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제지
목차
요약 14
제1장 서론 35
제1절 연구 필요성 및 목적 36
제2절 연구 내용 39
제3절 연구 방법 40
1. 문헌분석 40
2. 설문조사 및 표적집단면접(FGI) 조사 실시 41
3. 전문가 자문회의 49
제2장 미래 환경 변화와 고등교육기관의 평생직업교육 50
제1절 고등교육기관 평생직업교육의 의미 탐색 51
1. 유관 용어와의 관련성 52
2. 고등교육기관에서의 평생직업교육 73
제2절 미래 환경 변화와 고등교육기관 평생직업교육의 필요성 75
1. 미래 환경의 변화 요인 76
2. 고등교육기관의 변화 전망 96
제3장 고등교육기관 평생직업교육 체제 107
제1절 고등교육기관 평생직업교육 변천 과정 108
1. 대학 평생교육 맹아기: 사회적 취약계층 대상 대학확장(일제강점기~1970년대) 109
2. 대학 평생교육 태동기: 성인학습자 대상 대학개방(1980~1994년) 111
3. 대학 평생교육 확대기: 고등교육기회 확대 및 학력 인정(1995~2007년) 115
4. 대학 평생교육 전환기: 평생직업교육을 위한 정부 사업 활성화(2008~2015년) 119
5. 대학 평생교육 혁신기: 고등교육기관의 평생교육 체제 혁신(2016년~현재) 124
6. 고등교육 수요와 대학 평생교육 변화와 한계 127
제2절 현재 고등교육기관의 평생직업교육 전달체계 135
1. 대학의 평생직업교육 관련 법령 135
2. 대학의 평생직업교육 관련 제도 142
3. 고등교육기관 평생직업교육 운영 실태 152
제3절 주요 국가의 고등교육기관 평생직업교육 동향 169
1. 미국 170
2. 독일 183
3. 핀란드 189
제4절 요약 및 시사점 195
제4장 고등교육기관 평생직업교육 수요 분석 201
제1절 고등교육기관 평생직업교육에의 인식 조사 분석 202
1. 대학 관계자 202
2. 산업체 관계자 215
제2절 성인(재직자)의 고등교육기관 평생직업교육 수요 분석 222
1. 재직자의 평생직업교육 필요성 인식 222
2. 재직자의 고등교육기관 평생직업교육 참여 경험 231
3. 재직자의 고등교육기관 평생직업교육 수요 242
제3절 요약 및 시사점 273
제5장 고등교육기관 평생직업교육 내실화 방안 279
제1절 고등교육기관 평생직업교육의 위상 제고 280
1. 법적 기반 정비 282
2. 고등교육기관 평생직업교육 실태조사 및 우수사례 발굴ㆍ홍보 286
제2절 성인학습자의 다양한 수요에 부응 288
1. 평생직업교육 프로그램의 다양성 제고 289
2. 온라인 기반 평생직업교육 프로그램의 확충 290
제3절 지역사회 및 산업계와의 연계 기반 구축 292
1. 지역 기반의 거버넌스 체계 정비 및 고등교육기관과의 협업 강화 293
2. SC/ISC의 대학 평생직업교육 산업계 수요 조사 기능 강화 296
SUMMARY 298
참고문헌 308
[부록] 설문조사지 331
판권기 341
〈표 1-1〉 조사 표본 설계안 42
〈표 1-2〉 설문조사 내용 43
〈표 1-3〉 응답자의 일반적 특성 44
〈표 1-4〉 성인 재직자 초점집단면접(FGI) 참여 대상자 46
〈표 1-5〉 성인 재직자 대상 초점집단면접(FGI) 조사내용 46
〈표 1-6〉 대학 및 산업계 관계자 초점집단면접(FGI) 참여 대상자 48
〈표 1-7〉 대학 및 산업체 관계자 대상 FGI 조사내용 개요 49
〈표 2-1〉 직업교육의 광의/협의의 개념 구분 52
〈표 2-2〉 연도별 직업능력개발사업 실적 및 예산 63
〈표 2-3〉 직업훈련 참여기관별 유형 65
〈표 2-4〉 고등교육기관의 직업능력개발 사업 참여 현황 66
〈표 2-5〉 연도별 주요 트렌드 변화 76
〈표 2-6〉 일자리의 미래 - 새롭게 출현하는 일자리 84
〈표 2-7〉 산업분야별 신기술 채택률 85
〈표 2-8〉 일자리 대체율 상위ㆍ하위 10대 직업 86
〈표 2-9〉 신기술 채택의 장애요인 88
