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제지
목차
요약 3
제1장 서론 20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20
1) 연구배경 20
2) 연구목적 22
2. 연구범위 및 방법 22
1) 연구범위 22
2) 연구방법 22
3. 연구추진체계 23
제2장 우리나라 연안관리 제도 25
1. 연안의 정의와 범위 25
2. 연안 이용의 변천 26
1) 전통적 자연연안 활용 26
2) 연안 개발 28
3) 개발의 역습 29
4) 지속가능한 연안관리 33
3. 우리나라의 연안관리 제도 34
1) 『연안관리법』과 연안통합관리계획 34
2) 연안 보호 37
3) 경관관리 40
4) 재해(재난)/안전 관리 42
4. 연안관리에 대한 국외 사례 45
1) 중국 45
2) 일본 47
3) 미국 47
제3장 부산연안의 현황 49
1. 부산연안의 변천 49
1) 연안 개발의 시작 49
2) 연안 개발의 확대 53
2. 부산연안관리의 현안 61
1) 국가 차원 61
2) 지역적 연안관리 현안 61
3. 부산연안 현황 64
1) 일반 현황 64
2) 도시화 67
3) 연안의 보호 및 관리 77
4) 재해 및 안전 82
제4장 부산연안 실태조사 88
1. 부산연안 실태조사 개요 88
1) 개요 88
2) 연안 실태조사 항목별 평가 기준 90
2. 연안 유형별 결과 98
1) 종합 98
2) 인공연안 99
3. 평가 항목별 결과 116
1) 건전성 116
2) 자연성 117
3) 경관성 119
4) 안전성 121
제5장 종합평가 및 관리방안 125
1. 종합 평가 및 대안 125
1) 상태 125
2) 압력 126
3) 현재 대응 127
4) 대안적 대응 128
2. 부산연안의 지속가능한 관리 방안 129
1) 부산연안의 공간구상 129
2) 지속가능한 연안관리 방안 132
Abstract 144
참고문헌 146
[부록] 149
판권기 158
〈표 2-1〉 우리나라의 연안습지 면적 변화(1987~2018) 30
〈표 2-2〉 『연안관리법』 개정(2018. 4. 17)의 변경 사항 36
〈표 2-3〉 연안지역의 보호구역 지정 현황 38
〈표 2-4〉 연안의 경관관리와 관련한 법률 및 관련지침 현황 41
〈표 2-5〉 해안경관 관리 가이드라인에 따른 해안경관 유형구분 42
〈표 2-6〉 연안의 재해 및 재난과 관련한 법률 현황 43
〈표 2-7〉 중국 해양기능구의 유형별 성격과 구획 46
〈표 3-1〉 연도별 부산연안의 자연해안과 인공해안 분포 현황 58
〈표 3-2〉 부산지역 공유수면 매립 계획 현황(제1, 2, 3차 공유수면매립 기본계획) 60
〈표 3-3〉 연안기본조사에 포함된 부산지역 연안관리의 현안 62
〈표 3-4〉 제2차 연안통합관리계획에 포함된 부산연안의 여건 및 현안 63
〈표 3-5〉 부산의 해안선 및 도서 현황(2017년) 64
〈표 3-6〉 부산의 비연안지역 읍면동과 연안지역 읍면동 인구밀도 분포와 인구증감률 분포 현황 68
〈표 3-7〉 부산의 연안지역 읍면동과 비연안지역 읍면동 용도지역 변화 비교(2007년과 2017년) 73
〈표 3-8〉 부산의 연안지역 읍면동과 비연안지역 읍면동 토지이용 변화 비교(2010년과 2017년) 75
〈표 3-9〉 부산의 연안지역 보호구역 지정 현황 77
〈표 3-10〉 부산의 비연안지역 읍면동과 연안지역 읍면동 국토환경성평가 등급 분포 82
〈표 3-11〉 부산의 자연재해 원인별 피해현황 83
〈표 3-12〉 최근 우리나라에 영향을 미친 주요 태풍현황(1987~2018) 84
〈표 3-13〉 부산의 주요 연안사고 발생원인 85
