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자료 카테고리

전체 1
도서자료 0
학위논문 1
연속간행물·학술기사 0
멀티미디어 0
동영상 0
국회자료 0
특화자료 0

도서 앰블럼

전체 (0)
일반도서 (0)
E-BOOK (0)
고서 (0)
세미나자료 (0)
웹자료 (0)
전체 (1)
학위논문 (1)
전체 (0)
국내기사 (0)
국외기사 (0)
학술지·잡지 (0)
신문 (0)
전자저널 (0)
전체 (0)
오디오자료 (0)
전자매체 (0)
마이크로폼자료 (0)
지도/기타자료 (0)
전체 (0)
동영상자료 (0)
전체 (0)
외국법률번역DB (0)
국회회의록 (0)
국회의안정보 (0)
전체 (0)
표·그림DB (0)
지식공유 (0)

도서 앰블럼

전체 1
국내공공정책정보
국외공공정책정보
국회자료
전체 ()
정부기관 ()
지방자치단체 ()
공공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정부기관 ()
의회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국회의원정책자료 ()
입법기관자료 ()

검색결과

검색결과 (전체 1건)

검색결과제한

열기
논문명/저자명
더그레에 관한 연구 / 변지연 인기도
발행사항
서울 : 서울여자대학교 대학원, 2007.2
청구기호
TM 646.30951 ㅂ423ㄷ
형태사항
v, 89 p. ; 26 cm
자료실
전자자료
제어번호
KDMT1200701822
주기사항
학위논문(석사) -- 서울여자대학교 대학원, 의류학, 2007.2
원문
미리보기

