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표제지

논문개요

목차

Ⅰ. 서론 13

A. 연구 목적과 의의 13

B. 연구 방법과 내용 15

Ⅱ. 노걸대(老乞大)의 편찬과 간행 18

A. 노걸대가 쓰여진 배경 18

B. 노걸대의 내용과 구성 19

C. 노걸대의 변천 22

1. 한어본 22

2. 언해본 24

Ⅲ. 노걸대(老乞大)에 기록된 복식 27

A. 관모(冠帽) 27

B. 의(衣) 42

C. 대(帶) 55

D. 신발 59

E. 기타 61

Ⅳ. 노걸대(老乞大)에 기록된 소재 69

A. 직물 69

1. 마직물(麻織物) 69

2. 면(綿) 72

3. 견직물(絹織物) 73

4. 모직물 87

5. 색채와 문양 88

B. 피혁 102

C. 기타 104

Ⅴ. 결론 및 제언 107

참고문헌 111

ABSTRACT 117

표목차

[표 1] 「노걸대」 上의 내용 21

[표 2] 「노걸대」 下의 내용 21

[표 3] 현존 「노걸대」 간본 26

[표 4] 「노걸대」 에 나타나는 冠帽 27

[표 5] 「노걸대」 에 나타나는 의복 명칭 42

[표 6] ?子의 의미 43

[표 7] 「박통사」 에 나타난 帖裏 45

[표 8] 「노걸대」 에 나타나는 사계절 의복 53

[표 9] 「노걸대」 에 나타나는 帶 55

[표 10] 「노걸대」 에 나타나는 사계절 帶類 58

[표 11] 「노걸대」 에 나타나는 신발 60

[표 12] 「노걸대」 에 나타나는 사계절 별 신발 60

[표 13] 「노걸대」 에 나타나는 기타 복식관련 명칭 62

[표 14] 「노걸대」 에 나타나는 麻織物 69

[표 15] 「박통사」 에 나타난 帖裏布 71

[표 16] 「노걸대」 에 나타나는 綿 72

[표 17] 「노걸대」 에 나타나는 絹織物 74

[표 18] 「번노」 와 「중노언」 에서의 綾의 사용 비교 80

[표 19] 「번노」 에 나타난 段의 명칭 83

[표 20] 「번노」 에 나타난 織金관련 명칭 86

[표 21] 「노걸대」 에 나타나는 毛織物 87

[표 22] 「노걸대」 에 나타나는 色名 89

[표 23] 「박통사」 에 보이는 沈香과 관련된 명칭 93

[표 24] 「輟耕錄」의 기록 중 노걸대 에 나타나는 色 95

[표 25] 「노걸대」 에 나타나는 문양 96

[표 26] 「노걸대」 에 나타나는 피혁류 103

[표 27] 「노걸대」 에 나타나는 기타소재 104

그림목차

[그림 1] 元 成宗(在位: 1294∼1307) 31

[그림 2] 元 仁宗(在位: 1311∼1320) 31

[그림 3] Yamantaka Mandala with Imperial Portraits의 왼쪽 하단 부분 32

[그림 4] 몽골 婦女의首飾(차하르) 32

[그림 5] 몽골 여자의 耳飾(차하르) 32

[그림 6] 「金時習(1435∼1493) 肖像畵」 中 笠纓 33

[그림 7] 「李賢輔(1710∼1766) 肖像畵」 中 笠纓 34

[그림 8] 「李兆年(1269∼1343) 肖像畵」中 笠纓 34

[그림 9] 「이포(?∼1373)肖像畵」 中 笠纓 34

[그림 10] 披肩 36

[그림 11] 暖耳 36

[그림 12] 大帽 37

[그림 13] 剛叉帽 38

[그림 14] 皮冠 39

[그림 15] 칭기스한 肖像畵 中 帽子 40

[그림 16] 쿠빌라이칸 肖像畵 中 帽子 40

[그림 17] 五色段甲 앞 51

[그림 18] 五色段甲 뒤 5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