와 지상 MMS 측정자료 및 현지조사... 207
[그림 3.59] 항공측량자료와 지상 MMS 측정자료 및 현지조사... 208
[그림 3.60] 카메라 캘리브레이션에 사용한 영상들과 표정결과 209
[그림 3.61] SHV- E1605 카메라에 대한 캘리브레이션 결과 209
[그림 3.62] 랜드마크건물 측정에 사용한 현지조사 영상들 210
[그림 3.63] 항공측량자료와 지상 MMS 측정자료 및 현지조사 영상자료를 이용한... 213
[그림 3.64] 고건물 측정에 사용한 현지조사 영상들 214
[그림 3.65] 고밀도면의 제작을 위해 제작한 기본정보들(사진측량방법으로... 214
[그림 3.66] 고밀도면 제작의 예(좌측 : 불규칙 삼각망 생성 결과, 우측 :... 215
[그림 3.67] 단순기하면 정보 제작의 예 215
[그림 3.68] 지상 MMS 장비의 구성과 주요 사양 217
[그림 3.69] 항공측량장비의 구성과 주요 사양 218
[그림 3.70] 시범구축지역의 위치와 특성 219
[그림 3.71] 자료취득현황 220
[그림 3.72] 지상 MMS 자료의 처리 절차 221
[그림 3.73] 지상 MMS에 탑재된 GPS/1NS 자료에 대한 처리결과 중 위치오차 분포도 222
[그림 3.74] 지상 MMS에 탑재된 GPS/INS 자료에 대한 처리결과 중 자세오차 분포도 222
[그림 3.75] 지상 MMS 측정 당시 포착된 GPS 위성의 수와 PDOP 정보 223
[그림 3.76] 기준점 적용의 예 226
[그림 3.77] 편차소거 실험에 사용한 Matlab 기반의 소프트웨어 227
[그림 3.78] 작업규정 개선방안 228
[그림 3.79] "지상MMS측량작업규정"과의 연계를 위한 관련조항의 수정 229
[그림 3.80] 지형자료 편집에"지상MMS측량작업규정"을 연계하기 위한 관련조항의... 229
[그림 3.81] "고건축물3차원공간정보구축작업규정"과의 연계를 위한 관련조항의... 230
[그림 3.82] "지상MMS측량작업규정" 의 포괄범위 조정 231
[그림 3.83] 항공측량성과와의 편차량 소거를 위한 관련조항의 수정 232
[그림 3.84] 항공측량성과와의 편차량 소거를 위한 관련조항의 수정 232
[그림 4.1] 연구 흐름도 243
[그림 4.2] 지하시설물 전산화 사업의 주요추진 내용 244
[그림 4.3] 지하시설물 전산화사업 구축현황 245
[그림 4.4] 지하시설물 전산화 추진단계 245
[그림 4.5] 도로점용·굴착인허가 업무단계별 타 시스템 연계 252
[그림 4.6] 지하시설물통합관리시스템 활용 253
[그림 4.7] 공간정보자동갱신시스템 개념도 255
[그림 4.8] 지하시설물 데이터의 타부서 공유활용 현황 255
[그림 4.9] 지하시설물 구축 시 적용한 측량 방법 현황 256
[그림 4.10] 지하시설물 데이터 갱신시 측량 방법 259
[그림 4.11] 상수시설물의 성과심사 결과 259
[그림 4.12] 하수시설물의 성과심사 결과 260
[그림 4.13] 상수시설물의 지역별 성과심사 결과 260
[그림 4.14] 하수시설물의 지역별 성과심사 결과 260
[그림 4.15] 공간정보 오픈플랫폼의 공간정보 확보 및 활용방안 261
[그림 4.16] 공간정보 오픈플랫폼 국내 데이터 현황 262
[그림 4.17] 고정밀 3D 모델 서비스(일부지역) 263
[그림 4.18] 공간정보 오픈플랫폼 서비스 현황 263
[그림 4.19] 공간정보 오픈플랫폼 활용사례 264
[그림 4.20] 3차원 공간정보의 현황 264
[그림 4.21] 일본 도로관리센터 지부의 위치 265
[그림 4.22] 일본 도로관리센터 개념도 266
[그림 4.23] 일본 도로관리시스템의 대상 266
[그림 4.24] 도로·지형데이터 및 점용물 데이터 267
[그림 4.25] 영국 VISTA 프로젝트 개념도 268
[그림 4.26] before-u-dig 홈페이지 및 지도 인터페이스 269
[그림 4.27] 2D데이터 셋의 3D로의 변환 : 수직 세그멘트의 생성 270
[그림 4.28] 3D visualization of cylindrical pipes without connections 271
[그림 4.29] 3D visualization of cylindrical pipes with smooth transition using torus 271
[그림 4.30] 사각형 파이프의 계산 272
[그림 4.31] Four different cases of pipe changes 273
[그림 4.32] 사각형 파이프의 시각화 273
[그림 4.33] 3D 심볼의 예 274
[그림 4.34] 파이프라인의 3차원 가시화 예 275
