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제지
목차
요약 6
제1장 서론 10
제2장 연령층별 노동력 집단 간 대체성과 그 추정 : 이론 및 집계자료를 사용한 분석 12
제1절 서론 12
1. 노동력의 이질성과 노동그룹 간 대체탄력성 12
2. 관련 문헌 13
3. 추정 방법 15
제2절 추정모형 17
1. 트랜스로그 비용함수 추정접근 17
2. nested CES 생산함수 추정접근 21
제3절 자료 28
1. 분석자료 28
2. 추정을 위한 자료의 구축 31
제4절 분석결과 33
1. 그룹 간 대체탄력성 추정 접근방법 33
2. 대체탄력성 추정 결과 35
3. 결과 요약 37
4. 중첩된(nested) 노동력 분류 모형을 활용한 추가작업 39
5. 민감도 분석 41
6. 결과의 활용 : 임금보조 정책에 의한 노동수요 변화의 파악 41
제5절 논의 43
1. 추정치의 규모 43
2. 기타 논의 43
제6절 요약 및 결론 44
[부록] 자료의 구축 : 학력별-연령별-성별자료 구축 46
제3장 청년고용정책의 고용대체성 추정 74
제1절 서론 74
제2절 모형(model)과 자료(data) 75
1. 모형(model) 75
2. 자료(data) 77
제3절 실증분석 결과 78
1. WPS 플러스(Plus) 자료를 사용한 경우 78
2. 결합행정패널(CAP) 자료를 사용한 경우 87
제4절 결론 100
제4장 결론 102
참고문헌 105
판권기 108
〈표 2-1〉 연령 간 집계를 허용한 모형 추정[접근 2] 41
〈표 3-1〉 주요 변수들의 기초통계 83
〈표 3-2〉 주요 변수들의 기초통계 : 사업참여여부별 84
〈표 3-3〉 이중차분 추정결과 85
〈표 3-4〉 고용대체성(대체탄력성) 추정치 86
〈표 3-5〉 기초통계 : 연령층별 고용증가율, CAP 자료 94
〈표 3-6〉 이중차분 추정결과 : 단순 회귀분석 96
〈표 3-7〉 청년층 대비 각 연령계층의 대체탄력성 추정치 96
〈표 3-8〉 매칭 결과 : 2017~2018년 97
〈표 3-9〉 매칭 결과 : 2018~2019년 97
〈표 3-10〉 매칭 결과 : 2019~2020년 98
〈표 3-11〉 매칭된 자료(matched data)를 사용한 단순 회귀분석 결과 98
〈표 3-12〉 청년층 대비 각 연령계층의 대체탄력성 추정치 : 매칭된 자료를 사용한 단순 회귀분석 결과 99
〈표 3-13〉 매칭된 자료를 사용한 다중 회귀분석 결과 99
〈표 3-14〉 청년층 대비 각 연령계층의 대체탄력성 추정치 : 매칭된 자료를 사용한 다중 회귀분석 결과 100
[그림 2-1] 연령별 노동력 이질성을 포함한 nested 모형 : 예시 26
[그림 3-1] 고용량 추세 : WPS Plus 자료 80
[그림 3-2] 청년(15~34세) 고용 대비 35~39세 고용의 비율 : WPS Plus 자료 81
[그림 3-3] 청년(15~34세) 고용 대비 40~44세 고용의 비율 : WPS Plus 자료 81
[그림 3-4] 청년(15~34세) 고용 대비 45~49세 고용의 비율 : WPS Plus 자료 82
[그림 3-5] 고용대체성(대체탄력성) 추정치 87
[그림 3-6] 고용량 추세 : CAP 자료 88
[그림 3-7] 청년 고용량 추세 : CAP 자료 89
[그림 3-8] 청년(15~34세) 고용의 비율 : CAP 자료 90
[그림 3-9] 청년(15~34세) 고용 대비 35~39세 고용의 비율 : CAP 자료 91
[그림 3-10] 청년(15~34세) 고용 대비 40~44세 고용의 비율 : CAP 자료 92
[그림 3-11] 청년(15~34세) 고용 대비 45~49세 고용의 비율 : CAP 자료 92
〈부표 2-1〉 청년, 중년, 장년 노동력 간의 대체탄력성 추정 47
〈부표 2-2〉 청년-중년 노동력 간의 대체탄력성 추정 : 교육수준별 48
〈부표 2-3〉 청년-장년 노동력 간의 대체탄력성 추정 : 교육수준별 48
〈부표 2-4〉 중년-장년 노동력 간의 대체탄력성 추정 : 교육수준별 49
〈부표 2-5〉 청년-비청년 노동력 간의 대체탄력성 추정 49
〈부표 2-6〉 세부 연령그룹 간 대체성 추정 : 15~19세 그룹 기준 50
〈부표 2-7〉 세부 연령그룹 간 대체성 추정 : 20~24세 그룹 기준 52
〈부표 2-8〉 세부 연령그룹 간 대체성 추정 : 25~29세 그룹 기준 54
〈부표 2-9〉 세부 연령그룹 간 대체성 추정 : 30~34세 그룹 기준 56
〈부표 2-10〉 세부 연령그룹 간 대체성 추정 : 35~39세 그룹 기준 58
〈부표 2-11〉 세부 연령그룹 간 대체성 추정 : 40~44세 그룹 기준 59
〈부표 2-12〉 세부 연령그룹 간 대체성 추정 : 45~49세 그룹 기준 60
〈부표 2-13〉 세부 연령그룹 간 대체성 추정 : 50~54세 그룹 기준 61
〈부표 2-14〉 세부 연령그룹 간 대체성 추정 : 55~59세 그룹 기준 61
〈부표 2-15〉 세부 연령그룹 간 대체성 추정 : 60~65세 그룹 기준 62
〈부표 2-16〉 집계자료를 이용한 세부 연령그룹 간 대체성 추정 : 20~24세 그룹 기준 63
〈부표 2-17〉 집계자료를 이용한 세부 연령그룹 간 대체성 추정 : 25~29세 그룹 기준 65
〈부표 2-18〉 집계자료를 이용한 세부 연령그룹 간 대체성 추정 : 30~34세 그룹 기준 67
〈부표 2-19〉 집계자료를 이용한 세부 연령그룹 간 대체성 추정 : 35~39세 그룹 기준 69
〈부표 2-20〉 집계자료를 이용한 세부 연령그룹 간 대체성 추정 : 40~44세 그룹 기준 70
〈부표 2-21〉 집계자료를 이용한 세부 연령그룹 간 대체성 추정 : 45~49세 그룹 기준 71
〈부표 2-22〉 집계자료를 이용한 세부 연령그룹 간 대체성 추정 : 50~54세 그룹 기준 72
〈부표 2-23〉 집계자료를 이용한 세부 연령그룹 간 대체성 추정 : 55~59세 그룹 기준 72
〈부표 2-24〉 집계자료를 이용한 세부 연령그룹 간 대체성 추정 : 60~65세 그룹 기준 7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