〈표 3-14〉 우리나라 비선박사고 발생현황(2018) 86
〈표 3-15〉 부산연안의 사고원인별 연안안전사고(사망ㆍ실종) 발생현황 87
〈표 4-1〉 권역별, 연안유형별 연안실태 조사지점 수 89
〈표 4-2〉 건전성에 대한 조사항목 및 내용, 등급 90
〈표 4-3〉 자연성에 대한 조사항목 및 내용, 등급 91
〈표 4-4〉 경관성에 대한 조사항목 및 내용, 등급 92
〈표 4-5〉 침식에 대한 조사항목 및 내용, 수준 93
〈표 4-6〉 침식에 대한 위해, 노출, 저감별 수준에 따른 등급 93
〈표 4-7〉 태풍에 대한 조사항목 및 내용, 수준 94
〈표 4-8〉 태풍에 대한 위해, 노출, 저감별 수준에 따른 등급 94
〈표 4-9〉 해수면 상승에 대한 조사항목 및 내용, 수준 95
〈표 4-10〉 해수면 상승에 대한 위해, 노출, 저감별 수준에 따른 등급 95
〈표 4-11〉 이용자 안전성에 대한 조사항목 및 내용, 수준 96
〈표 4-12〉 이용자 안전성에 대한 위해, 노출, 저감별 수준에 따른 등급 96
〈표 4-13〉 활용성에 대한 조사항목 및 내용, 평가점수, 등급 97
〈표 5-1〉 부산연안 특별관리해역 민관산학협의회의 목적, 기능 및 역할 142
〈표 5-2〉 부산연안의 지속가능한 관리를 위한 과제 143
〈그림 1-1〉 연구 추진 체계 24
〈그림 2-1〉 연안의 범위 26
〈그림 2-2〉 기후변화에 따른 과거 지구 평균 해수면 변화(좌)와 지구 평균 해수면 변화 예측(우) 31
〈그림 2-3〉 대양에서 플라스틱 쓰레기 분포 및 흐름 33
〈그림 2-4〉 제2차 연안통합관리계획 시행체계 및 5개 추진전략과 26대 중점추진과제 35
〈그림 2-5〉 제1차 연안사고 예방 기본계획 시행체계 45
〈그림 3-1〉 부산항 지도(1859) 존 와드(John Ward) 제작 50
〈그림 3-2〉 부산항 지도(1905) 우에노 제작 51
〈그림 3-3〉 부산지형도(1918) 조선총독부 제작 52
〈그림 3-4〉 부산항 일대의 지도(1945년 편집, 1946년 발행, 미육군지도창) 53
〈그림 3-5〉 부산의 행정구역 변화 54
〈그림 3-6〉 공유수면매립 절차 55
〈그림 3-7〉 부산연안의 자연해안 및 인공해안 분포와 공유수면 매립 현황(1954~1975년) 56
〈그림 3-8〉 부산연안의 자연해안 및 인공해안 분포와 공유수면 매립 현황(1975~1993년) 57
〈그림 3-9〉 부산연안의 자연해안 및 인공해안 분포와 공유수면 매립 현황(1993~2017년) 58
〈그림 3-10〉 부산연안의 자연해안 및 인공해안 분포(개발지역 포함)와 공유수면 매립 계획지역(제1, 2, 3차 공유수면매립 기본계획) 59
〈그림 3-11〉 부산의 지형 및 단층 분포도 65
〈그림 3-12〉 부산의 계절별 평균기온 분포도(2004~2013년 평균) 67
〈그림 3-13〉 부산 읍면동의 인구밀도 분포(2018년 인구 기준) 69
〈그림 3-14〉 부산 읍면동의 인구 증감률(1998년과 2018년 대비) 70
〈그림 3-15〉 부산의 1980년대(상)와 2010년대(하)의 토지피복 현황 71
〈그림 3-16〉 부산의 연안지역 읍면동과 비연안지역 읍면동 시가화지역 면적 비율 변화 추이 72
〈그림 3-17〉 부산의 2007년(상)과 2017년대(하)의 용도지역 현황 74
〈그림 3-18〉 부산의 2010년(상)과 2017년대(하) 토지이용 현황 76
〈그림 3-19〉 부산연안의 보호구역 지정 도면 78
〈그림 3-20〉 부산연안 용존 산소량(DO)의 변화 추이(1997~2018) 79
〈그림 3-21〉 부산연안 화학적 산소요구량(COD)의 변화 추이(1997~2018) 79
