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자료 카테고리

전체 1
도서자료 0
학위논문 1
연속간행물·학술기사 0
멀티미디어 0
동영상 0
국회자료 0
특화자료 0

도서 앰블럼

전체 (0)
일반도서 (0)
E-BOOK (0)
고서 (0)
세미나자료 (0)
웹자료 (0)
전체 (1)
학위논문 (1)
전체 (0)
국내기사 (0)
국외기사 (0)
학술지·잡지 (0)
신문 (0)
전자저널 (0)
전체 (0)
오디오자료 (0)
전자매체 (0)
마이크로폼자료 (0)
지도/기타자료 (0)
전체 (0)
동영상자료 (0)
전체 (0)
외국법률번역DB (0)
국회회의록 (0)
국회의안정보 (0)
전체 (0)
표·그림DB (0)
지식공유 (0)

도서 앰블럼

전체 1
국내공공정책정보
국외공공정책정보
국회자료
전체 ()
정부기관 ()
지방자치단체 ()
공공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정부기관 ()
의회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국회의원정책자료 ()
입법기관자료 ()

검색결과

검색결과 (전체 1건)

검색결과제한

열기
논문명/저자명
신입사원의 조직 동일시, 직무소명의식, 직무만족, 직무성과의 구조적 관계 / 김광태 인기도
발행사항
서울 : 중앙대학교 글로벌인적자원개발대학원, 2017.2
청구기호
TM 658.3 -17-29
형태사항
iv, 81 p. ; 26 cm
자료실
전자자료
제어번호
KDMT1201717576
주기사항
학위논문(석사) -- 중앙대학교 글로벌인적자원개발대학원, 인적자원개발학과, 2017.2. 지도교수: 송해덕
원문

