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제지
목차
발간사 3
Abstract 12
요약 15
제1장 서론 20
제1절 문제제기 21
제2절 연구방법 26
제3절 연구내용 27
제2장 노동시장 불평등과 출산 : 국가별 횡단면 분석 29
제1절 문제제기 30
1. 문제제기 30
2. 이론적 배경 32
제2절 자료와 기초통계 34
1. 이용자료 34
2. 기초통계량 36
제3절 상관관계 42
제4절 국가별 횡단면 분석 60
1. 분석모형 60
2. 기초통계량 62
3. 분석결과 63
제5절 소결 66
1. 요약 66
2. 함의 68
제3장 지역 노동시장의 특성과 출산율 69
제1절 문제제기 70
1. 문제제기 70
2. 이론적 배경 72
3. 연구방법 75
제2절 지역별 경제활동 참가율과 출산율의 상관성 77
1. 기술 분석 77
2. 여성 경제활동참가율과 합계출산율의 상관관계 84
제3절 지역 노동시장 구조가 개인의 출산에 미치는 영향 87
1. 지역 노동시장 특성이 개인의 평균출생아수에 미치는 영향 88
2. 지역의 노동시장 특성이 개인의 향후 출산계획에 미치는 영향 98
제4절 소결 107
1. 요약 107
2. 함의 108
제4장 여성의 생애과정에 따른 노동시장 이탈 110
제1절 문제제기 111
제2절 여성의 노동시장 참여 실태 114
1. 우리나라 여성의 노동시장 참여 동향 114
2. 우리나라 여성 경제활동 참가의 M자형 곡선 117
3. 여성 노동시장 참여에 대한 이론적 고찰 123
제3절 생애사건 발생에 따른 노동시장 이탈 127
1. 자료 및 방법론 127
2. 분석결과 130
제4절 소결 143
1. 요약 143
2. 함의 145
제5장 여성임금과 출산 149
제1절 문제제기 150
1. 문제제기 150
2. 임금수준과 출산관련 이론적 논의 152
3. 임금수준과 출산관련 국내연구 154
제2절 여성의 고용 및 임금 현황 157
1. 여성의 고용 현황 157
2. 여성의 임금 현황 160
3. 가계 내 성별 임금 167
제3절 여성임금과 출산과의 관계 분석 172
1. 분석모형 172
2. 실증분석 174
제4절 소결 180
1. 요약 180
2. 함의 181
제6장 여성의 시간배분과 출산행태 184
제1절 문제제기 185
1. 문제 제기 185
2. 이론적 논의 187
3. 연구 방법 200
제2절 기술적 분석 208
1. 노동 시간 209
2. 육아 시간 211
3. 가사시간 213
4. 여가 시간 215
5. 소결 217
제3절 시간배분 결정요인과 출산행동 218
1. 시간배분 결정요인 218
2. 남편의 시간배분과 출산행동 224
제4절 소결 231
1. 요약 231
2. 함의 232
제7장 결론 235
제1절 연구결과 요약 236
제2절 연구결과의 정책적 함의 242
참고문헌 247
[부록] 256
판권기 2
〈표 2-1〉 이용자료 설명과 출처 34
〈표 2-2〉 기초통계 : 소득불평등, 젠더불평등 37
〈표 2-3〉 기초통계 : 노동시장 환경 및 보호정도 39
〈표 2-4〉 기초통계 : 여성의 노동시장 지위 40
〈표 2-5〉 기초통계 : 일ㆍ가족 양립환경 41
〈표 2-6〉 국가 유형별 분류 42
〈표 2-7〉 주요변수 기간별 평균 : 종속변수, 불평등 62
〈표 2-8〉 동태적 패널분석 결과 65
〈표 3-1〉 분석에 사용된 변수 및 자료 출처 76
〈표 3-2〉 보육시설이용률 80
〈표 3-3〉 15세 이상 여성인구 중 경제활동참가율 81
〈표 3-4〉 15~49세 가임여성의 경제활동참가율 82
〈표 3-5〉 가임여성 중 임금근로자 비율 83
〈표 3-6〉 개인수준 표본의 인구사회학적 특성 88
〈표 3-7〉 도시지역의 인구사회학적 특성별 출생아수 평균 90
〈표 3-8〉 농촌지역의 인구사회학적 특성별 출생아수 평균 90
〈표 3-9〉 지역배경변수(Level 2)의 평균 91
〈표 3-10〉 노동시장변수(Level 2)의 평균 92
〈표 3-11〉 총출생아평균 상ㆍ하위 10개 지역의 평균 93
〈표 3-12〉 총출생아수에 대한 unconditional model 94
