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제지
목차
발간사 3
Abstract 15
요약 17
제1장 서론 22
제1절 연구 배경 및 목적 23
제2절 연구 내용 및 방법 25
제3절 조사 내용의 기본 방향과 문항 구성 26
1. 인구 변동 현상에 대한 인식 26
2. 가족 관련 인식 및 가치관 28
3. 연령과 세대 관련 인식 및 가치관 33
제4절 표본 설계 및 조사 수행 39
1. 표본 설계 개요 39
2. 조사 수행 46
제2장 이론적 배경 53
제1절 인구 변동 현상 54
제2절 가족 관련 인식 및 가치관 57
1. 가족 가치관의 변화 57
2. 가족 구성 관련 가치관 62
3. 가족 내 성역할 가치관 66
제3절 연령과 세대 관련 인식 및 가치관 70
1. 연령 관련 가치관 71
2. 세대 관련 가치관 81
제3장 조사 응답자의 일반 특성 86
제1절 응답자의 일반 특성 87
제2절 응답자의 일반 특성별 세부 분석 90
1. 응답자의 성별 일반 특성 분석 90
2. 응답자의 연령별 일반 특성 분석 92
3. 응답자의 거주지역별 일반 특성 분석 95
4. 응답자의 혼인 상태별 일반 특성 분석 97
5. 응답자의 가구 형태별 일반 특성 분석 100
제4장 인구 변동 현상에 대한 인식 분석 103
제1절 저출산과 인구 고령화 현상에 대한 인식 104
1. 출생아 수 감소와 고령인구 증가가 사회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인식 104
2. 출생아 수 감소(저출산) 현상에 대한 인식 109
3. 고령인구 증가(인구 고령화) 현상에 대한 인식 121
제2절 인구 규모와 지역 간 분포에 대한 인식 140
1. 인구 감소와 수도권의 인구 집중화 현상 140
2. 현 거주지역의 인구 규모와 생활여건에 대한 인식 145
제3절 소결 159
제5장 결혼과 가족에 대한 가치관 분석 161
제1절 가족 기능 및 가족 내 성평등에 대한 가치관 162
1. 가족 기능 162
2. 가족 내 성역할 및 책임 165
3. 가족 내 성 평등 정도에 대한 동의 175
4. 자녀 부양에 대한 인식 186
5. 노부모 부양에 대한 인식 197
제2절 결혼과 가족 형성 및 구성에 대한 가치관 207
1. 결혼 및 동거 관련 견해와 결혼-자녀 연관성에 대한 생각 207
2. 다양한 결합 및 동반자 등록 제도에 대한 생각 232
3. 한국 사회의 이상적인 가족 및 가족 관련 편견에 대한 생각 252
제3절 소결 256
1. 가족 기능 및 가족 내 성평등에 대한 가치관 256
2. 결혼과 가족 형성 및 구성에 대한 가치관 260
제6장 연령과 세대에 대한 가치관 분석 264
제1절 연령기준과 연령규범 및 차별에 대한 가치관 265
1. 연령기준에 대한 가치관: 아동ㆍ청년ㆍ노인 265
2. 연령규범에 대한 가치관 272
3. 연령차별에 대한 가치관 287
제2절 세대갈등에 대한 가치관 311
제3절 연령대별 정부 정책에 대한 인식 331
1. 청년과 노인 정책 대상자 선정의 우선순위 331
2. 연령대별 정책의 필요 정도 335
3. 연령대별 정책의 충분성 정도 345
4. 연령대별 정책과 세대 간 갈등 355
5. 연령대별 정책 확대를 위한 추가 납세 의향 364
제4절 소결 373
1. 연령기준과 연령규범 및 차별 373
2. 세대 간 갈등 377
3. 연령대별 정부 정책에 대한 인식 378
제7장 결론 382
제1절 주요 조사 결과 383
1. 인구 변동에 대한 인식 383
2. 가족 관련 인식과 가치관 384
3. 연령과 세대 관련 인식과 가치관 392