〈표 2-10〉 인구감소로 인한 우리 사회 위험 요인 전망 94
〈표 2-11〉 대학과 전문대학의 계열별 학과 수 및 입학정원 98
〈표 2-12〉 디지털 전환에 따른 고등교육기관의 새로운 시나리오 99
〈표 2-13〉 고등교육기관 취학률 변화 104
〈표 2-14〉 우리나라 성인(만25세 이상~64세 미만)의 고등교육 이수율 변화 105
〈표 3-1〉 태동기에 도입된 평생직업교육 관련 고등교육기관 112
〈표 3-2〉 확대기에 도입된 평생직업교육 관련 고등교육기관 전형 및 과정 116
〈표 3-3〉 확대기에 도입된 평생직업교육 관련 고등교육기관 118
〈표 3-4〉 최근 고등교육기관 평생직업교육 활성화 방안(2020-2021) 133
〈표 3-5〉 대학 중심의 후학습 경로 현황 142
〈표 3-6〉 재직자특별전형 운영 현황 146
〈표 3-7〉 전공심화 과정 운영 규모 추이 146
〈표 3-8〉 최근 5년간 학점은행제 등록 학습자 수 150
〈표 3-9〉 최근 5년간 독학학위제 과정별 시험 실시 현황 151
〈표 3-10〉 대학의 평생교육체제 지원사업의 주요 내용 157
〈표 3-11〉 대학의 평생교육체제 지원사업 참여 대학 현황(2020년 기준) 159
〈표 3-12〉 대학의 평생교육체제 지원사업 대학, 학과 인원 등 세부 현황 161
〈표 3-13〉 대학의 평생교육체제 지원사업 학사 유연화 현황 161
〈표 3-14〉 대학의 평생교육체제 지원사업 2021학년도 신입생 구성 현황 162
〈표 3-15〉 후진학 선도형 사업의 주요 추진 내용 164
〈표 3-16〉 후진학선도형 사업 권역별, 연도별 사업 참여 대학 165
〈표 3-17〉 후진학선도형 사업 운영 총괄 현황 167
〈표 3-18〉 후진학선도형 교육과정 영역별 운영 현황 167
〈표 3-19〉 「WIOA」 하에서의 미국 노동부와 교육부의 정책 목표 및 핵심 프로그램 172
〈표 3-20〉 미국의 연도별 연령대별 고등교육기관 등록자 변천 174
〈표 3-21〉 전미교육통계센터의 성인학습자 식별 기준 175
〈표 3-22〉 전통성 수준에 따른 대학 유형별 학생 분포(1999~2000년 기준) 176
〈표 3-23〉 2011-2012년 등록 대학생의 비전통적 특성 177
〈표 3-24〉 독일의 2021 성인 계속교육 전략 185
〈표 3-25〉 독일 무형식 계속 훈련 참여자의 고용 형태별 비율(2012-2018) 188
〈표 3-26〉 핀란드 응용과학대학의 학사학위 과정 과목 구성 192
〈표 3-27〉 핀란드 응용과학대학의 전공별 취득 학점, 수업 연한, 세부 전공 및 주요 과목 194
〈표 4-1〉 기술변화에 대응한 역량개발 필요도 226
〈표 4-2〉 기술변화에 대응한 역량개발 필요도: 연령대ㆍ직종ㆍ기업규모별 차이 227
〈표 4-3〉 고등교육기관의 기술변화에 대응한 역량 개발 교육 운영 시 도움 정도 228
〈표 4-4〉 고등교육기관의 기술변화에 대응한 역량개발 교육 운영 시 도움 정도: 연령대ㆍ직종ㆍ기업규모별 차이 229
〈표 4-5〉 학위과정 형태의 고등교육기관 평생직업교육 참여 경험 여부 231
〈표 4-6〉 비학위과정 형태의 고등교육기관 평생직업교육 참여 경험 여부 232
〈표 4-7〉 학위과정 참여 목적 234
〈표 4-8〉 가장 최근에 참여한 비학위과정 프로그램 235
〈표 4-9〉 참여한 고등교육기관 평생직업교육의 직무 관련 정도 236
〈표 4-10〉 참여한 고등교육기관 평생직업교육의 만족도 237
〈표 4-11〉 참여한 고등교육기관 평생직업교육에 만족 또는 만족하지 않는 이유 238
〈표 4-12〉 참여한 직업능력 향상교육(비형식교육) 기관 유형 240
〈표 4-13〉 참여한 고등교육기관 평생직업교육의 직업생활 도움 정도 241
〈표 4-14〉 직업능력 향상교육(비형식교육) 참여 경험의 직업 관련 도움 정도 242
〈표 4-15〉 재직자의 고등교육기관 평생직업교육 참여 의사 243
〈표 4-16〉 선호하는 운영 형태 246
