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목차

중소기업 직장 여성의 갈등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 남궁은정 ; 신성진 ; 허경호 1

[요약] 1

1. 서론 및 배경 2

2. 문헌 연구 4

1) 직장 여성과 갈등 4

2) 조직과 갈등 경험 6

3. 연구 방법 10

1) 현상학적 연구 방법과 갈등 연구 10

2) 현상학적 연구 방법의 절차 11

3) 조사 방법 13

4. 결과: 직장 여성들의 갈등 경험하기 16

1) 갈등의 내용 16

2) 갈등에 대한 태도 21

3) 갈등 대처 스타일 26

5. 논의 및 향후 연구를 위한 제언 31

| 참고문헌 41

Abstracts 47

초록보기

직장 생활을 하는 여성들이 점점 늘어나고 있다. 그러나 직장 여성들에 대한 담론은 부족한

편이며, 성과 중심이나 불평등과 같은 편중된 시각이 대부분이다. 여성들의 갈등 경험은

직장 내에서 발생할 수 있는 상호작용의 다양한 측면을 내포하고 있기 때문에 여성들이

처해있는 직장 생활의 현실을 여실히 보여줄 수 있는 좋은 사례이다.

또한 이 연구는 갈등 연구에 적합한 연구 방법의 하나로 현상학적 연구를 제안하고 있다.

기존의 커뮤니케이션을 중심으로 한 갈등 연구들이 갈등대처유형과 같은 변인을 밝히는데

치중하였다는 한계를 가지기 때문이다. 갈등은 무엇보다 맥락에 상당 부분 의존하며, 역동적

인 상호작용 속에서 이뤄지기 때문에 구체적이며 총체적인 해석이 무엇보다 필요하다.

이러한 관점에서, 본 논문에서는 여성들이 직장 내에서 겪고 있는 갈등 경험을 현상학적

연구방법으로 연구하였다. 그 결과, 다음의 여덟 가지 주제를 확인할 수 있었다. 첫 번째

주제는 ‘불합리한 상황’, 두 번째 주제는 ‘위계적 질서’이다. 세 번째 주제는 ‘갈등에 대한

부정적인 생각’이며, 네 번째 주제는 ‘여자와 남자의 차이 인식’, 다섯 번째 주제는 ‘관계의

문제를 중시함’으로 나타났다. 여섯 번째 주제는 ‘소극적 대처 행동’이며, 일곱 번째 주제는

‘공격적인 대응’, 마지막 여덟 번째 주제는 ‘적극적으로 갈등에 대처’였다. 아울러 이 같은

결과가 갖는 함의와 향후 연구를 위한 제언이 제시되었다.

This study examined the case of women’s conflict experience in small

and medium size enterprises. Although the number of women working in

business organizations is rapidly growing in Korea, discourse about them

is still scarce. Some discourse about them focuses only on the productivity

and inequality aspects within the organizations. Therefore, we need to examine

their organizational lives through a more dynamic and performance based

perspective. Especially, because conflicts experience by women within business

organizations involve a variety of organizational interactions, they reveal the

vivid reality with which working women face today.

The existing conflict research studies focused on communication or interpersonal

relationship are limited by the fact that they have primarily dealt

with the variables such as conflict management styles. However, conflict research

needs a more specific and wholistic interpretation because conflicts

usually depend on their contexts and interaction dynamics. Therefore, the

phenomenological methodology was employed as a more appropriate method for the current conflict study.

Results shows that the two themes were identified regarding the conflict

content. The first and second themes were the unfair situations and the hierarchical

rank respectively. The three themes were identified regarding the

attitudes about conflicts. They were the passive stance toward conflicts, the

recognition of the gender difference, and the acknowledgement of the importance

of the relational aspect respectively. Finally, three more themes were

identified regarding the conflict management styles. The first, second and

third themes were the passive responding, the aggressive responding and

the positive conflict management respectively. In addition, the implications

of the results and the suggestions for future studies were made.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근대 민족주의의 형성과 개화기 출판 채 백 pp.7-40

보기
중요한 사회적 의제(MIP)에 대한 공적 합의 하승태 ; 조의현 pp.41-74

보기
화폐읽기 :화폐의 의미작용과 가치 원용진 ;홍성일 pp.75-107

보기
언론의 파수견 개념의 발전과 적용 :한국 판례분석을 중심으로 이재진 pp.108-144

보기
인터넷 이용에 따른 생활시간 패턴의 변화 :2000년, 2005년 생활시간 조사를 활용한 통시적 분석 강남준 ;이재현 ;오현경 pp.145-180