목차보기더보기

표제지

감사의 글

논문개요

목차

I. 서론 11

1. 연구목적 11

2. 연구 내용 및 범위 11

1) 연구 내용 11

2) 연구 범위 12

3. 연구 방법 및 제한점 12

1) 연구 방법 12

2) 연구의 제한점 13

II. 더그레 종류 14

1. 더그레 정의 14

2. 답호(답護) 18

1) 문헌으로 본 답호 18

2) 가시적 자료로 본 답호 23

(1) 朝鮮 前期 답護 (1400여년-1624년) 23

(2) 제1기 (16세기 중엽-1760년대) 26

(3) 제2기 (1761-1820년) 28

(4) 제3기 (1821-1880년) 29

(5) 제4기 (1881년-1900년 이후) 30

3. 전복(戰服) 35

1) 문헌으로 본 전복 35

2) 가시적 자료로 본 전복 38

(1) 제1기 (1624년-1760년) 39

(2) 제2기 (1761년-1820년) 41

(3) 제3기 (1821-1880년) 43

(4) 제4기 (1881-1900년 이후) 45

4. 호의(號衣) 54

1) 문헌으로 본 호의 54

2) 가시적 자료로 본 호의 58

(1) 제1기 (1594년-1760년) 58

(2) 제2기 (1761-1820) 59

(3) 제3기 (1821-1880년) 59

5. 쾌자(快子) 68

1) 문헌으로 본 쾌자 68

2) 가시적 자료로 본 쾌자 71

(1) 제2기 (1760-1820) 71

(2) 제3기 (1821-1880년) 73

(3) 제4기 (1881년-1900년 이후) 75

6. 더그레 형태별 특성 고찰 87

III. 결론 92

참고문헌 94

ABSTRACT 99

[표 1] 외국어 학습서로 본 더그레 명칭 15

[표 2] 조선왕조실록에 나타난 답호 20

[표 3] 조선시대 흉례복식으로 본 더그레 21

[표 4] 조선 전기 답호 25

[표 5] 제1기 답호 유물 26

[표 6] 제3기 답호 유물 29

[표 7] 답호의 시대별 형태변화 32

[표 8] 제1기 전복 유물 40

[표 9] 제2기 전복유물 43

[표 10] 제3기 전복 유물 45

[표 11] 제4기 전복 유물 46

[표 12] 제4기 동다리 유물 47

[표 13] 전복의 시대별 형태변화 48

[표 14] 호의의 시대별 형태변화 62

[표 15] 쾌자의 시대별 형태변화 78

[표 16] 궁중발기에서 본 더그레 83

[표 17] 더그레의 형태별 분류 (I) 90

[표 18] 더그레의 형태별 분류 (II) 91

[그림 1] 답호 (출처 :「モンゴル帝國」, p.15) 18

[그림 2] 문수사 답호 (출처 :「반비 원류와 변천에 관한 연구」,p.50) 23

[그림 3] 정응두 답호 (출처 :「한국복식」제11호(1998), p.68) 23

[그림 4] 탐릉군 답호 (출처 :「전주이씨묘출토복식조사보고서」,p.101) 27

[그림 5] 밀창군 답호 (출처 :「名選 中」,p.124) 27

[그림 6] 답호 (1771년) 「淡窩平生圖」 (출처 :「조선시대 음악풍속도1」,p.147) 28

[그림 7] 제4기 답호 (1894년) (출처 :「사진으로 보는 한국백년」,p.244) 30

[그림 8] 흥완군답호 (출처 :「문화재대관」2006, p.193) 30

[그림 9] 궁중 유물 전복 (출처 :「조선조 후기 왕실복식」,p.191) 31

[그림 10] 답호 「明廟朝瑞蔥臺試藝圖」(16세기중엽) (출처 :「조선시대음악풍속도 2」,p.274) 33

[그림 11]「英祖貞順后嘉禮都監儀軌班次圖」(1759년) (출처 :「조선왕조궁중복식의궤」,p.1) 33

[그림 12]「조선통신사행렬도」(1636년) (출처 :「朝鮮時代通信士行列」,p.122) 33

[그림 13] 개혁전아전 (출처 :「사진으로 보는 한국백년」,p.97) 33

[그림 14] 답호, 최초의도미사절단(1883) (출처 :「사진으로 보는 한국백년」,p.83, No.1) 34

[그림 15] 답호(1883) 한국통상조약기념연도 (출처 :「사진으로 보는 한국백년」,p.86, No.1) 34

[그림 16] 박영효 답호출처 :「사진으로 보는 한국백년」,p.89, No.9) 34

[그림 17] 조병식 답호 (출처 :「사진으로 보는 한국 백년」,p.91, No.3) 34

[그림 18] 高麗 銅鏡(출처 :「한국복식도감(II)」p.59) 35

