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2009년 노동자들의 대량해고로부터 비롯된 쌍용자동차 사태는 한국사회의 노동상황을 보여주는 대표적 사례에 해당한다.
쌍용자동차 사태는 기본적으로 세계적인 경제위기의 상황에서 발생한 경영부실의 문제를 전적으로 노동자들에게 전가시키려는 과정에서 발생한 사태로서 성격을 지니고 있다. 그 사태의 발생과 전개 과정에는 우리 사회가 합의하고 해결해야 할 중요한 과제들이 노정되었다. 마치 우리 사회의 ‘노동문제 백화점’과도 같은 양상을 띤 쌍용자동차 사태는 점검해야 할 숱한 문제들을 안고 있다. 그 여러 가지 문제들 가운데서 노동권과 경영권의 관계는 특별히 중요한 쟁점이 되고 있다. 한국사회에서는 사용자의 경영권이 노동권을 제약하는 강력한 구실이 되고 있고, 그 현상은 쌍용자동차 사태에서 분명하게 드러났기 때문이다.
이 글은, 여전히 해결되지 않은 채 우리 사회의 과제로 남아 있는 쌍용자동차 사태의 전말을 살펴보고, 그로부터 제기되는 쟁점들을 일별한 후 그 가운데 핵심적 쟁점 가운데 하나로서 노동권과 경영권의 문제에 대해 고찰하고, 그에 대한 신학적 성찰을 시도하고자 한다.
Ssangyong Motor's crisis that derived from mass layoffs of labors on 2009 is typical case showing the labor situation of Korea society.
Ssangyong Motor's crisis have a character as a crisis caused from the process that the company try to pass on labors the problems of poor management occurred in the context of global economic crisis. Ssangyong Motor's crisis have many problems that we have to resolve. It is like a 'department store of labor's problems' in korea society. The relationship between labor right and management right has become a particularly important issue among the various issues. Employees' management right is a powerful pretext to constrain labor right in Korea society, it's phenomenon is evident in Ssangyong Motor's crisis.
This article is firstly to understand the whole process of Ssangyong Motor's crisis, secondly to identify issues raised by from it, thirdly to considerate on relationship between labor right and management right as a core issue, lastly to reflect on that issue theologically.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목차 |
---|---|---|---|---|
우상파괴를 통한 종교해방 : 니시타니의 공(空)과 포이어바흐의 투사를 잇댐으로써 | 정재현 | pp.104-141 |
|
|
출산규정(레 12:1-8)과 생리규정(레 15:19-24)에 나타난 하나님의 여성사랑 | 양화자 | pp.7-34 |
|
|
순교자의 탄원기도(계 6:9-11)에 대한 전승사적 연구 | 박두환 | pp.35-62 |
|
|
그리스도 중심의 원리 : 지학순 주교의 삶을 통해 본 교회의 현실 참여의 정당성의 근거 | 조현철 | pp.63-103 |
|
|
쌍용자동차 사태를 통해 본 노동권과 경영권의 문제 | 최형묵 | pp.142-174 |
|
|
중세 여성 신학자의 작품에 나타난 (탈)젠더화된 덕성 연구를 위한 방법론 : 노르위치의 줄리안의 "사랑의 계시"를 중심으로 | 양정호 | pp.175-206 |
|
|
설교의 기적과 인간의 섬김 사역 : 루돌프 보렌(R. Bohren)의 설교론을 중심으로 | 조남신 | pp.207-247 |
|
|
종교적 세계관과 과학적 세계관의 통일로서의 생태 담론 | 이향명 | pp.248-272 |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정기간행물실(524호) / 서가번호: 국내07
2021년 이전 정기간행물은 온라인 신청(원문 구축 자료는 원문 이용)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