보기
지역신문의 지역 관련 보도 비중에 미치는 요인 조영신 pp.181-199

보기
케이블TV에 나타난 폭력성 연구 :폭력의 맥락화를 중심으로 하승태 ;김창숙 ;유성훈 pp.200-231

보기
언론의 정치 성향과 프레임 :'이해찬 골프'와 '최연희 성추행' 사건의 보도를 중심으로 김정아 ;채 백 pp.232-267

보기
공영방송의 '설명책임'에 관한 연구 :NHK의 '개혁재생사업'을 중심으로 안창현 pp.268-302

보기
대학생들의 미국 텔레비전 드라마에 대한 시청동기 및 만족도 연구 :한국 텔레비전 드라마의 비교를 중심으로 임양준 pp.303-336

보기
중소기업 직장 여성의 갈등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남궁은정 ;신성진 ;허경호 pp.337-384

보기

참고문헌 (54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가영희, (2002) 성인의 직장-가정 갈등이 영역별 만족도와 주관적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미소장
2 강혜련, (2000) 성취동기와 가족친화제도가 기혼 여성의 직장-가정 갈등과 경력몰입에 미치는 조절변인의 효과, 한국심리학회지 미소장
3 강혜련, (2001) 기혼여성 가정-가정 갈등의 예측변수와 결과변수에 관한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미소장
4 고종욱, (2001) 직무 스트레스와 종업원 태도간의 관계에서 감성적 성향의 역할, 경영학연구 미소장
5 고영건, (2007) 인디언 기우제(개정판), 정신세계원 미소장
6 권종욱, (2006) 역할모호성과 역할갈등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Hofstede 문화모형을 활용한 국가간 분석, 국제경영연구 미소장
7 김경수, (1998) 개인과 조직의 일치: 인턴사원 제도가 조직구성원의 사회화와 작업결과에 미치는 효과, 경영학연구 미소장
8 김범성, (2005) 경영자의 갈등관리유형과 경영성과에 관한 연구, 한국인적자원관리학회 미소장
9 김병석, (1996) 성격과 갈등관리를 통한 공공조직 내 팀윅 개발에 관한 실증적 연구, 인간관계학보 미소장
10 김분한, (1999) 현상학적 연구방법의 비교고찰-Giorgi, Colaizzi, Van Kaam방법을 중심으로, 대한간호학회지 미소장
11 김세연, (2005) 커뮤니케이션 능력이 갈등해결전략과 매체이용에 미치는 영향-청소년기 교우 관계를 중심으로, 미소장
12 김승현, (2004) 여성 직장인의 조직 내 정체성 형성 과정에 관한 연구-중소기업 직장인의 경험을 중심으로, 미소장
13 김양하, (2004) 도덕적 정서로서의 화(火) 분석: 남·여 성차를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 연차학술발표대회 논문집 미소장
14 김웅태, (2007) 조직 내 갈등이 정보시스템 품질과 개인 성과에 미치는 영향, 한국경영정보학회 춘계학술대회 미소장
15 김의철, (1997) 스트레스 경험, 대처와 적응 결과: 토착심리학적 접근,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미소장
16 김지경 ; 김명소, (2003) 한국남녀의 관계적 자아의 특성: 다원적 구성요인 탐색 및 타당성 분석, 한국심리학회지:사회문제 미소장
17 김진모 ; 이택선, (2004) 농촌지도공무원의 직무만족과 조직환경 및 역할갈등의 관계, 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 미소장
18 김혜숙 ; 김진실, (2006) 전통적 여성과 비전통적 여성에 대한 평가: 관계의 친밀성과 평가자 성이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여성 미소장
19 김혜란, (2006) 생활스트레스와 분노가 여성의 신체화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 건강심리학회 포스터 발표 논문집 미소장
20 남인숙, (1996) 왜 여성학인가, 학문사 미소장
21 남보라, (2006) 완벽주의가 정서표현갈등과 갈등관리유형에 미치는 영향, 미소장
22 박아청, (2000) 여성의 자아정체감 형성에 대한 새로운 접근, 한국심리학회지:발달 미소장
23 박재우, (2001) 직무스트레스, 자존감, 완벽주의가 직장인의 불안 증상 및 신체화 증상에 미치는 효과,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미소장
