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표제지

국문초록

목차

I. 서론 8

1.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8

2. 이론적 배경 12

3. 연구문제 및 가설 30

II. 연구방법 31

1. 연구대상 31

2. 연구절차 32

3. 측정도구 33

4. 자료 분석 37

III. 결과 38

IV. 논의 52

참고문헌 57

부록 68

부록 1. 내현적 자기애 척도(Covert Narcissism Sclae: CNS) 69

부록 2. 내면화된 수치심 척도(Internalized Shame Scale: ISS) 72

부록 3. 한국판 역학연구센터 우울 척도(The Center for Epidemiological Studies - Depression Scale : CES- D) 74

부록 4. 한국판 자기자비 척도(Korean Version of Self–compassion Scales: K-SCS) 75

ABSTRACT 77

연구 윤리 서약서 79

표목차

표 1. 연구 참여자의 인구통계학적 특성 31

표 2. 내현적 자기애 척도의 하위 요인별 문항 구성 및 신뢰도 33

표 3. 우울 척도의 하위 요인별 문항 구성 및 신뢰도 34

표 4. 내면화된 수치심 척도의 하위 요인별 문항 구성 및 신뢰도 35

표 5. 자기자비 척도의 하위 요인별 문항 구성 및 신뢰도 36

표 6. 주요 변인들의 기술통계 38

표 7. 주요 변인들의 상관분석 40

표 8. 내면화된 수치심의 매개효과 41

표 9. 매개효과 유의성검증 Bootstrapping 43

표 10. 자기자비의 조절된 매개효과 지수와 유의성 검증 44

표 11. 자기자비로 조절된 내면화된 수치심의 매개효과 45

표 12. 자기자비의 수준에 따른 조건부효과의 크기 및 유의성 46

표 13. 자기자비의 조절효과 유의성 영역 49

표 14. 자기자비의 수준에 따른 조건부 간접효과의 크기 및 유의성 50

그림목차

그림 1. 자기자비의 조절된 매개효과 연구모형 30

그림 2. 내면화된 수치심의 매개모형의 비표준화 계수 43

그림 3. 자기자비의 조절효과 47

그림 4. 자기자비로 조절된 내면화된 수치심의 매개효과 5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