〈표 3-13〉 총출생아수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수준 변수 모형 추정 결과 95
〈표 3-14〉 총출생아수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 및 지역 통제변수 모형 추정 결과 96
〈표 3-15〉 총출생아수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 및 지역 노동시장변수 모형 추정 결과 97
〈표 3-16〉 총출생아수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 및 지역의 성차별변수 모형 추정 결과 98
〈표 3-17〉 표본의 인구사회학적 특성 99
〈표 3-18〉 인구사회학적 특성과 추가자녀계획여부 교차분석 100
〈표 3-19〉 지역배경변수(Level 2)의 기초통계 101
〈표 3-20〉 노동시장변수(Level 2)의 기초통계 102
〈표 3-21〉 추가자녀 계획여부에 대한 unconditional model 102
〈표 3-22〉 추가자녀 계획여부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수준 변수 모형 추정결과 103
〈표 3-23〉 추가자녀 계획여부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 및 지역수준 변수 모형 추정결과 104
〈표 3-24〉 추가자녀 계획여부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 노동시장 변수 모형 추정결과 105
〈표 3-25〉 추가자녀 계획여부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 성차별 변수 모형 추정결과 106
〈표 4-1〉 혼인에 따른 경제활동 지속 여부에 대한 변인별 기술통계 132
〈표 4-2〉 첫째아 출산에 따른 경제활동 이탈 여부에 대한 변인별 기술통계 134
〈표 4-3〉 둘째아 출산에 따른 경제활동 이탈 여부에 대한 변인별 기술통계 135
〈표 4-4〉 셋째아 출산에 따른 경제활동 이탈 여부에 대한 변인별 기술통계 136
〈표 4-5〉 혼인이행에 따른 경제활동 이탈 여부에 대한 다변량 분석 138
〈표 4-6〉 첫째아 출산에 따른 경제활동 이탈 여부에 대한 다변량 분석 139
〈표 4-7〉 둘째아 출산에 따른 경제활동 이탈 여부에 대한 다변량 분석 140
〈표 4-8〉 셋째아 출산에 따른 경제활동 이탈 여부에 대한 다변량 분석 141
〈표 5-1〉 연령별 고용률 158
〈표 5-2〉 교육수준별 경제활동참가율 159
〈표 5-3〉 교육수준별 근로행태 160
〈표 5-4〉 근로유형별 총 근로시간 161
〈표 5-5〉 근로유형별 월 급여액 162
〈표 5-6〉 직종별 월 급여총액(전연령) 163
〈표 5-7〉 직종별 월 급여총액(연령별) 164
〈표 5-8〉 관리직 월 급여총액(연령별) 165
〈표 5-9〉 전문가 및 관련직 월 급여총액(연령별) 166
〈표 5-10〉 사무직 월 급여총액(연령별) 166
〈표 5-11〉 근로자 가구의 맞벌이 여부에 따른 가구원 수 및 가계소득(월평균) : 도시 167
〈표 5-12〉 근로자 가구의 직종에 따른 임금소득 현황(월평균) : 도시 168
〈표 5-13〉 근로자 가구의 소득수준에 따른 임금소득 현황(월평균) : 전국 2인 이상 169
〈표 5-14〉 근로자 가구의 교육수준에 따른 임금소득 현황(월평균) : 전국 2인 이상 170
〈표 5-15〉 맞벌이 가구의 급여소득 현황(월평균) 171
〈표 5-16〉 표본 특성 175
〈표 5-17〉 출산확률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Probit 177
〈표 5-18〉 소득계층별 출산확률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Model 1, Model 2 179
〈표 6-1〉 시간 사용 변수 정의 205
〈표 6-2〉 시간배분 결정요인 추정의 기술통계량 206
〈표 6-3〉 남편의 시간배분과 출산행동 추정의 기술 통계량 207
