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표제지
감사의 글
목차
국문요약 12
제1장 서론 15
제1절 연구 목적 15
제2절 연구의 범위와 방법 18
제3절 기존연구의 검토 23
제2장 정훈교육의 역사적·이론적 배경 27
제1절 정훈교육의 본질 27
1. 정훈교육의 역사적 배경 27
가. '정훈'의 유래와 의미 27
나. 정훈교육개념의 변천 30
2. 정훈교육의 목표와 특성 39
3. 정훈교육의 체계 43
제2절 정신전력이론과 정훈교육 45
1. 정신전력의 개념 45
2. 정신전력의 구성요소 46
3. 정신전력 육성체계 48
4. 정신전력체계에서의 정훈교육 52
제3절 정훈교육과 유사용어의 관계 54
1. 유사용어의 개념 54
가. 군 정신교육 54
나. 국민정신교육 58
다. 정치교육 61
2. 정훈교육과 유사용어의 관계 64
제3장 건국 전후기의 정훈교육 68
제1절 정부수립 이전 69
1. 시대 상황 69
2. 정훈교육 내용 73
3. 정훈교육과 시대상황의 관계 79
제2절 이승만 정부 81
1. 시대 상황 81
2. 정훈교육 내용 83
3. 변화내용 분석 97
제3절 장면 정부 103
1. 시대 상황 103
2. 정훈교육 내용 105
3. 변화내용 분석 108
제4장 권위주의기의 정훈교육 111
제1절 박정희 정부 112
1. 시대 상황 112
2. 정훈교육 내용 117
3. 변화내용 분석 131
제2절 최규하 정부 138
1. 시대 상황 138
2. 정훈교육 내용 140
3. 변화내용 분석 143
제3절 전두환 정부 146
1. 시대 상황 146
2. 정훈교육 내용 149
3. 변화내용 분석 154
제5장 민주화기의 정훈교육 159
제1절 노태우 정부 159
1. 시대 상황 159
2. 정훈교육 내용 163
3. 변화내용 분석 168
제2절 김영삼 정부 172
1. 시대 상황 172
2. 정훈교육 내용 175
3. 변화내용 분석 182
제3절 김대중 정부 187
1. 시대 상황 187
2. 정훈교육 내용 189
3. 변화내용 분석 196
제4절 노무현 정부 200
1. 시대 상황 200
2. 정훈교육 내용 203
3. 변화내용 분석 207
제6장 정훈교육 변화 분석 212
제1절 정훈교육내용의 변화추세 213
1. 시기별 변화 추세 213
2. 내용별 변화추세 218
3. 기본교재편성의 변화 235
4. 정신교육의 날 운영의 변화 241
5. 지속과 변화의 시사점 244
제2절 정훈교육의 변화 요인 251
1. 변화내용의 분석 251
2. 변화요인의 분석 253
제7장 결론 259
참고문헌 266
ABSTRACT 279
〈그림 1-1〉 분석의 틀 21
〈그림 2-1〉 정훈교육의 분류(1960년대) 32
〈그림 2-2〉 정훈교육 체계도 44
〈그림 2-3〉 정신전력 체계도 49
〈그림 2-4〉 정신전력 육성체계 51
〈그림 4-1〉 『국군정신교육교본』의 내용체계 150
〈그림 5-1〉 『정신교육 기본교재』의 내용 체계 165
〈그림 5-2〉 『국군정신교육교본』의 내용체계 177
〈그림 5-3〉 『국군정신교육기본교재』의 내용체계 191
〈그림 5-4〉 『정신교육교재』 내용 체계 204
한국군의 정훈교육은 대한민국임시정부의 광복군으로부터 오늘에 이르기까지 많은 변화를 거듭하면서 군의 정신전력 육성은 물론, 국민정신교육에도 크게 기여해 왔다. 그러나 이처럼 오랜 역사를 지니고 있으면서도 정훈 교육에 대한 개념이 명료하게 일반화되지 못한 가운데 정권이 바뀌거나 국내외적으로 시대상황이 변화될 때마다 정훈교육의 내용도 함께 변화를 가져왔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점에 문제의식을 가지고 '정훈교육의 변화과정'을 고찰함에 있어 다음과 같은 네 가지의 질문에 대한 해답을 찾는데 목적을 두고 연구를 진행하였다. 첫째, 정훈교육의 본질(정체성)은 무엇인가? 둘째, 각 정부시기별로 어떤 내용의 정훈교육이 이루어졌는가? 셋째, 지속된 내용과 변화된 내용은 무엇인가? 넷째, 정훈교육의 변화를 가져오게 하는 요인은 무엇인가? 이러한 의문을 해결하여 미래지향적 정훈정책수립에 기여코자 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의 구체적인 목적은 첫째, 각 시기별·내용별로 정훈교육의 변화추세를 분석한다. 둘째, 각 시기별로 변화의 내용을 분석하여 정훈 교육의 변화요인을 규명하는데 있다.