〈표 4-17〉 학위과정을 선호하는 이유 247
〈표 4-18〉 비학위과정을 선호하는 이유 247
〈표 4-19〉 참여 의사가 없는 이유 248
〈표 4-20〉 고등교육기관 평생직업교육 프로그램 참여 결정 시 주요 고려 요인 249
〈표 4-21〉 랜덤 포레스트 모델의 예측 성과 252
〈표 4-22〉 참여하고 싶은 고등교육기관 재직자 대상 교육 프로그램 256
〈표 4-23〉 프로그램별 적절한 운영기관 257
〈표 4-24〉 프로그램별 적절한 운영 방식 260
〈표 4-25〉 대학/전문대학의 온라인 기반 교육 프로그램 활성화가 평생직업교육 참여 기회 확대에 도움되는 정도 260
〈표 4-26〉 고등교육기관 평생직업교육 프로그램의 적절한 내용 구성 방식 263
〈표 4-27〉 소속 기업의 교육훈련 지원 정도 269
〈표 4-28〉 소속 기업의 교육훈련 지원 정도: 연령대ㆍ직종ㆍ기업규모별 차이 270
〈표 5-1〉 고등교육기관 평생직업교육을 위한 「평생교육법」 개정 의견 285
〈표 5-2〉 고등교육기관 평생직업교육을 위한 「직업교육훈련촉진법」 개정 의견 285
〈표 5-3〉 고등교육기관 평생직업교육 관련 통계조사 현황 287
〈표 5-4〉 시도 수준 평생직업교육 관련 협의체 현황 294
〈표 5-5〉 산업별 협의체(SC/ISC) 운영 현황 297
[그림 2-1] 평생교육통계에서 직업능력 향상교육이 차지하는 비율 60
[그림 2-2] 고용노동부 직업능력개발사업 체계의 변화 62
[그림 2-3] 우리나라 고등교육체제 현황(2019년 기준) 68
[그림 2-4] 고등교육기관(전문대학 및 대학 과정) 변화 추이 69
[그림 2-5] 4차 산업혁명 관련 기술 분야 특허출원 통계(2010~2019) 78
[그림 2-6] 참여한 직업능력 향상교육(비형식교육) 프로그램 형태 81
[그림 2-7] 2018, 2020 일자리의 미래 보고서 전망 비교 84
[그림 2-8] OECD 국가의 자동화 위험에 처한 직업 비율 87
[그림 2-9] 워크넷 구인 동향(2020. 1.~2020. 12.) 90
[그림 2-10] 국내 경제활동인구의 재택 및 원격근무 현황 91
[그림 2-11] 주요 국가들의 합계출산율 변화 92
[그림 2-12] 국내 출생아 수 변화 추이(1990~2020) 92
[그림 2-13] 우리나라 인구피라미드의 변화 93
[그림 2-14] 고등교육기관 취학적령인구 및 취학적령학생 추이 104
[그림 3-1] 전환기의 고등교육기관 평생직업교육 관련 사업 121
[그림 3-2] 고등교육 수요 변화와 평생직업교육 변천 과정 128
[그림 3-3] 고등교육기관의 평생직업교육 관련 법체계 136
[그림 3-4] 산업체 위탁교육 운영 추이 148
[그림 3-5] 대학의 평생교육체제 지원 사업 관련 변화 추이 156
[그림 3-6] 미국 입학 연도별 6년 내 고등교육 이수율 171
[그림 3-7] 미국 대학 유형별 연령대별 2년제 등록자 비율 179
[그림 3-8] 미국 대학 유형별 연령대별 4년제 등록자 비율 180
[그림 3-9] 독일 평생직업교육 참여율(1991-2018) 187
[그림 3-10] 독일 시민교육 교육프로그램 영역별 과정 개설 비율 189
[그림 4-1] 직업 관련 목적 비형식교육 참여율 233
[그림 4-2] 직업능력 향상교육(비형식교육) 참여율 233
[그림 4-3] 참여한 직업능력 향상교육(비형식교육) 프로그램 유형 239
[그림 4-4] 참여한 직업능력 향상교육(비형식교육) 프로그램 형태 240
[그림 4-5] 성인학습자의 향후 직업능력 향상교육 프로그램 참여 의사 비율 244
[그림 4-6] 의사결정 나무 개수에 따른 예측오차 비율 변화 251
[그림 4-7] 고등교육기관 평생직업교육 참여 의사 관련 중요도 상위 10개 요인 252
[그림 4-8] 고등교육기관 평생직업교육 참여 의사 예측 주요 요인별 부분 의존성 도표 25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