〈표 6-4〉 요일에 따른 부부의 시간배분 208
〈표 6-5〉 부부의 속성에 따른 노동시간 210
〈표 6-6〉 부부의 속성에 따른 육아시간 212
〈표 6-7〉 부부의 속성에 따른 가사시간 214
〈표 6-8〉 부부의 속성에 따른 여가시간 216
〈표 6-9〉 부부의 시간배분 추정결과(SUR estimation) : 주중 219
〈표 6-10〉 부부의 시간배분 추정 잔차의 상관관계 : 주중 222
〈표 6-11〉 분석대상 여성의 출산 유무 224
〈표 6-12〉 남편의 육아ㆍ가사시간별 아내의 출산유무 225
〈표 6-13〉 아내의 육아ㆍ가사시간별 아내의 출산유무 225
〈표 6-14〉 남편의 육아ㆍ가사시간 분담별 아내의 출산유무 226
〈표 6-15〉 출산 확률 추정(probit 한계효과) : 19~49세 유배우 여성 전체 227
〈표 6-16〉 출산 확률 추정(probit 한계효과) : 19~49세이며 자녀수 한 명인 유배우 여성 229
〈표 6-17〉 출산 확률 추정(probit 한계효과) : 19~49세이며 자녀수 두 명인 유배우 여성 230
[그림 2-1] 지니계수와 합계출산율(1985-2010) 43
[그림 2-2] 임금불평등(D9/D1)과 합계출산율(1995-2010) 44
[그림 2-3] 성별임금격차(하위 10%)와 합계출산율(1997-2013) 45
[그림 2-4] 성별임금격차(중위값)와 합계출산율(1997-2013) 46
[그림 2-5] 성별임금격차(상위 10%)와 합계출산율(1997-2013) 46
[그림 2-6] 성별 고용률 격차와 합계출산율(1994-2013) 47
[그림 2-7] 실업률과 합계출산율(1994-2013) 48
[그림 2-8] 여성실업률과 합계출산율(1994-2013) 49
[그림 2-9] 여성고용률과 합계출산율(1994-2013) 50
[그림 2-10] 저임금노동자비율과 합계출산율(1997-2012) 51
[그림 2-11] 노동자보호강도(정규계약)과 합계출산율(1990-2013) 52
[그림 2-12] 여성시간제 비율과 합계출산율(1995-2013) 53
[그림 2-13] 비자발적 여성시간제 비율과 합계출산율(2001-2013) 54
[그림 2-14] 관리직 중 여성비율과 합계출산율(1997-2013) 55
[그림 2-15] 여성고용인구 중 관리직비율과 합계출산율(1998-2013) 56
[그림 2-16] 여성 저임금노동자비율과 합계출산율(1998-2010) 57
[그림 2-17] 모성/부모휴가의 GDP 비중과 합계출산율(1990-2011) 58
[그림 2-18] 가족관련 사회적 지출의 GDP 비중과 합계출산율(1990-2011) 59
[그림 2-19] 공보육지출의 GDP 비중과 합계출산율(1990-2011) 60
[그림 3-1] 하위 10개 저출산 지역 TFR 추이(2008~2013) 78
[그림 3-2] 상위 10개 고출산 지역 TFR 추이(2008~2013) 79
[그림 3-3] 여성 고용률과 합계출산율의 관계 84
[그림 3-4] 여성 경제활동참가율과 합계출산율의 상관관계 85
[그림 3-5] 합계출산율과 여성 경제활동의 Pearson 상관계수(2008~2013) 86
[그림 4-1] 성별 고용률의 변화 추이(15-64세) 114
[그림 4-2] 성별 경제활동참가율의 변화 추이(15-64세) 115
[그림 4-3] 25~29세 여성의 학력구성 변화 116
[그림 4-4] 여성 연령별 경제활동참가율의 변화 추이(15-64세) 118
[그림 4-5] 연령별 경제활동참가율(일반 비율 비교) 120
[그림 4-6] 연령별 경제활동참가율(2000년 일반 비율과 2010년 표준화 비율의 비교) 121
[그림 4-7] 생애사건 발생에 따른 경제활동 지속 비율 130
[그림 5-1] 맞벌이 가구 내 급여소득 중 여성급여소득 비율 변화 171
[그림 5-2] 여성의 임금수준과 출산 가능성 173
[그림 5-3] 남성의 소득수준과 출산 가능성 174
〈부표 1〉 부부의 시간배분 추정결과(SUR estimation) : 주말 256
〈부표 2〉 부부의 시간배분 추정 잔차의 상관관계 : 주말 25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