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제지
목차
초록 4
Abstract 5
연구요약 11
Ⅰ. 서론 22
1. 연구 배경 및 필요성 22
2. 연구내용 및 방법 29
Ⅱ. 선행연구 검토 30
1. 전통적 동화 모형 30
2. 비용-편익 모형 33
3. 사회관계망 모형 37
4. 주요 국내 문헌 43
Ⅲ. 기초통계 분석 49
1. 국내 체류외국인 현황 및 추이 49
2. 「이민자체류실태및고용조사」 자료 분석 56
가. 조사 개요 및 주요 내용 56
나. 이민자의 국내 체류 의사 61
다. 이민자의 국내 체류 의사에 대한 잠재적 영향 요인 73
Ⅳ. 이민자의 국내 체류 의사 결정요인 분석 100
1. 자료수집과 분석모형 100
가. 자료수집 100
나. 분석모형: 이항 로짓 모형(Binary Logit Model) 115
2. 분석 결과 117
가. 전체 표본 분석 결과 117
나. 체류자격 집단별 표본 분석: Group 1(비전문취업) 130
다. 체류자격 집단별 표본 분석: Group 2(방문취업 및 재외동포) 139
라. 체류자격 집단별 표본 분석: Group 3(전문인력 및 유학생) 148
마. 체류자격 집단별 표본 분석: Group 4(결혼이민자) 157
Ⅴ. 결론 및 제언 169
1. 연구 요약 169
2. 연구의 한계점 및 향후 과제 171
참고문헌 174
판권기 4
〈표 Ⅱ-1〉 해외 주요 실증분석 연구내용(요약) 40
〈표 Ⅱ-2〉 국내 주요 실증분석 연구내용(요약) 47
〈표 Ⅲ-1〉 기간별(장ㆍ단기) 체류외국인 현황(2011~2021) 50
〈표 Ⅲ-2〉 1년 이상 장기체류자격 외국인의 분류 52
〈표 Ⅲ-3〉 체류자격별 외국인 집단 분류 53
〈표 Ⅲ-4〉 장기체류외국인의 체류자격 특성에 따른 유형 분류 53
〈표 Ⅲ-5〉 「이민자체류실태및고용조사」 주요 사항 요약(2017~2021) 57
〈표 Ⅲ-6〉 체류자격별 응답자(표본) 현황(2017~2021) 58
〈표 Ⅲ-7〉 「이민자체류실태및고용조사」 주요 조사내용(2017~2021) 60
〈표 Ⅲ-8〉 이민자의 국내 체류 의향: 희망 체류 방법(2017~2021) 65
〈표 Ⅲ-9〉 아시아권 국가 출신 응답자 비율(2017~2021) 78
〈표 Ⅲ-10〉 한국계 배경을 가진 응답자 비율(2017~2021) 80
〈표 Ⅲ-11〉 배우자가 있는 응답자 비율(2017~2021) 81
〈표 Ⅲ-12〉 배우자의 한국 거주 여부(2017~2021) 82
〈표 Ⅲ-13〉 한국인 배우자 비율(2017~2021) 83
〈표 Ⅲ-14〉 한국 내 거주 자녀가 있는 응답자 비율(2017~2021) 84
〈표 Ⅲ-15〉 한국 내 기타 친인척 거주 비율(2017~2021) 85
〈표 Ⅲ-16〉 응답자 중 취업자 비율(2017~2021) 90
〈표 Ⅲ-17〉 응답자 중 수도권 거주자 비율(2017~2021) 93
〈표 Ⅲ-18〉 한국 체류기간이 3년 이상인 응답자 비율(2017~2021) 94
〈표 Ⅲ-19〉 응답자의 한국어 능력(2018, 2020) 95
〈표 Ⅲ-20〉 응답자의 한국생활 만족도(2018, 2020) 97
〈표 Ⅲ-21〉 응답자의 차별 경험(2018, 2020) 98
〈표 Ⅳ-1〉 변수의 정의 및 속성 103
〈표 Ⅳ-2〉 기초통계량: 종속변수 110
〈표 Ⅳ-3〉 기초통계량: 설명변수(종속변수=Settle) 111
〈표 Ⅳ-4〉 기초통계량: 설명변수(종속변수=Settle_P / Settle_N) 114
〈표 Ⅳ-5〉 국내 계속 체류 의향 분석 결과: 전체 표본 119
〈표 Ⅳ-6〉 영주자격 취득 의향 분석 결과: 전체 표본 122
〈표 Ⅳ-7〉 한국국적 취득 의향 분석 결과: 전체 표본 123
〈표 Ⅳ-8〉 배우자/자녀의 국내 거주 여부가 미치는 영향: 전체 표본 125
〈표 Ⅳ-9〉 소득 관련 요인이 미치는 영향: 전체 표본 127
〈표 Ⅳ-10〉 한국어 능력, 한국생활 경험이 미치는 영향: 전체 표본(짝수년도) 129
〈표 Ⅳ-11〉 국내 계속 체류 의향 분석 결과: Group 1(비전문취업) 131