이러한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연구범위와 방법은 정훈활동이 처음 시작된 임시정부의 광복군(1940.9)으로부터 노무현 정부에 이르기까지(2008.2) 각 정부시기별로 정훈교육의 주요 내용을 고찰한 다음, 이전시기와의 차이점, 즉 변화내용을 도출하고, 도출된 변화의 내용을 당시의 시대적 배경과 상관관계분석을 통하여 그렇게 변화를 가져오게 한 요인이 무엇인가를 밝혀내었다.
본 논문에서 적용한 '변화'(이전시기와의 차이점)의 개념은 ① 정훈교육 기본교재의 내용이 개편된 경우, ② 이전에 없었던 내용(주제)이 추가된 경우 ③ 추가 또는 기존의 내용이 이전시기보다 특히 강화된 경우, ④ 기존의 교육 내용이 소멸된 경우로 설정하였다. 변화요인 분석대상 주제는 위에서 제시한 ① ② ③의 경우에서 도출된 주제 중에 특히 강조되었거나 특징이 있는 주제를 선정하여 분석대상으로 하고, ④의 경우는 시대상황의 변화에 따라 교육의 필요성이 약화 또는 소멸된 것으로 간주하여 분석대상에서 제외하였다. 이상과 같은 연구목적과 방법을 통하여 연구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정훈교육의 개념'은 시대상황에 따라 변화되어 왔으며, '정훈'이라는 용어상의 의미와 실제교육의 목표 간에는 상당한 괴리(乖離)가 있어 유사용어와의 혼란을 초래하고, 이는 정훈교육의 정체성확립에 장애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둘째, 정훈교육은 각 정부시기별로 주제의 변화뿐만 아니라 주제별 세부 내용도 변화추세를 보이고 있으며, 정치·경제적 상황, 통치이념, 남북한 관계, 정훈정책 등이 정훈교육의 변화요인으로 작용하였다.
셋째, 정훈교육의 내용은 시대상황과 밀접한 상관관계가 있으며, 정치·경제적 상황이 정훈교육의 변화를 가져오게 하는 가장 큰 요인이었다.
넷째, 각 정권별로 정도의 차이는 있으나 정훈교육에 정치교육이 계속 반영되었으며, 권위주의 시기의 정권이 민주화시기의 정권보다 통치이념, 지도자상 부각 등 공공연하게 더 많은 정치교육을 실시하였다.
다섯째, 정훈교육 기본교재의 개편주기는 정권교체와 상관관계가 있으며, 통치이념이 정훈교육 변화요인의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는 것이다.
본 연구결과가 시사하는 바는 첫째, 정훈교육의 개념을 명확하게 규정하고, 개념에 부합되는 명칭과 교육체계 재정립의 필요성을 제기하는 것이다. 둘째, 정훈교육이 정치교육으로 변질되지 않도록 전문성과 정체성 확립이 요구됨을 지적한다. 셋째, 정훈교육 변천과정과 변화요인 분석 자료는 향후 정훈교육 발전을 위한 연구와 정책방향을 결정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