24 성양건, (2006) 팀 내에서 직무갈등과 관계갈등간의 역학, 한국심리학회구두발표 논문집 미소장
25 신경림, (2003) 현상학적 연구의 이론과 실제, 간호학 탐구 미소장
26 심미선, (2004) 여성 전문 인력의 사회적 불평등에 관한 연구: 커뮤니케이션학계 여성 전문인력을 중심으로, 순천향 사회과학연구 미소장
27 신병현, (2004) 조직분석과 경영담론의 성별 인식 부재에 대한 비판적 검토와 대안적 접근의 모색, 연세경영연구 미소장
28 심영희, (1996) 사무직 여성의 일의 의미와 정체성 형성 : 직장내 갈등과 적응양식을 중심으로, 사회과학논집 미소장
29 정혜경 ; 박영주, (2002) 대입 수험생의 스트레스와 대처양식 및 대처간의 관계,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미소장
30 이경순, (2002) 용서-현상학적 접근, 정신간호학회지 미소장
31 이상엽, (1996) 성격유형과 갈등관리유형과의 관계를 통한 부서의 효율성분석, 한국행정학보 미소장
32 이성은, (1995) 교사들이 경험하는 갈등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교육행정학연구 미소장
33 이재인, (2005) 서사 유형과 내면 세계, 기혼 여성들의 생애이야기에 대한 서사적 접근, 한국사회학 미소장
34 이해경 ; 이종구 ; 김명소, (2003) 한국 여성의 자아개념의 요인구조와 성차, 한국심리학회지: 여성 미소장
35 이종목, (1991) 직무 스트레스와 조직성과의 관계 모델 검증연구, 한국심리학회지:산업 및 조직 미소장
36 이혁규, (2005) 교과서 쓰기 체험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교육인류학연구 미소장
37 이현림 ; 윤경원, (2004) 산업체 상담원의 역할갈등 및 직무스트레스가 직무성과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미소장
38 이호선, (1999) 리더의 갈등관리유형 및 업무의존성이 조직구성원의 갈등관리유형에 미치는 영향, 인력개발연구 미소장
39 장재윤, (2004) 직무특성과 직장-가정간 갈등이 조직에 대한 애착 및 조직시민행동에 매치는 효과: 성차를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산업 및 조직 미소장
40 김혜숙 ; 장재윤, (2003) 직장-가정 간 갈등이 삶의 만족 및 직무 태도에 미치는 효과에 있어서의 성차: 우리나라 관리직 공무원들을 대상으로, 한국심리학회지 미소장
41 장한기 ; 조영주, (2006) 교사들의 갈등관리 유형에 따른 직무만족의 차이, 수산해양 교육연구 미소장
42 장해순, (2003) 갈등관리전략과 커뮤니케이션 능력이 상호관계에 미치는 영향, 한국언론정보학보 미소장
43 장해순 ; 한주리 ; 강태완, (2007) 말하기,듣기 스타일과 갈등관리유형 간의 관계, 한국방송학보 미소장
44 장해순 ; 한주리 ; 이인희, (2007) 출판사 조직구성원의 갈등관리행동이 갈등 후의 결과 및 관계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출판학연구 미소장
45 장해순 ; 한주리 ; 허경호, (2007) 갈등관리스타일에 영향을 미치는 퍼스낼리티 요인, 한국언론정보학보 미소장
46 정세종, (2005) 경찰조직내 갈등관리방식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한국경찰학회보 미소장
47 정용주, (2006) 갈등관리유형이 리더신뢰와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미소장
48 조정아, (1993) 대졸 사무직 여성의 노동과 좌절, 미소장
49 조영복, (2000) 여학생 능력 계발 연구: 고학력 여성 인력과 여성 벤처의 육성, 여성학 연구 미소장
50 최인영 ; 김효근, (2007) 의무적 지식 올리기에서 자발적 지식 나눔으로; I사 조직 구성원들의 학습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이해, 경영학연구 미소장
51 최해진, (2002) 조직 내의 권력과 갈등의 관계, 인적자원관리연구 미소장
52 패재민, (2005) 팀 리더의 갈등관리 유형과 팀원의 조직몰입, 공정성 인식 관계연구-문화컨텐츠기업을 중심으로, 미소장
53 허명숙, (2006) 여기자의 위상에 대한 인식과 평가 연구: 전북지역 여기자들의 심층인터뷰를 중심으로, 언론과학연구 미소장
54 홍선임, (2002) 갈등 수용성, 갈등 효능감, 상사의 유형이 집단 내 관계 갈등과,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