[그림 19] 동다리(19세기추정) (출처 :「안동김씨분묘발굴조사보고서」,p.299) 46

[그림 20] 전복(16세기중엽) 「明廟朝瑞蔥臺試藝圖」(출처 :「조선시대음악풍속도2.」,p.274) 49

[그림 21] 전복(1711년) 「肅宗37年 朝鮮通信士行列圖」(출처 :「朝鮮時代通信士行列」,p.122) 49

[그림 22] 「二元耆老會圖」(1730년) (출처 :「조선시대음악풍속도1」, p.134) 49

[그림 23] 군복 (1724년) 「湛樂宴圖」(출처 :「조선시대음악풍속도1」,p.118) 49

[그림 24] 「豊山金氏世傳書畵帖」「단성연회도」(1725년) (출처 :「조선시대음악풍속도」,p.63) 50

[그림 25] 전복(1760년) 「釜山鎭死節圖」(출처 :「국보 10」,p.186) 50

[그림 26] 전복(1765년) 「濬川堂郞試射聯句帖」(출처 :「조선시대 궁중 기록화의 세계」,p.29) 50

[그림 27] 전복(1765년) 「英祖乙酉年授爵儀軌」(출처 :「조선시대음악풍속도2」,p.135) 50

[그림 28] 전복(1765) (출처 :「한국복식문화사전」,p.138) 51

[그림 29] 전복(1767) 「英廟朝舊闕進爵圖」(출처 :「조선시대음악풍속도 2」,p.274) 51

[그림 30] 전복(1795) 「園幸乙卯整理儀軌」(출처 :「조선왕조궁중의궤복식」,p.3) 51

[그림 31] 전복(1795) 「華成聖廟殿拜圖」(출처 :「조선시대 궁중기록화연」,(도72-3)) 51

[그림 32] 쾌자(1811) 「正裝服飾圖」(출처 :「朝鮮時代通信士行列」,p.366) 52

[그림 33] 쾌자(1811)「響應服飾圖」(출처 :「朝鮮時代通信士行列」,p.372) 52

[그림 34] 쾌자(1817년)「王世子入學圖帖」 제6장면「王世子受賀圖」(출처 :「조선시대 궁중기록화의 세계」,p.40) 52

[그림 35] 쾌자(19세기 이후) 「新官到任宴會圖」(출처 :「조선시대 궁중기록화의 세계」,p.95) 52

[그림 36] 전복(1901년)「辛丑進宴圖屛」(출처 :「조선시대궁중기록화연구」,(도87-2)) 53

[그림 37] 哲宗御眞(1850년) (출처 :「한국복식문화사」, p.204) 53

[그림 38] 전복(1875-1887년 추정)「大韓民國動駕圖」(출처 :「조선시대궁중기록화연구」,(도 4)) 53

[그림 39] 전복(1879년)「王世子痘候平復進賀契屛」(출처 :「조선시대궁중기록화연구」(도97-3)) 53

[그림 40] 호의 (출처 :「국역무예도보통지」,p.373) 54

[그림 41] 신라 衿幢制度 (출처 :「신라군제가 현대복제에 미친영향」,p.20-21) 56

[그림 42] 쾌자(1795년)「園行乙卯整理儀軌」(출처 :「조선시대궁중의궤복식」,p.3) 59

[그림 43] 호의(1879년)「王世子痘候平復進賀契屛」(출처 :「조선시대궁중기록화연구」,p.(도97-3)) 60

[그림 44] 호의(1901년)「辛丑進宴圖屛」(출처 :「조선시대 궁중기록화연구(도90-4)) 61

[그림 45] 호의(16세기중엽)「明廟朝瑞蔥臺試藝圖」(출처 :「조선시대기록화의 세계」, p.14) 63

[그림 46] 호의(1743년)「大射禮圖」(출처 :「조선시대 궁중기록화연구」(도49-3)) 63

[그림 47] 호의(1759년)「英祖貞順王后嘉禮都監儀軌」(출처 :「조선시대 궁중의궤복식」,p.1) 63

[그림 48] 호의(1771년)「淡窩平生圖」(출처 :「조선시대음악풍속도1」,p.147) 63

[그림 49] 호의(1795년)「華城陵行圖屛」제1첩「華城聖廟展拜圖」(출처 :「조선시대 궁중기록화연구」,(도69-17)) 64

[그림 50] 호의(1817년)「王世子入學圖帖」제1면「王世子出宮圖」(출처 :「조선시대궁중기록화연구」,(도56-1)) 64

[그림 51] 호의(1767년)「英廟朝舊闕進爵圖」(출처 :「조선시대음악풍속도2」,p.274) 64

[그림 52] 호의(1760년)「御前濬川」「水門上親臨觀役圖」(출처 :「조선시대궁중기록화연구」(도62-2)) 64

[그림 53] 호의(1829년)「己丑進饌圖屛」제1장면「明正殿進饌圖」(출처 :「조선시대궁중기록화연구」,(도78-3)) 65

[그림 54] 쾌자(1866년)「高宗明星王后嘉禮都監儀軌」(출처 :「조선왕조 궁중의궤복식」,p.48) 65

[그림 55] 호의(1802년)「純祖順元后嘉禮都監儀軌」(출처 :「순조순원후가례도감의궤 :下」,p.322) 65

