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표제지

목차

논문요약 6

I. 서론 9

1. 연구의 필요성 9

2. 연구의 목적 13

3. 연구의 구성 15

II. 이론적 배경 18

1. 인터널마케팅 18

(1) 인터널마케팅의 개념 18

(2) 인터널마케팅의 정의 20

(3) 인터널마케팅의 목적 23

(4) 인터널마케팅의 구성요인 24

2. 직무 만족도 28

(1) 직무 만족도의 개념 28

(2) 직무 만족도의 정의 31

(3) 직무 만족도의 구성요인 36

3. 인터널브랜딩 39

(1) 인터널브랜딩의 개념 39

(2) 인터널브랜딩의 정의 41

(3) 인터널브랜딩의 실행 요소 44

4. 브랜드 내재 47

5. 고객 지향성 50

(1) 고객 지향성의 개념 50

(2) 고객 지향성의 정의 53

(3) 고객 지향성의 구성 요소 57

III. 연구 방법 59

1. 연구 모형 59

2. 연구 대상 62

3. 연구 문제 64

(1) 〈Study 1〉 인터널마케팅 활동과 인터널브랜딩 활동 변수간 관계 검증 64

(2) 〈Study 2〉 고객 지향성의 효과적 강화 방안 연구 69

4. 실증 연구 설계 70

(1) 변수의 조작적 정의 70

(2) 조사 절차 73

(3) 표본 선정 및 자료 수집 74

(4) 설문지 구성 및 분석 방법 75

IV. 결과 및 해석 78

1. 표본의 인구 통계학적 특성 78

2. 신뢰도 분석 81

3. 〈Study 1〉에 대한 결과 분석 82

(1) 인터널마케팅 활동과 고객 지향성간의 가설 검증 83

(2) 인터널브랜딩 활동과 고객 지향성간의 가설 검증 84

(3) 직무 특성별 비교 (대내 조직과 대외 조직 비교) 85

4. 〈Study 2〉에 대한 결과 분석 91

V. 논의 및 결론 96

1. 연구 요약 및 시사점 96

2. 연구의 한계점 및 향후 연구 방향 98

참고문헌 100

부록 : 인터널마케팅, 인터널브랜딩, 고객 지향성 조사 설문지 111

ABSTRACT 120

표목차

〈표 2-1〉 통합 마케팅의 개념 19

〈표 2-2〉 인터널마케팅의 과정 24

〈표 2-3〉 선행 연구를 통합 직무 만족의 정의 (국내연구) 34

〈표 2-4〉 선행 연구를 통한 직무 만족의 정의 (해외연구) 35

〈표 2-5〉 직무 만족의 구성 요소 선행 연구 38

〈표 2-6〉 인터널브랜딩 용어 42

〈표 2-7〉 인터널브랜딩의 정의 43

〈표 2-8〉 브랜드 내재의 차원 48

〈표 2-9〉 선행 연구에 따른 고객 지향성의 정의 56

〈표 3-1〉 인터널마케팅 및 브랜딩 관련 학위논문 및 학술기사 현황 68

〈표 3-2〉 조직별 설문지 배포 및 회수 현황 75

〈표 3-3〉 설문지 구성 76

〈표 3-4〉 변수별 통계 분석 방법 77

〈표 4-1〉 설문 참여자의 인구 통계학적 특성 80

〈표 4-2〉 측정 항목별 신뢰성 분석 결과 81

〈표 4-3〉 가설 H1 경로 분석 검증 결과 83

〈표 4-4〉 가설 H2 경로 분석 검증 결과 85

〈표 4-5〉 가설 H3-1 경로 분석 검증 결과 86

〈표 4-6〉 가설 H3-2 경로 분석 검증 결과 86

〈표 4-7〉 연구문제 1: 직무 만족도 회귀분석 결과 92

〈표 4-8〉 연구문제 2: 브랜드 내재의 회귀분석 결과 93

〈표 4-9〉 연구문제 3: 대내/대외 조직의 직무 만족도 회귀분석 결과 94

〈표 4-10〉 연구문제 4: 대내/대외 조직의 브랜드 내재 회귀분석 결과 95

그림목차

〈그림 1-1〉 연구의 구성 흐름도 17

〈그림 2-1〉 직무 만족 결정 요인 모델 30

〈그림 2-2〉 The Brand Model 41

〈그림 2-3〉 인터널브랜딩의 기본적 흐름 46

〈그림 3-1〉 Study 1의 모형 60

〈그림 3-2〉 Study 2의 모형 61

〈그림 3-3〉 업무 특성에 따른 대내 조직과 대외 조직 분류 63

〈그림 3-4〉 실증 연구 조사 절차 74

〈그림 4-1〉 인터널마케팅 및 인터널브랜딩 변수간 영향력 비교 87

〈그림 4-2〉 대내, 대외 조직의 변수간 영향력 비교 88

〈그림 4-3〉 Study 1의 경로 분석 결과 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