제2절 조사의 함의 및 한계 395
참고문헌 400
[부록 1] 조사표 411
[부록 2] 사후 검증용 전화조사표 425
[부록 3] 전문가 자문위원 명단 426
판권기 2
〈표 1-1〉 조사 영역 및 조사 항목 37
〈표 1-2〉 모집단 층화 40
〈표 1-3〉 표본 배분 현황 41
〈표 1-4〉 시도별 집계구 수 41
〈표 1-5〉 17개 시도별 분포 비교: 가중 전후 45
〈표 1-6〉 성별 분포 비교: 가중 전후 45
〈표 1-7〉 연령별 분포 비교: 가중 전후 46
〈표 2-1〉 노인 외 연령집단에 대한 인식 측정문항 75
〈표 2-2〉 노인에 대한 연령주의 관련 인식 측정문항 77
〈표 2-3〉 주관적 연령 인식에 대한 측정문항 80
〈표 2-4〉 세대갈등에 대한 인식 측정문항 83
〈표 2-5〉 노인복지정책 관련 인식 측정문항 84
〈표 3-1〉 응답자의 일반 특성 89
〈표 3-2〉 응답자의 성별 일반 특성 91
〈표 3-3〉 응답자의 연령별 일반 특성 94
〈표 3-4〉 응답자의 거주지역별 일반 특성 96
〈표 3-5〉 응답자의 혼인 상태별 일반 특성 99
〈표 3-6〉 응답자의 가구 형태별 일반 특성 102
〈표 4-1〉 인구 변화가 사회에 미치는 영향(1순위) 107
〈표 4-2〉 출생아 수 감소 현상에 대한 사회적 문제 인식 110
〈표 4-3〉 출생아 수 감소 현상이 본인의 삶에 미치는 영향 정도에 대한 인식 112
〈표 4-4〉 출생아 수 감소 현상 완화를 위한 정부 정책의 효과성 115
〈표 4-5〉 출생아 수 감소 현상 완화를 위해 가장 필요한 정책(1순위) 119
〈표 4-6〉 고령인구 증가 현상에 대한 사회적 문제 인식 122
〈표 4-7〉 고령인구 증가 현상이 본인의 삶에 미치는 영향 정도에 대한 인식 125
〈표 4-8〉 고령인구 증가 현상의 대응을 위한 정부 정책의 효과성 128
〈표 4-9〉 고령인구 증가 현상의 대응을 위해 가장 필요한 정책(1순위) 131
〈표 4-10〉 아동 돌봄의 책임 분담에 대한 인식 134
〈표 4-11〉 노인 돌봄의 책임 분담에 대한 인식 135
〈표 4-12〉 청년 소득보장의 책임 분담에 대한 인식 137
〈표 4-13〉 노인 소득보장의 책임 분담에 대한 인식 139
〈표 4-14〉 인구 감소 현상에 대한 사회적 문제 인식 141
〈표 4-15〉 수도권의 인구 집중화 현상에 대한 사회적 문제 인식 144
〈표 4-16〉 현 거주지역의 인구 규모에 대한 적절성 판단 147
〈표 4-17〉 현 거주지역이 젊은 세대의 생활에 적합한지에 대한 판단 150
〈표 4-18〉 현 거주지역이 젊은 세대가 정착하기에 부적절한 이유 153
〈표 4-19〉 현 거주지역이 노년 세대의 생활에 적합한지에 대한 판단 155
〈표 4-20〉 현 거주지역이 노년 세대가 생활하기에 부적절한 이유 158
〈표 5-1〉 가족의 가장 중요한 기능에 대한 생각 162
〈표 5-2〉 응답자의 특성별 가족의 가장 중요한 기능에 대한 생각 164
〈표 5-3〉 가족 내 성역할 및 책임에 대한 동의 정도 165
〈표 5-5〉 가족 내 성역할 및 책임에 대한 동의 정도 2: 의사결정권 168
〈표 5-6〉 가족 내 성역할 및 책임에 대한 동의 정도 3: 가사노동 170
〈표 5-7〉 가족 내 성역할 및 책임에 대한 동의 정도 4: 경제적 부양 책임 172
〈표 5-8〉 가족 내 성역할 및 책임에 대한 동의 정도 5: 법적 대리인 및 가구주 174
〈표 5-9〉 가족 내 성평등 정도(실태)에 대한 동의 정도 176
〈표 5-10〉 가족 내 성평등 정도(실태)에 대한 동의 정도 1: 의사결정권 177
