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표제지
목차
요약 14
제1장 서론 35
제1절 연구 필요성 및 목적 36
제2절 연구 내용 39
제3절 연구 방법 40
1. 문헌분석 40
2. 설문조사 및 표적집단면접(FGI) 조사 실시 41
3. 전문가 자문회의 49
제2장 미래 환경 변화와 고등교육기관의 평생직업교육 50
제1절 고등교육기관 평생직업교육의 의미 탐색 51
1. 유관 용어와의 관련성 52
2. 고등교육기관에서의 평생직업교육 73
제2절 미래 환경 변화와 고등교육기관 평생직업교육의 필요성 75
1. 미래 환경의 변화 요인 76
2. 고등교육기관의 변화 전망 96
제3장 고등교육기관 평생직업교육 체제 107
제1절 고등교육기관 평생직업교육 변천 과정 108
1. 대학 평생교육 맹아기: 사회적 취약계층 대상 대학확장(일제강점기~1970년대) 109
2. 대학 평생교육 태동기: 성인학습자 대상 대학개방(1980~1994년) 111
3. 대학 평생교육 확대기: 고등교육기회 확대 및 학력 인정(1995~2007년) 115
4. 대학 평생교육 전환기: 평생직업교육을 위한 정부 사업 활성화(2008~2015년) 119
5. 대학 평생교육 혁신기: 고등교육기관의 평생교육 체제 혁신(2016년~현재) 124
6. 고등교육 수요와 대학 평생교육 변화와 한계 127
제2절 현재 고등교육기관의 평생직업교육 전달체계 135
1. 대학의 평생직업교육 관련 법령 135
2. 대학의 평생직업교육 관련 제도 142
3. 고등교육기관 평생직업교육 운영 실태 152
제3절 주요 국가의 고등교육기관 평생직업교육 동향 169
1. 미국 170
2. 독일 183
3. 핀란드 189
제4절 요약 및 시사점 195
제4장 고등교육기관 평생직업교육 수요 분석 201
제1절 고등교육기관 평생직업교육에의 인식 조사 분석 202
1. 대학 관계자 202
2. 산업체 관계자 215
제2절 성인(재직자)의 고등교육기관 평생직업교육 수요 분석 222
1. 재직자의 평생직업교육 필요성 인식 222
2. 재직자의 고등교육기관 평생직업교육 참여 경험 231
3. 재직자의 고등교육기관 평생직업교육 수요 242
제3절 요약 및 시사점 273
제5장 고등교육기관 평생직업교육 내실화 방안 279
제1절 고등교육기관 평생직업교육의 위상 제고 280
1. 법적 기반 정비 282
2. 고등교육기관 평생직업교육 실태조사 및 우수사례 발굴ㆍ홍보 286
제2절 성인학습자의 다양한 수요에 부응 288
1. 평생직업교육 프로그램의 다양성 제고 289
2. 온라인 기반 평생직업교육 프로그램의 확충 290
제3절 지역사회 및 산업계와의 연계 기반 구축 292
1. 지역 기반의 거버넌스 체계 정비 및 고등교육기관과의 협업 강화 293
2. SC/ISC의 대학 평생직업교육 산업계 수요 조사 기능 강화 296
SUMMARY 298
참고문헌 308
[부록] 설문조사지 331
판권기 341
[그림 2-1] 평생교육통계에서 직업능력 향상교육이 차지하는 비율 60
[그림 2-2] 고용노동부 직업능력개발사업 체계의 변화 62
[그림 2-3] 우리나라 고등교육체제 현황(2019년 기준) 68
[그림 2-4] 고등교육기관(전문대학 및 대학 과정) 변화 추이 69
[그림 2-5] 4차 산업혁명 관련 기술 분야 특허출원 통계(2010~2019) 78
[그림 2-6] 참여한 직업능력 향상교육(비형식교육) 프로그램 형태 81
[그림 2-7] 2018, 2020 일자리의 미래 보고서 전망 비교 84
[그림 2-8] OECD 국가의 자동화 위험에 처한 직업 비율 87
[그림 2-9] 워크넷 구인 동향(2020. 1.~2020. 12.) 90
[그림 2-10] 국내 경제활동인구의 재택 및 원격근무 현황 91
[그림 2-11] 주요 국가들의 합계출산율 변화 92
[그림 2-12] 국내 출생아 수 변화 추이(1990~2020) 92
[그림 2-13] 우리나라 인구피라미드의 변화 93
[그림 2-14] 고등교육기관 취학적령인구 및 취학적령학생 추이 104
[그림 3-1] 전환기의 고등교육기관 평생직업교육 관련 사업 121
[그림 3-2] 고등교육 수요 변화와 평생직업교육 변천 과정 128
[그림 3-3] 고등교육기관의 평생직업교육 관련 법체계 136
[그림 3-4] 산업체 위탁교육 운영 추이 148
[그림 3-5] 대학의 평생교육체제 지원 사업 관련 변화 추이 156
[그림 3-6] 미국 입학 연도별 6년 내 고등교육 이수율 171
[그림 3-7] 미국 대학 유형별 연령대별 2년제 등록자 비율 179
[그림 3-8] 미국 대학 유형별 연령대별 4년제 등록자 비율 180
[그림 3-9] 독일 평생직업교육 참여율(1991-2018) 187
[그림 3-10] 독일 시민교육 교육프로그램 영역별 과정 개설 비율 189
[그림 4-1] 직업 관련 목적 비형식교육 참여율 233
[그림 4-2] 직업능력 향상교육(비형식교육) 참여율 233
[그림 4-3] 참여한 직업능력 향상교육(비형식교육) 프로그램 유형 239
[그림 4-4] 참여한 직업능력 향상교육(비형식교육) 프로그램 형태 240
[그림 4-5] 성인학습자의 향후 직업능력 향상교육 프로그램 참여 의사 비율 244
[그림 4-6] 의사결정 나무 개수에 따른 예측오차 비율 변화 251
[그림 4-7] 고등교육기관 평생직업교육 참여 의사 관련 중요도 상위 10개 요인 252
[그림 4-8] 고등교육기관 평생직업교육 참여 의사 예측 주요 요인별 부분 의존성 도표 255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