[그림 56] 호의(1848년)「戊申進饌圖屛」「仁政殿進饌圖」(출처 :「조선시대궁중기록화연구」,(도83-1)) 65

[그림 57] 호의(1887년)「丁亥進饌圖屛」(출처 :「조선시대궁중기록화연구」(도86-1)) 65

[그림 58] 홍호의「憲宗孝貞后嘉禮都監儀軌」(1844년)(출처 :「조선왕조궁중의궤복식」) 66

[그림 59] 청호의「憲宗孝貞后嘉禮都監儀軌」(1844년)(출처 :「조선왕조궁중의궤복식」) 66

[그림 60] 호의(左)와 쾌자(右)「憲宗孝貞后嘉禮都監儀軌」(출처 :「조선왕조궁중의궤복식」) 66

[그림 61] 청호의「哲宗哲人后嘉禮都監儀軌」(1851년)(출처 :「조선왕조궁중의궤복식」,p.42) 66

[그림 62] 황호의「哲宗哲人后嘉禮都監儀軌」(1851년)(출처 :「조선왕조궁중의궤복식」,p.42) 66

[그림 63] 백호의「哲宗哲人后嘉禮都監儀軌」(1851년)(출처 :「조선왕조궁중의궤복식」,p.42) 66

[그림 64] 쾌자「成均館親臨講論圖」(19세기후반) (출처 :「조선시대 궁중 기록화의 세계」,p.33) 67

[그림 65] 청호의「動駕圖」(1875-1887추정) (출처 :「조선시대 궁중기록화연구도」,(도83-1)) 67

[그림 66] 의장기수「大韓帝國動駕圖」(1875- 1887년대 추정)(출처 :「한국복식사론」,p.235) 67

[그림 67] 훈련병포수「大韓帝國動駕圖」(1875- 1887년대 추정)(출처 :「한국복식사론」,p.235) 67

[그림 68] 朝掛 (출처 :「Origin of Art of Chinese National Costume」,p.429) 68

[그림 69] 灰色掛子(1829년)「戊子進爵儀軌」, 高句麗舞 (출처 :「조선후기 궁중연향문화, 권2, p.326」 69

[그림 70] 劍器舞(1795년)「園幸乙卯整理儀軌」(출처 :「조선후기궁중연향문화」,권2.p.306) 73

[그림 71] 「四季風俗圖屛」(출처 :「조선시대음악 풍속도 2」,p.148) 74

[그림 72] 「舞童」(출처 :「한국미술오백년」,p.145) 79

[그림 73] 「法庭辨訟圖」(출처 :「한국의 민속」,p.39) 79

[그림 74] 괘자(19세기)「平壤監司饗宴圖」(출처 :「조선시대음악풍속도2」,p.21) 79

[그림 75] 「탈춤」(19세기)「箕山風俗畵帖」,김준근 (출처 :「프랑스 국립 기메동양박물관 소장문화재」,p.120) 79

[그림 76] 「쌍검대무」(출처 :「조선시대 풍속화, p.162) 79

[그림 77] 쾌자(1771년)「淡窩平生圖」(출처 :「조선시대음악풍속도」, p.147) 80

[그림 78] 쾌자(1786년)「安陵新迎圖」(출처 :「조선시대음악풍속도2」,p.40-41) 80

[그림 79] 쾌자(1811년)「正裝服飾圖」(출처 :「조선통신사도록」,p.372) 80

[그림 80] 쾌자(1802년)「純祖順元王后嘉禮都監儀軌」(출처 :「순조순원후가례도감의궤 : 下」p.322) 80

[그림 81] 전복(1829년)「純祖己丑進饌圖屛」제1장면「明政殿進饌圖」(출처 :「조선시대 궁중기록화연구」,(도78-1)) 80

[그림 82] 草綠掛子(1887)「丁亥進饌儀軌」(출처 :「조선후기 궁중연향문화」,권2,p.370) 81

[그림 83] 鴉靑掛子(1892)「壬辰進饌儀軌」(출처 :「조선후기 궁중연향문화」,권2,p.336) 81

[그림 84] 草綠掛子(1892)「壬辰進饌儀軌」(출처 :「조선후기 궁중연향문화」,권2,p.336) 81

[그림 85] 紫的絲掛子(1829)「純祖己丑進饌儀軌」(출처 :「純祖己丑進饌儀軌, 上」,p.113) 81

[그림 86] 紫的掛子(1848)「戊申進饌儀軌」(출처 :「조선후기 궁중연향문화」,권2,p.348) 81

[그림 87] 鴉靑掛子(1877)「丁丑進饌儀軌」(출처 :「조선후기 궁중연향문화」,권2, p.362) 81

[그림 88] 청색쾌자(1848년)「戊申進饌圖屛」(출처 :「조선시대궁중기록화연구」,도83-13) 82

[그림 89] 쾌자(1902년)「壬寅進宴圖屛」제4장면「中和殿進宴圖」(출처 :「조선시대궁중기록화연구」,(도91-9)) 82

[그림 90] 전복(左)과 쾌자(右)(1901년)「辛丑進宴圖屛」제1장면「咸寧殿進宴圖」(출처 :「조선시대궁중기록화연구」,(도90-4)) 82

권호기사보기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