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표제지
목차
요약 3
제1장 서론 20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20
1) 연구배경 20
2) 연구목적 22
2. 연구범위 및 방법 22
1) 연구범위 22
2) 연구방법 22
3. 연구추진체계 23
제2장 우리나라 연안관리 제도 25
1. 연안의 정의와 범위 25
2. 연안 이용의 변천 26
1) 전통적 자연연안 활용 26
2) 연안 개발 28
3) 개발의 역습 29
4) 지속가능한 연안관리 33
3. 우리나라의 연안관리 제도 34
1) 『연안관리법』과 연안통합관리계획 34
2) 연안 보호 37
3) 경관관리 40
4) 재해(재난)/안전 관리 42
4. 연안관리에 대한 국외 사례 45
1) 중국 45
2) 일본 47
3) 미국 47
제3장 부산연안의 현황 49
1. 부산연안의 변천 49
1) 연안 개발의 시작 49
2) 연안 개발의 확대 53
2. 부산연안관리의 현안 61
1) 국가 차원 61
2) 지역적 연안관리 현안 61
3. 부산연안 현황 64
1) 일반 현황 64
2) 도시화 67
3) 연안의 보호 및 관리 77
4) 재해 및 안전 82
제4장 부산연안 실태조사 88
1. 부산연안 실태조사 개요 88
1) 개요 88
2) 연안 실태조사 항목별 평가 기준 90
2. 연안 유형별 결과 98
1) 종합 98
2) 인공연안 99
3. 평가 항목별 결과 116
1) 건전성 116
2) 자연성 117
3) 경관성 119
4) 안전성 121
제5장 종합평가 및 관리방안 125
1. 종합 평가 및 대안 125
1) 상태 125
2) 압력 126
3) 현재 대응 127
4) 대안적 대응 128
2. 부산연안의 지속가능한 관리 방안 129
1) 부산연안의 공간구상 129
2) 지속가능한 연안관리 방안 132
Abstract 144
참고문헌 146
[부록] 149
판권기 158
〈그림 1-1〉 연구 추진 체계 24
〈그림 2-1〉 연안의 범위 26
〈그림 2-2〉 기후변화에 따른 과거 지구 평균 해수면 변화(좌)와 지구 평균 해수면 변화 예측(우) 31
〈그림 2-3〉 대양에서 플라스틱 쓰레기 분포 및 흐름 33
〈그림 2-4〉 제2차 연안통합관리계획 시행체계 및 5개 추진전략과 26대 중점추진과제 35
〈그림 2-5〉 제1차 연안사고 예방 기본계획 시행체계 45
〈그림 3-1〉 부산항 지도(1859) 존 와드(John Ward) 제작 50
〈그림 3-2〉 부산항 지도(1905) 우에노 제작 51
〈그림 3-3〉 부산지형도(1918) 조선총독부 제작 52
〈그림 3-4〉 부산항 일대의 지도(1945년 편집, 1946년 발행, 미육군지도창) 53
〈그림 3-5〉 부산의 행정구역 변화 54
〈그림 3-6〉 공유수면매립 절차 55
〈그림 3-7〉 부산연안의 자연해안 및 인공해안 분포와 공유수면 매립 현황(1954~1975년) 56
〈그림 3-8〉 부산연안의 자연해안 및 인공해안 분포와 공유수면 매립 현황(1975~1993년) 57
〈그림 3-9〉 부산연안의 자연해안 및 인공해안 분포와 공유수면 매립 현황(1993~2017년) 58
〈그림 3-10〉 부산연안의 자연해안 및 인공해안 분포(개발지역 포함)와 공유수면 매립 계획지역(제1, 2, 3차 공유수면매립 기본계획) 59
〈그림 3-11〉 부산의 지형 및 단층 분포도 65
〈그림 3-12〉 부산의 계절별 평균기온 분포도(2004~2013년 평균) 67
〈그림 3-13〉 부산 읍면동의 인구밀도 분포(2018년 인구 기준) 69
〈그림 3-14〉 부산 읍면동의 인구 증감률(1998년과 2018년 대비) 70
〈그림 3-15〉 부산의 1980년대(상)와 2010년대(하)의 토지피복 현황 71
〈그림 3-16〉 부산의 연안지역 읍면동과 비연안지역 읍면동 시가화지역 면적 비율 변화 추이 72
〈그림 3-17〉 부산의 2007년(상)과 2017년대(하)의 용도지역 현황 74
〈그림 3-18〉 부산의 2010년(상)과 2017년대(하) 토지이용 현황 76
〈그림 3-19〉 부산연안의 보호구역 지정 도면 78
〈그림 3-20〉 부산연안 용존 산소량(DO)의 변화 추이(1997~2018) 79