〈그림 3-22〉 부산연안 총질소함량(TN)의 변화 추이(2002~2018) 80
〈그림 3-23〉 부산연안 총인함량(TP)의 변화 추이(2002~2018) 80
〈그림 3-24〉 부산연안 생태기반 해수수질평가(WQI)의 변화 추이(2003~2018) 80
〈그림 3-25〉 부산의 국토환경성평가 현황도 81
〈그림 3-26〉 최근 10년간 부산에서 발생한 연안의 사회적 재난 사고 83
〈그림 4-1〉 부산연안 실태조사 조사지점 89
〈그림 4-2〉 인공연안과 자연연안의 항목별 점수 분포 98
〈그림 4-3〉 주거지의 a. 항목별 점수분포, b. 항목별 등급 분포, c. 대상지 전경: 마린시티(좌상, 우상), 송도(좌하), 기장 문동리(우하) 99
〈그림 4-4〉 상업지의 a. 항목별 점수분포, b. 항목별 등급 분포, c. 대상지 전경: 연화리(좌상), 광안리 수변공원(우상), 자갈치시장(좌하), 송도(우하) 101
〈그림 4-5〉 공업지의 a. 항목별 점수분포, b. 항목별 등급 분포, c. 대상지 전경: 영도 대평동 선박/조선 공업지(좌상), 장림공업단지/다대항배후도로(우상), 녹산산업단지(좌하),... 103
〈그림 4-6〉 항만의 a. 항목별 점수분포, b. 항목별 등급 분포, c. 대상지 전경: 감만시민부두(좌상), 부산항 부두(우상), 대변항(좌하), 다대포항(우하) 105
〈그림 4-7〉 어촌의 a. 항목별 점수분포, b. 항목별 등급 분포, c. 대상지 전경: 동삼동 하리(좌상), 가덕도 대항마을(우상), 가덕도 선창(좌하), 기장 고리(우하) 107
〈그림 4-8〉 공공시설의 a. 항목별 점수분포, b. 항목별 등급 분포, c. 대상지 전경: 을숙도철새공원(좌상), 한국해양기술원(우상), 해양대학교(좌하, 우하) 109
〈그림 4-9〉 갯벌의 a. 항목별 점수분포, b. 항목별 등급 분포, c. 대상지 전경: 가덕도 동선마을 갯벌 110
〈그림 4-10〉 모래해안의 a. 항목별 점수분포, b. 항목별 등급 분포, c. 대상지 전경: 해운대 해수욕장(좌상), 송도 해수욕장(우상), 임랑 해수욕장(좌하), 가덕도 천성해안(우하) 112
〈그림 4-11〉 자갈해안의 a. 항목별 점수분포, b. 항목별 등급 분포, c. 대상지 전경: 태종대(좌상), 기장 연화리(우상), 송정(좌하), 가덕도 천성해안(우하) 113
〈그림 4-12〉 암석해안의 a. 항목별 점수분포, b. 항목별 등급 분포, c. 대상지 전경: 기장 대변리(좌상), 해운대 미포(우상), 태종대(좌하), 가덕도 동편해안(우하) 115
〈그림 4-13〉 인공연안과 자연연안의 건전성 점수 분포 116
〈그림 4-14〉 부산연안의 지점별 건전성 등급의 공간분포 117
〈그림 4-15〉 인공연안과 자연연안의 자연성 점수 분포 118
〈그림 4-16〉 부산연안의 지점별 자연성 등급의 공간분포 119
〈그림 4-17〉 인공연안과 자연연안의 경관성 점수 분포 120
〈그림 4-18〉 부산연안의 지점별 경관성 등급의 공간분포 120
〈그림 4-19〉 인공연안과 자연연안의 안전성 점수 분포 121
〈그림 4-20〉 부산연안의 지점별 안전성 등급의 공간분포 122
〈그림 4-21〉 인공연안과 자연연안의 활용성 점수 분포 123
〈그림 4-22〉 부산연안의 지점별 활용성 등급의 공간분포 124
〈그림 5-1〉 부산연안의 종합평가 및 대안 126
〈그림 5-2〉 부산연안의 보전체계 구상도 131
〈그림 5-3〉 부산연안의 이용체계 구상도 132
〈그림 5-4〉 동북아해양수도 부산비전 수립을 위한 타운홀 미팅 14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