〈표 5-11〉 가족 내 성평등 정도(실태)에 대한 동의 정도 2: 재산에 대한 권리 179
〈표 5-12〉 가족 내 성평등 정도(실태)에 대한 동의 정도 3: 경제적 부양 책임 181
〈표 5-13〉 가족 내 성평등 정도(실태)에 대한 동의 정도 4: 육아 분담 183
〈표 5-14〉 가족 내 성평등 정도(실태)에 대한 동의 정도 5: 가사노동 185
〈표 5-15〉 자녀 부양에 대한 인식 186
〈표 5-16〉 자녀 부양에 대한 인식 1: 대학교육 비용 지원 187
〈표 5-17〉 자녀 부양에 대한 인식 2: 경제적 독립 지원 189
〈표 5-18〉 자녀 부양에 대한 인식 3: 미혼 자녀 주거공간 마련 191
〈표 5-19〉 자녀 부양에 대한 인식 4: 결혼준비 비용 지원 192
〈표 5-20〉 자녀 부양에 대한 인식 5: 손자녀 돌봄 지원 194
〈표 5-21〉 자녀 부양에 대한 인식 6: 결혼 후 경제적 지원 195
〈표 5-22〉 노부모 부양에 대한 인식 197
〈표 5-23〉 노부모 부양에 대한 인식 1: 정기적 교류 198
〈표 5-24〉 노부모 부양에 대한 인식 2: 경제적 부양 200
〈표 5-25〉 노부모 부양에 대한 인식 3: 돌봄 비용 부담 202
〈표 5-26〉 노부모 부양에 대한 인식 4: 모시고 살기 204
〈표 5-27〉 노부모 부양에 대한 인식 5: 직접 돌보기 206
〈표 5-28〉 '이성 간의 결합 방식을 법적 혼인으로만 한정하는 것은 시대에 뒤처진 제도이다'에 대한 견해 209
〈표 5-29〉 '결혼을 전제로 성인 여성과 남성은 함께 살아도 된다'에 대한 견해 212
〈표 5-30〉 '결혼과 무관하게 성인 남성과 여성이 함께 살아도 된다'에 대한 견해 214
〈표 5-31〉 '결혼 전에 함께 살아보는 것은 남녀가 행복한 결혼 생활을 할 가능성을 높여준다'에 대한 견해 216
〈표 5-32〉 '인생에서 결혼을 잘하고 행복한 가정을 꾸리는 것은 중요하다'에 대한 견해 219
〈표 5-33〉 '기대에 못 미치는 상대라도 결혼을 안 하는 것보다는 하는 편이 낫다'에 대한 견해 221
〈표 5-34〉 '대체로 결혼한 사람이 결혼하지 않은 사람보다 더 행복하다'에 대한 견해 224
〈표 5-35〉 '대체로 아이가 있는 사람이 아이가 없는 사람보다 더 행복하다'에 대한 견해 226
〈표 5-36〉 배우자가 없는 상태에서 혼자 아이를 입양하는 것에 대한 생각 229
〈표 5-37〉 부모의 혼인 상태에 따른 아동 지원에 대한 생각 231
〈표 5-38〉 다양한 결합에 대한 가족 인정 정도 1: 성인 남녀가 결혼하지 않고 함께 사는 경우 234
〈표 5-39〉 다양한 결합에 대한 가족 인정 정도 2: 젊은 층 동성 친구 둘이 함께 사는 경우 236
〈표 5-40〉 다양한 결합에 대한 가족 인정 정도 3: 고령층 동성 친구 둘이 함께 사는 경우 239
〈표 5-41〉 다양한 결합에 대한 가족 인정 정도 4: 동성 커플(연인)이 함께 사는 경우 241
〈표 5-42〉 동반자 등록제 대상에 대한 다양한 결합 인정 정도 1: 성인 남녀가 결혼하지 않고 함께 사는 경우 244
〈표 5-43〉 동반자 등록제 대상에 대한 다양한 결합 인정 정도 2: 젊은 층 동성 친구 둘이 함께 사는 경우 246
〈표 5-44〉 동반자 등록제 대상에 대한 다양한 결합 인정 정도 3: 고령층 동성 친구 둘이 함께 사는 경우 248
〈표 5-45〉 동반자 등록제 대상에 대한 다양한 결합 인정 정도 4: 동성 커플(연인) 둘이 함께 사는 경우 251
〈표 5-46〉 한국 사회의 이상적인 가족에 대한 인식 254
〈표 5-47〉 한국 사회의 다양한 가족 형태에 대한 편견 정도 255