목차보기더보기

표제지

목차

I. 서론 8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8

B. 연구 문제 14

C. 용어의 정의 14

II. 이론적 배경 17

A. 신입사원 17

1. 신입사원의 정의 17

2. 신입사원의 특성 19

B. 직무만족과 직무성과 19

1. 직무만족의 개념 19

2. 직무성과의 개념 20

3. 직무만족과 직무성과 간의 관계 22

C. 조직 동일시 23

1. 조직 동일시의 개념 23

2. 조직 동일시의 구성요인 24

D. 직무소명의식 25

1. 직무소명의식의 개념 25

2. 직무소명의식의 구성요인 27

3. 직무소명의식 관련 선행연구 정리 28

E. 연구변인들 간의 관계 30

1. 조직 동일시와 직무만족, 직무성과 30

2. 직무소명의식과 직무만족, 직무성과 31

3. 조직 동일시와 직무소명의식 32

III. 연구 방법 34

A. 연구모형 및 가설 34

B. 연구대상 및 자료수집 35

1. 연구대상의 선정 35

C. 측정도구 38

1. 직무만족 39

2. 직무성과 39

3. 조직 동일시 39

4. 직무소명의식 40

D. 측정도구의 타당성 및 신뢰도 검증 40

1. 확인적 요인분석 및 신뢰도 검증 40

2. 모형 적합도 검증 43

E. 자료 분석 방법 44

IV. 연구 결과 46

A. 기술통계 및 상관관계 분석 46

1. 기술통계 분석 결과 46

2. 상관관계 분석 결과 47

B. 가설검증 분석 48

1. 연구모형 검증 48

2. 매개효과 가설검증 52

3. 변인 간 직·간접효과 및 총 효과 분석 53

4. 연구가설 검증 요약 53

V. 결론 55

A. 요약 55

B. 논의 57

C. 제언 61

참고문헌 63

부록 80

국문초록 84

Abstract 86

〈표 II-1〉 국내 신입사원 관련 연구동향 18

〈표 II-2〉 직무소명의식 하위요인 개념정의 28

〈표 II-3〉 국내 소명의식 관련 연구동향 29

〈표 III-1〉 설문 응답자의 인구통계학적 특성 36

〈표 III-2〉 측정도구의 구성 및 출처 38

〈표 III-3〉 확인적 요인분석 결과 및 신뢰도 검증결과 41

〈표 III-4〉 측정모델의 타당성 평가 결과 43

〈표 III-5〉 모형 적합도 평가지표 기준 및 평가 결과 44

〈표 III-6〉 분석 절차와 방법 45

〈표 IV-1〉 변인 별 기술 통계 분석 결과 46

〈표 IV-2〉 변인 별 상관관계 분석 결과 47

〈표 IV-3〉 연구모형의 경로분석 결과 49

〈표 IV-4〉 수정된 연구모형1의 경로분석 결과 49

〈표 IV-5〉 수정된 연구모형2의 경로분석 결과 50

〈표 IV-6〉 모형 적합도 비교 50

〈표 IV-7〉 직무소명의식의 간접효과 검증-Two Tailed Significance (BC) 52

〈표 IV-8〉 연구모형의 직·간접효과 및 총 효과(표준화) 53

〈표 IV-9〉 가설검증 분석결과 54

[그림 III-1] 연구모형 34

[그림 IV-1] 연구모형 검증 결과(표준화) 48

[그림 IV-2] 수정된 연구모형2 검증 결과 51

초록보기 더보기

 본 연구는 대기업 신입사원을 대상으로 조직 동일시 수준이 직무만족과 직무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 이 관계에서 직무소명의식이 매개역할을 하는지 확인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통해 최근 문제시 되고 있는 신입사원의 조기퇴사를 낮추고, 직무에 대한 만족과 더불어 조기에 성과를 달성할 수 있도록 돕는 실질적인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목적 달성을 위해 다음과 같이 연구가설을 설정하였다. 첫째, 대기업 신입사원의 조직 동일시 수준이 직무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칠 것이다. 둘째, 대기업 신입사원의 조직 동일시 수준이 직무성과에 유의한 영향을 미칠 것이다. 셋째, 직무소명의식은 조직 동일시와 직무만족 간의 관계에 있어 매개역할을 할 것이다. 넷째, 직무소명의식은 조직 동일시와 직무성과 간의 관계에 있어 매개역할을 할 것이다.

이상의 연구 가설을 바탕으로, 대기업 신입사원을 대상으로 2016년 10월 19일부터 11월 2일까지 온라인 설문을 실시하였다. 설문지는 총 231부 배포하여, 이 중 불성실하게 응답한 설문지 11부를 제외하고 220부를 분석에 활용하였다. 연구결과 분석을 위해 SPSS 23.0과 AMOS 20.1을 사용하였으며, 응답자의 인구통계학적 특성 분석을 위한 빈도분석, 정규성(왜도, 첨도) 분석, 상관관계 분석, 신뢰도 검증, 확인적 요인분석, 타당성 검증, 구조방정식 모형 분석을 실시하였고, 마지막으로 부트스트래핑 방식을 통한 매개효과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기업 신입사원의 조직 동일시가 직무만족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대기업 신입사원의 조직 동일시가 직무성과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대기업 신입사원의 조직 동일시와 직무만족 간의 관계에서 직무소명의식이 완전매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대기업 신입사원의 조직 동일시와 직무성과 간의 관계에서 직무소명의식이 완전매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통해 확인 할 수 있는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는 최근 사회문제로 부각되고 있는 신입사원의 직무 불만족으로 인한 조기 퇴사를 낮추고, 신입사원이 조직에서 요구하는 성과 수준을 빠르게 달성할 수 있도록 돕는 실질적인 해결방안을 제시한다. 둘째, 그동안 국내에서 이루어진 소명의식 관련 연구가 특정 분야 종사자나 일반 직장인 대상으로 이루어졌던 것과는 다르게, 본 연구는 대기업 신입사원을 대상으로 실시되었다. 셋째, 그동안 신입사원 대상의 인사관리에 있어 조명 받지 못하던 직무소명의식이 직무 관련 변인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여 직무소명의식의 중요성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향후 신입사원 대상의 교육 및 인사관리제도를 수립하는 경우, 직무소명의식을 고려하는 것이 필요하다.

권호기사보기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