〈그림 3-21〉 부산연안 화학적 산소요구량(COD)의 변화 추이(1997~2018) 79
〈그림 3-22〉 부산연안 총질소함량(TN)의 변화 추이(2002~2018) 80
〈그림 3-23〉 부산연안 총인함량(TP)의 변화 추이(2002~2018) 80
〈그림 3-24〉 부산연안 생태기반 해수수질평가(WQI)의 변화 추이(2003~2018) 80
〈그림 3-25〉 부산의 국토환경성평가 현황도 81
〈그림 3-26〉 최근 10년간 부산에서 발생한 연안의 사회적 재난 사고 83
〈그림 4-1〉 부산연안 실태조사 조사지점 89
〈그림 4-2〉 인공연안과 자연연안의 항목별 점수 분포 98
〈그림 4-3〉 주거지의 a. 항목별 점수분포, b. 항목별 등급 분포, c. 대상지 전경: 마린시티(좌상, 우상), 송도(좌하), 기장 문동리(우하) 99
〈그림 4-4〉 상업지의 a. 항목별 점수분포, b. 항목별 등급 분포, c. 대상지 전경: 연화리(좌상), 광안리 수변공원(우상), 자갈치시장(좌하), 송도(우하) 101
〈그림 4-5〉 공업지의 a. 항목별 점수분포, b. 항목별 등급 분포, c. 대상지 전경: 영도 대평동 선박/조선 공업지(좌상), 장림공업단지/다대항배후도로(우상), 녹산산업단지(좌하),... 103
〈그림 4-6〉 항만의 a. 항목별 점수분포, b. 항목별 등급 분포, c. 대상지 전경: 감만시민부두(좌상), 부산항 부두(우상), 대변항(좌하), 다대포항(우하) 105
〈그림 4-7〉 어촌의 a. 항목별 점수분포, b. 항목별 등급 분포, c. 대상지 전경: 동삼동 하리(좌상), 가덕도 대항마을(우상), 가덕도 선창(좌하), 기장 고리(우하) 107
〈그림 4-8〉 공공시설의 a. 항목별 점수분포, b. 항목별 등급 분포, c. 대상지 전경: 을숙도철새공원(좌상), 한국해양기술원(우상), 해양대학교(좌하, 우하) 109
〈그림 4-9〉 갯벌의 a. 항목별 점수분포, b. 항목별 등급 분포, c. 대상지 전경: 가덕도 동선마을 갯벌 110
〈그림 4-10〉 모래해안의 a. 항목별 점수분포, b. 항목별 등급 분포, c. 대상지 전경: 해운대 해수욕장(좌상), 송도 해수욕장(우상), 임랑 해수욕장(좌하), 가덕도 천성해안(우하) 112
〈그림 4-11〉 자갈해안의 a. 항목별 점수분포, b. 항목별 등급 분포, c. 대상지 전경: 태종대(좌상), 기장 연화리(우상), 송정(좌하), 가덕도 천성해안(우하) 113
〈그림 4-12〉 암석해안의 a. 항목별 점수분포, b. 항목별 등급 분포, c. 대상지 전경: 기장 대변리(좌상), 해운대 미포(우상), 태종대(좌하), 가덕도 동편해안(우하) 115
〈그림 4-13〉 인공연안과 자연연안의 건전성 점수 분포 116
〈그림 4-14〉 부산연안의 지점별 건전성 등급의 공간분포 117
〈그림 4-15〉 인공연안과 자연연안의 자연성 점수 분포 118
〈그림 4-16〉 부산연안의 지점별 자연성 등급의 공간분포 119
〈그림 4-17〉 인공연안과 자연연안의 경관성 점수 분포 120
〈그림 4-18〉 부산연안의 지점별 경관성 등급의 공간분포 120
〈그림 4-19〉 인공연안과 자연연안의 안전성 점수 분포 121
〈그림 4-20〉 부산연안의 지점별 안전성 등급의 공간분포 122
〈그림 4-21〉 인공연안과 자연연안의 활용성 점수 분포 123
〈그림 4-22〉 부산연안의 지점별 활용성 등급의 공간분포 124
〈그림 5-1〉 부산연안의 종합평가 및 대안 126
〈그림 5-2〉 부산연안의 보전체계 구상도 131
〈그림 5-3〉 부산연안의 이용체계 구상도 132
〈그림 5-4〉 동북아해양수도 부산비전 수립을 위한 타운홀 미팅 141
등록번호 | 청구기호 | 권별정보 | 자료실 | 이용여부 |
---|---|---|---|---|
0002620739 | 333.917 -20-2 |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 이용가능 | |
0002620740 | 333.917 -20-2 |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 이용가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