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국문목차

표제지 = 0,1,3

감사의 글 = 0,4,2

목차 = 0,6,4

ABSTRACT = 0,10,3

국문초록 = 0,13,3

제1장 서론 = 1,16,1

1. 연구의 목적 = 1,16,3

2. 기존의 연구경향 및 문제의 제기 = 4,19,1

가. 기존의 연구경향 = 4,19,6

나. 문제의 제기 = 9,24,7

3. 논문의 구성 = 15,30,5

제2장 주요개념의 정의 및 비교평가의 기준 = 20,35,1

1. 독트린의 정의: 주요특징 및 기능 = 20,35,6

2. 비교평가의 방법 및 기준 = 25,40,3

가. 독트린 변화의 유형 = 27,42,3

나. 정치적 신념체계상의 기본전제 = 29,44,3

다. 국제관계에 관한 기본시각 = 31,46,3

라. 국가이익과 국제주의적 이해관계 = 33,48,3

마. 힘의 상관관계에 대한 판단과 안보적 고려 = 35,50,5

3. 연구의 한계 = 39,54,3

제3장 브레즈네프 독트린의 주요내용 및 평가 = 42,57,1

1. 주요내용 = 42,57,8

2. 배경 = 49,64,1

가. 소련의 동유럽 통제구조 = 49,64,1

1) 소련우위의 전통 = 49,64,4

2) 소련의 동유럽 통제구조 = 53,68,3

나. 동유럽 통제구조상의 일반적 불안정 요인 = 55,70,1

1) 배타적 저항민족주의의 문제 = 56,71,1

2) 혁명 성격의 문제 = 56,71,2

3) 다중심주의(polycentrism)의 문제 = 57,72,3

4) 인도적 사회주의의 조류 = 59,74,1

다. 체코슬로바키아 사태의 위기적 성격 = 59,74,4

3. 협의적 평가: 제한주권론 = 62,77,4

4. 광의적 평가: 소련 국제관계 독트린의 종합 = 65,80,3

가. 국제주의적 이해관게 우선의 원칙 = 67,82,3

나. 사회주의 업적의 방어와 소련의 주도적 역할 = 70,85,5

다. 사회주의 진영의 형성과 공동의 사회주의 건설노선 = 74,89,3

라. 사회주의 국제주의 개념의 발전 = 77,92,5

마. 기존 외교원칙의 종합 = 81,96,2

바. 초강대국으로서의 소련과 브레즈네프의 독트린 = 82,97,4

5. 계급적 관점의 국제관계 시각과 브레즈네프 독트린 = 85,100,7

6. 적용범위의 문제 = 91,106,6

7. 소결론 = 96,111,3

제4장 고르바초프 독트린에 관한 기본인식의 문제 = 99,114,1

1. 페레스트로이카와 고르바초프 독트린 = 99,114,5

2. 이념적 적실성의 문제 = 103,118,2

가. 패권적 질서와 도덕적 지도력 = 104,119,8

나. 국내적 위기의 타개와 고르바초프 독트린 = 112,127,5

다. 이념적 적실성의 회복과 고르바초트 독트린 = 116,131,5

3. 외교정책 자원의 고갈과 외교안보 환경의 변화 = 120,135,5

4. 포괄적 대외적략으로서의 고르바초프 독트린 = 124,139,5

제5장 고르바초프 독트린의 주요내용 및 평가 = 129,144,1

1. 고르바초프 독트린의 전개 = 129,144,5

2. 주요내용 = 133,148,1

가. 신사고의 목표 = 133,148,3

나. 상호의존과 인류전체의 보편적 이익 = 135,150,5

다. 국제사회의 관리 필요성 및 가능성 = 139,154,4

라. 포괄적 안보의 추구 = 142,157,1

1) 포괄적 안보전략의 필요성 = 142,157,3

2) 안보의 상호성 = 144,159,2

3) 분쟁의 정치적 해결과 전쟁의 예방 = 145,160,4

4) 합리적 충분성과 군비의감축 = 148,163,3

5) 방어적 방어 = 150,165,3

6) 경제 및 인도적 요소의 중요성 = 152,167,3

마. 국제법과 제도 및 기구의 역할에 대한 새로운 인식 = 154,169,6

바. 자본주의, 제국주의 및 혁명에 대한 기본인식 = 159,174,5

사. 이해관계의 균형과 독자적 발전 노선에 대한 존중 = 163,178,1

1) 세력균형으로부터 이해관계의 균형으로 = 163,178,2

2) 독자적 발전노선에 대한 존중 = 165,180,3

3) 과거의 소련외교에 대한 비판과 국가이익에 대한 강조 = 167,182,4

아. 국제관계의 탈이념화 및 도덕성에 대한 강조 = 170,185,6

3. 의미와 평가 = 175,190,1

가. 의미 = 175,190,7

나. 국제정치적 의의 = 181,196,1

1) 국제관계의 평화적 변화 = 181,196,3

2) 국제관계의 일원화 = 183,198,7

다. 고르바초프 독트린의 한계 = 189,204,3

제6장 브레즈네프 및 고르바초프 독트린의 비교 평가 = 192,207,1

1. 독트린 변화의 유형 = 192,207,4

2. 정치적 신념체계상의 기본전제 = 195,210,5

3. 국제관계에 관한 기본시각 = 199,214,5

4. 국가이익과 국제주의적 이해관계 = 203,218,5

5. 힘의 상관관계와 안보전략 = 207,222,5

제7장 결론 및 전망 = 212,227,7

[참고문헌] = 219,234,41

초록보기

이 연구는 브레즈네프 및 고르바초프 독트린의 이론적, 내용적 특성과 의미를 규명한 다음, 이를 바탕으로 독트린의 변화 유형, 정치적 신념 체계상의 기본전제, 국제관계에 관한 기본시각, 국가이익과 국제주의적 이해관계, 힘의 상관관계에 대한 판단과 안보적 고려 등 5개의 측면에서 양 독트린을 비교·평가한 것이다. 그 결과, 소련 및 사회주의의 장래에 관한 비관적 평가를 바탕으로 소련의 새로운 지도부가 채택한 외교독트린의 골자는 군사력 위주의 외교안보 정책으로부터 포괄적 외교안보 전략으로 전환하고, 엄밀한 계급노선의 지양과 인류전체의 보편적 이익과 가치의 옹호 및 구현, 그리고 경제·정치·과학·문화 등 제분야에서 모범을 과시함으로써 소련은 물론 사회주의의 물질적 토대를 굳건히 하고 정신적, 도덕적 우월성을 제고해 나가겠다는 것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