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표제지
국문초록
목차
I. 서론 12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2
2. 연구 문제 17
II. 이론적 배경 18
1. 선행 연구 검토 18
2. 이론적 배경 23
1) 문학과 독서 23
2) 독서 워크숍 26
(1) 독서 워크숍의 개념 26
(2) 독서 워크숍의 핵심 구성 요소 27
(3) 독서 워크숍의 진행 절차 29
(4) 독서 워크숍의 운용 방법 31
3) 소셜 네트워크서비스(SNS)와 소셜 러닝 34
4) 페이스북 38
(1) 페이스북의 일반적인 특징 38
(2) 페이스북의 교육적 활용 40
III. 연구 방법 45
1. 연구 대상 및 기간 45
2. 연구 설계 및 절차 46
3. 검사 도구 47
4. 학습 제재의 선정 49
5. 활동 일지 제작 원리 49
6. 페이스북 설계 54
IV. 소셜 러닝을 적용한 소설 읽기 워크숍의 실제 및 연구 결과 59
1. 차시별 교수 학습 계획 59
2. 교수-학습 과정 60
1) 1단계 : 소설 읽기 워크숍에 대한 안내 및 동기유발 60
2) 2단계 : 모둠구성 61
3) 3단계 : 간이 수업과 활동 일지 과제 제시 61
4) 4단계 : 읽기 활동과 활동 일지 작성 62
5) 5단계 : 모둠 과제 제시하기와 모둠 토의, 페이스북 토의 활동 62
6) 6단계 : 발표 활동 및 교사의 정리 63
3. 교수-학습 활동 결과 65
1) 활동 일지 작성 학생 예시 결과물 65
2) 페이스북 토론 활동 분석 68
4. 연구 결과 및 해석 79
1) 프로그램의 적절성 79
2) 프로그램 운영의 적절성 83
3) 프로그램의 정의적 효과 88
4) 프로그램의 인지적 효과 91
5. 소셜 러닝을 접목한 소설 읽기 워크숍 지도 절차 및 교수 전략 95
V. 결론 102
참고문헌 106
부록 109
〈부록 1〉 간이 수업 자료 및 활동 일지 109
〈부록 2〉 사전 검사지 116
〈부록 3〉 프로그램의 적절성 평가 설문지 120
ABSTRACT 122
[그림III-1] 페이지 개설 시작 화면 55
[그림III-2] 정보 입력하는 화면 55
[그림III-3] 개설된 페이스북 페이지 56
[그림III-4] 탭관리, 앱 더 찾기 화면 56
[그림III-5] "TOP FANS" 어플리케이션 학습자별 순위 화면 57
[그림III-6] 페이지 인사이트 화면 58
[그림IV-1] 개인 활동 일지 작성물 1 65
[그림IV-2] 개인 활동 일지 작성물 2 66
[그림IV-3] '운수 좋은 날' 줄거리 요약 활동 68
[그림IV-4] '운수 좋은 날' 줄거리 요약 활동 (반 전체 참여) 70
[그림IV-5] '메밀꽃 필 무렵' 배경의 역할 토의 장면 71
[그림IV-6] '운수 좋은 날'에서 배경을 알 수 있는 말 찾기 활동 73
[그림IV-7] '운수좋은 날' 비평적 이해 활동 - 제목 적절성 판단 활동 75
[그림IV-8] '메밀꽃 필 무렵' 비평적 이해 - 삽화 그리기 활동 76
[그림IV-9] 토론 질문 만들기 활동 - 수업 시간 외 활동 77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