〈표 6-1〉 아동기의 상한 연령기준에 대한 인식 266
〈표 6-2〉 청년기의 상한 연령기준에 대한 인식 268
〈표 6-3〉 노년기(노인)의 하한 연령기준에 대한 인식 271
〈표 6-4〉 연령규범(연령대별 기대되는 역할, 행동)에 대한 동의 정도 273
〈표 6-5〉 연령규범 동의 정도: 가족생활주기에 따른 발달과업 수행은 중요하다 275
〈표 6-6〉 연령규범 동의 정도: 연령에 맞는 생애ㆍ진로경력 개발이 중요하다 277
〈표 6-7〉 연령규범 동의 정도: 직장에서 연령에 맞는 역할을 하는 것이 자연스럽다 279
〈표 6-8〉 연령규범 동의 정도: 노인의 역할은 젊은 세대에게 기술, 지식을 전수하는 것이다 281
〈표 6-9〉 연령규범 동의 정도: 노인은 새로운 직업을 시작하거나 기술(지식)을 배우기에는 늦은 나이이다 283
〈표 6-10〉 연령규범 동의 정도: 청년은 더 진취적으로 자기개발에 매진해야 한다 284
〈표 6-11〉 연령규범 동의 정도: 젊을 때 고생은 의미 있는 경험이 될 수 있다 286
〈표 6-12〉 노인이 연령으로 인해 차별받는 실태에 대한 동의 정도에 대한 질문 288
〈표 6-13〉 노인차별 실태: 노인은 능력에 맞는 일자리를 찾기 어렵다 289
〈표 6-14〉 노인차별 실태: 노인은 직장에서 성과 대비 낮은 대우를 받는다 291
〈표 6-15〉 노인차별 실태: 노인은 사회적 기여에도 불구하고 인정받지 못한다 292
〈표 6-16〉 노인차별 실태: 노인의 가족 돌봄 활동은 낮게 평가받는다 294
〈표 6-17〉 노인차별 실태: 노인은 이혼하고 싶어도 참고 사는 게 낫다 296
〈표 6-18〉 노인차별 실태: 노인이 재혼하는 것은 좋아 보이지 않는다 298
〈표 6-19〉 젊은 사람이 연령으로 인해 차별받는 실태에 대한 동의 정도 300
〈표 6-20〉 청년차별 실태: 젊은 사람은 능력에 맞는 일자리 찾기가 어렵다 301
〈표 6-21〉 청년차별 실태: 젊은 사람은 성과에 비해 직장에서 낮은 대우를 받는다 303
〈표 6-22〉 청년차별 실태: 젊은 사람은 사회적 기여에도 불구하고 인정받지 못한다 305
〈표 6-23〉 청년차별 실태: 젊은 사람의 가족 돌봄 활동은 낮게 평가된다 307
〈표 6-24〉 청년차별 실태: 젊은 사람은 이혼하고 싶어도 참고 사는 게 낫다 308
〈표 6-25〉 청년차별 실태: 젊은 사람이 재혼하는 것은 좋아 보이지 않는다 310
〈표 6-26〉 우리 사회 직장과 사회에서의 세대갈등 심각성에 대한 인식 311
〈표 6-27〉 우리 사회 직장과 사회에서의 세대갈등이 심각한 주요 원인에 대한 인식 314
〈표 6-28〉 우리 사회 가족 내에서의 세대갈등 심각성에 대한 인식 316
〈표 6-29〉 우리 사회 가족 내에서의 세대갈등이 심각한 주요 원인에 대한 인식 318
〈표 6-30〉 노인과 젊은 사람의 세대갈등에 대한 동의 정도 320
〈표 6-31〉 세대갈등 동의 정도: 노인은 가정 내 의사결정에서 배제되는 경우가 많다 321
〈표 6-32〉 세대갈등 동의 정도: 노인-젊은 세대의 교류 기회가 줄어들고 있다 323
〈표 6-33〉 세대갈등 동의 정도: 노인으로 인해 젊은 사람의 일자리가 줄어든다 324
〈표 6-34〉 세대갈등 동의 정도: 고령 근로자는 젊은 사람, 직장에 부정적인 영향을 준다 326
〈표 6-35〉 세대갈등 동의 정도: 노인인구 증가로 선거에 젊은 사람의 의견 반영이 어렵다 328
〈표 6-36〉 세대갈등 동의 정도: 노인인구 증가가 젊은 사람의 부양 부담을 증가시킨다 330
〈표 6-37〉 청년 정책의 대상자 선정에서 가장 우선시해야 하는 기준 332