[그림 4.35] 파이프라인의 시각화 276
[그림 4.36] ArcScene에서의 파이프라인 디스플레이 276
[그림 4.37] VRML 뷰어에서의 가시화(Cortona 3D 277
[그림 4.38] 파이프 3차원 포맷 277
[그림 4.39] 파이프 2차원 포맷 278
[그림 4.40] 스케치업 모델링 278
[그림 4.41] 3DF-GML 주제 모델의 UML Class Diagram 279
[그림 4.42] 3DF-GML 기하 모델의 UML Diagram 281
[그림 4.43] GML Class Hierarchy 283
[그림 4.44] CityGML 주제 모델 UML Diagram 284
[그림 4.45] CityGML Geometry Model의 기하학적기본요소 UML Class Diagram 286
[그림 4.46] CityGML Geometry Model의 기본요소 결합 UML Class Diagram 286
[그림 4.47] CityGML Topological Model의 예시 287
[그림 4.48] KML Element Diagram 288
[그림 4.49] 3DS 데이터 포맷의 구조 291
[그림 4.50] X3D Architecture 294
[그림 4.51] 글로벌 일루미네이션(GI)을 통해 렌더링된 이미지 296
[그림 4.52] 3차원 국토공간정보 구축절차 297
[그림 4.53] 교통데이터 구축 절차 298
[그림 4.54] 3차원 시설물데이터 구축 과정 298
[그림 4.55] 3차원 수자원데이터 구축 과정 299
[그림 4.56] 가시화 데이터 제작절차 299
[그림 4.57] 3차원 공간정보 구축 및 변환 과정 300
[그림 4.58] 시범구죽지역 (인천 논현지구) 301
[그림 4.59] CityGML의 모듈러 구조 302
[그림 4.60] 3D Studio Max 모델링 화면 302
[그림 4.61] Trimble Sketch Up 모델링 화면 303
[그림 4.62] Rhinoceros® Rhino 3D 모델링 화면 303
[그림 4.63] Graphisoft ArchiCAD 모델링 화면 303
[그림 4.64] Revit MEP 모델링 화면 303
[그림 4.65] TerraExplorer Pro에서 불러온 SHP 데이터에 대한 자동 표현 304
[그림 4.66] 3차원 가시화 모델 데이터 305
[그림 4.67] 지하시설물 3차원 가시화 절차 306
[그림 4.68] 지하시설물 3차원 가시화 대상 방법별 분류 310
[그림 4.69] 지하시설물 3차원 가시화 대상별 구분 311
[그림 4.70] 지하시설물관로에서 심도 누락 절점 314
[그림 4.71] 심도 누락 부분에 대한 오류 수정 315
[그림 4.72] 상수관로 3차원 국토공간정보 구축 결과화면 316
[그림 4.73] 지상시설물 3차원 데이터 구축 결과화면 317
[그림 4.74] 지중시설물과 지하시설물관로 중첩관계 318
[그림 4.75] TS성과의 위치기반 플로팅 319
[그림 4.76] TS성과의 면처리 과정 319
[그림 4.77] 수치표고모델 제작과정 320
[그림 4.78] 측구의 실제 모습 321
[그림 4.79] 측구에 의한 지형자료 편집 방법 및 결과 322
[그림 4.80] 3차원 가시화 데이터에서 높이값 추출 323
[그림 4.81] 추출된 Z값을 기반으로 Shp파일로 제작 324
[그림 4.82] SHP 파일을 이용하여 불규칙 삼각망 구성 324
[그림 4.83] 불규칙 삼각망을 이용하여 Grid파일 제작 325
[그림 4.84] 객체별 수치표고모델 데이터 병합 325
[그림 4.85] 지하시설물관로 3차원 가시화 데이터 제작 326
[그림 4.86] 지상시설물 3차원 가시화 데이터 제작 327
[그림 4.87] 지중시설물 3차원 가시화 데이터 제작 328
[그림 4.88] 전문시설물 객체의 면처리 330
[그림 4.89] 편집된 가시화 정보의 텍스쳐링 330
[그림 4.90] 텍스쳐링된 객체 330
[그림 4.91] 통합 완료된 지형자료(수치 표고모델) 331
[그림 4.92] 시범지역 성과물의 가시화 333
[그림 4.93] 지하시설물 3차원 객체 속성정보 연계를 위한 ID 부여 334
[그림 4.94] 지하시설물 가시화 작업공정 및 내용 337
[그림 4.95] 3차원 지하시설물 데이터 기존품과의 인력투입 비율 353
[그림 4.96] 3차원 가시화 제작 기존품과의 인력 투입비율 354
[그림 4.97] 대도심의 지하시설물 및 지하공간 예시 358
[그림 4.98] 대도심(서울)의 지하시설물 설치 현황 35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