〈표 Ⅳ-12〉 영주자격 취득 의향 분석 결과: Group 1(비전문취업) 133
〈표 Ⅳ-13〉 한국국적 취득 의향 분석 결과: Group 1(비전문취업) 134
〈표 Ⅳ-14〉 배우자/자녀의 국내 거주 여부가 미치는 영향: Group 1(비전문취업) 135
〈표 Ⅳ-15〉 소득 관련 요인이 미치는 영향: Group 1(비전문취업) 136
〈표 Ⅳ-16〉 한국어 능력, 한국생활 경험이 미치는 영향: Group 1(비전문취업) 138
〈표 Ⅳ-17〉 국내 계속 체류 의향 분석 결과: Group 2(방문취업 및 재외동포) 140
〈표 Ⅳ-18〉 영주자격 취득 의향 분석 결과: Group 2(방문취업 및 재외동포) 141
〈표 Ⅳ-19〉 한국국적 취득 의향 분석 결과: Group 2(방문취업 및 재외동포) 143
〈표 Ⅳ-20〉 배우자/자녀의 국내 거주 여부가 미치는 영향: Group 2(방문취업 및 재외동포) 144
〈표 Ⅳ-21〉 소득 관련 요인이 미치는 영향: Group 2(방문취업 및 재외동포) 145
〈표 Ⅳ-22〉 한국어 능력, 한국생활 경험이 미치는 영향: Group 2(방문취업 및 재외동포) 147
〈표 Ⅳ-23〉 국내 계속 체류 의향 분석 결과: Group 3(전문인력 및 유학생) 149
〈표 Ⅳ-24〉 영주자격 취득 의향 분석 결과: Group 3(전문인력 및 유학생) 150
〈표 Ⅳ-25〉 한국국적 취득 의향 분석 결과: Group 3(전문인력 및 유학생) 151
〈표 Ⅳ-26〉 배우자/자녀의 국내 거주 여부가 미치는 영향: Group 3(전문인력 및 유학생) 154
〈표 Ⅳ-27〉 소득 관련 요인이 미치는 영향: Group 3(전문인력 및 유학생) 155
〈표 Ⅳ-28〉 한국어 능력, 한국생활 경험이 미치는 영향: Group 3(전문인력 및 유학생) 156
〈표 Ⅳ-29〉 국내 계속 체류 의향 분석 결과: Group 4(결혼이민자) 157
〈표 Ⅳ-30〉 영주자격 취득 의향 분석 결과: Group 4(결혼이민자) 159
〈표 Ⅳ-31〉 한국국적 취득 의향 분석 결과: Group 4(결혼이민자) 161
〈표 Ⅳ-32〉 배우자/자녀의 국내 거주 여부가 미치는 영향: Group 4(결혼이민자) 163
〈표 Ⅳ-33〉 소득 관련 요인이 미치는 영향: Group 4(결혼이민자) 164
〈표 Ⅳ-34〉 한국어 능력, 한국생활 경험이 미치는 영향: Group 4(결혼이민자) 165
〈그림 Ⅰ-1〉 국내 체류외국인 현황(2011~2021) 23
〈그림 Ⅰ-2〉 내ㆍ외국인 인구 및 구성비 변화(2020~2040) 25
〈그림 Ⅰ-3〉 내ㆍ외국인의 주요 연령 계층별 인구구성비(2020~2040) 26
〈그림 Ⅲ-1〉 국내 귀화자 증가 추이(2015~2021) 51
〈그림 Ⅲ-2〉 국내 장기체류외국인 구성의 변화(2011, 2021) 55
〈그림 Ⅲ-3〉 이민자의 국내 체류 의향에 관한 설문 문항 62
〈그림 Ⅲ-4〉 이민자의 국내 체류 의향: 계속 체류 희망(2017~2021) 63
〈그림 Ⅲ-5〉 희망 체류 방법: 체류 기간 연장(2017~2021) 66
〈그림 Ⅲ-6〉 희망 체류 방법: 체류자격 변경(2017~2021) 68
〈그림 Ⅲ-7〉 희망 체류 방법: 영주자격 취득(2017~2021) 69
〈그림 Ⅲ-8〉 희망 체류 방법: 한국국적 취득(2017~2021) 70
〈그림 Ⅲ-9〉 영주자격 및 국적 취득 응답자의 등록시 체류자격(2017~2021) 72
〈그림 Ⅲ-10〉/〈그림 Ⅲ-12〉 응답자의 성별: 여성 비율(2017~2021) 75
〈그림 Ⅲ-11〉/〈그림 Ⅲ-13〉 연령 계층별 구성: 40대 미만 응답자 비율(2017~2021) 76
〈그림 Ⅲ-12〉/〈그림 Ⅲ-14〉 응답자의 국내 출생 여부(2017~2021) 77
〈그림 Ⅲ-13〉/〈그림 Ⅲ-15〉 최종학력: 대졸 이상 응답자 비율(2017~2021) 87
〈그림 Ⅲ-14〉/〈그림 Ⅲ-16〉 응답자의 자가 보유 비율(2017~2021) 88
〈그림 Ⅲ-15〉/〈그림 Ⅲ-17〉 응답자의 월평균 총소득(2017, 2019, 2021) 9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