〈표 6-38〉 노인 정책의 대상자 선정에서 가장 우선시해야 하는 기준 334
〈표 6-39〉 연령대별로 국가 정책적 지원의 필요성에 대한 생각 336
〈표 6-40〉 연령대별로 국가 정책적 지원의 필요성에 대한 생각(교차분석) 337
〈표 6-41〉 노인에 대한 국가의 정책적 지원의 필요성에 대한 생각 338
〈표 6-42〉 중장년에 대한 국가의 정책적 지원의 필요성에 대한 생각 340
〈표 6-43〉 청년에 대한 국가의 정책적 지원의 필요성에 대한 생각 342
〈표 6-44〉 아동에 대한 국가의 정책적 지원의 필요성에 대한 생각 344
〈표 6-45〉 연령대별로 국가 정책적 지원의 충분성에 대한 생각 346
〈표 6-46〉 연령대별로 국가 정책적 지원의 충분성에 대한 생각(교차분석) 347
〈표 6-47〉 노인에 대한 국가의 정책적 지원의 충분성에 대한 생각 348
〈표 6-48〉 중장년에 대한 국가의 정책적 지원의 충분성에 대한 생각 350
〈표 6-49〉 청년에 대한 국가의 정책적 지원의 충분성에 대한 생각 352
〈표 6-50〉 아동에 대한 국가의 정책적 지원의 충분성에 대한 생각 354
〈표 6-51〉 특정 세대의 지원 정책이 세대갈등을 유발한다고 생각하는 정도 356
〈표 6-52〉 특정 세대의 지원 정책이 세대갈등을 유발한다고 생각하는 정도 1: 현금수당 357
〈표 6-53〉 특정 세대의 지원 정책이 세대갈등을 유발한다고 생각하는 정도 2: 대중교통 요금 감면 또는 면제 359
〈표 6-54〉 특정 세대의 지원 정책이 세대갈등을 유발한다고 생각하는 정도 3: 주택지원 361
〈표 6-55〉 특정 세대의 지원 정책이 세대갈등을 유발한다고 생각하는 정도 4: 고용지원 363
〈표 6-56〉 연령대별 정책 시행을 위한 추가 납세 의향 365
〈표 6-57〉 연령대별 정책 시행을 위한 추가 납세 의향 1: 노인 정책 366
〈표 6-58〉 연령대별 정책 시행을 위한 추가 납세 의향 2: 중장년 정책 368
〈표 6-59〉 연령대별 정책 시행을 위한 추가 납세 의향 3: 청년 정책 370
〈표 6-60〉 연령대별 정책 시행을 위한 추가 납세 의향 4: 아동 정책 372
〈표 7-1〉 인구 변동 현상에 대한 국민 인식 384
〈표 7-2〉 가족의 가장 중요한 기능 385
〈표 7-3〉 가족 내 역할에서의 성평등 인식과 현실에 대한 생각 차이 386
〈표 7-4〉 가족 내 역할에서의 성평등 인식과 현실에 대한 생각 차이(성별) 387
〈표 7-5〉 가족 내 역할에서의 성평등 인식과 현실에 대한 생각 차이(연령별) 387
〈표 7-6〉 한국 사회의 이상적인 가족에 대한 인식 391
〈표 7-7〉 한국 사회의 다양한 가족 형태에 대한 편견 정도 392
〈표 7-8〉 연령규범(연령대별 기대되는 역할, 행동)에 대한 동의 정도 393
〈표 7-9〉 노인과 청년(젊은 사람)의 상황별 차별과 고정관념 394
〈표 7-10〉 노인과 젊은 사람의 세대 관계에 대한 동의 정도 395
[그림 1-1] 조사 진행도 47
[그림 1-2] 조사 설계ㆍ준비ㆍ실시 과정 48
[그림 2-1] 출생아 수ㆍ사망자 수ㆍ자연 증가(1985~2067년) 55
[그림 2-2] 연령계층별 인구 구성비(1967~2067년) 56
[그림 7-1] 법적 결혼과 그 외의 다양한 가구 형태에 대한 동의 정도 388
[그림 7-2] 결혼과 자녀의 인생에서의 가치와 행복과의 연관성에 대한 생각 389
[그림 7-3] 성별에 의한 다양한 결합 방식에 대한 가족 인정 및 동반자 등록제도 동의 3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