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자료 카테고리

전체 1
도서자료 0
학위논문 0
연속간행물·학술기사 1
멀티미디어 0
동영상 0
국회자료 0
특화자료 0

도서 앰블럼

전체 (0)
일반도서 (0)
E-BOOK (0)
고서 (0)
세미나자료 (0)
웹자료 (0)
전체 (0)
학위논문 (0)
전체 (1)
국내기사 (1)
국외기사 (0)
학술지·잡지 (0)
신문 (0)
전자저널 (0)
전체 (0)
오디오자료 (0)
전자매체 (0)
마이크로폼자료 (0)
지도/기타자료 (0)
전체 (0)
동영상자료 (0)
전체 (0)
외국법률번역DB (0)
국회회의록 (0)
국회의안정보 (0)
전체 (0)
표·그림DB (0)
지식공유 (0)

도서 앰블럼

전체 1
국내공공정책정보
국외공공정책정보
국회자료
전체 ()
정부기관 ()
지방자치단체 ()
공공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정부기관 ()
의회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국회의원정책자료 ()
입법기관자료 ()

검색결과

검색결과 (전체 1건)

검색결과제한

열기
기사명/저자명
고려 초 지방제도 개편과 '主縣屬縣制度'의 성립 / 박종진 인기도
발행사항
서울 : 서울大學校 奎章閣韓國學硏究院, 2015.12.31
수록지명
한국문화. 제72집 (2015년 12월), pp.295-332
자료실
[서울관] 정기간행물실(524호)  도서위치안내(서울관)
외부기관 원문
외부기관 원문
제어번호
KINX2016016966
주기사항
대등표제: Reorganization of the Local Governing system and Establishment of the 'Juhhyeon-Sokhyeon system(主縣屬縣制度)' in Early Goryeo Period
한국연구재단에서 제공한 KCI 등재학술(후보)지임
원문

목차보기더보기

목차

고려 초 지방제도 개편과 '主縣屬縣制度'의 성립 / 박종진 1

1. 머리말 1

2. 고려 초 지방제도 개편의 추이 4

1) 고려건국 후 지방제도의 개편과 태조 23년 단위군현의 확정 4

2) 성종 2년 12牧의 설치와 항리제 개편 10

3) 성종 14년 '州縣制度'의 실시와 그 의미 13

3. 현종 9년 '主縣屬縣制度'의 성립과 主縣 24

1) '主縣屬縣制度'의 성립과 특징 24

2) '主縣屬縣單位'의 편성과 主縣 30

4. 맺음말 35

Abstract 37

권호기사보기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중국의 선장본 보급과 그 배경 오키 야스시 pp.3-20 원문보기 (음성지원, 협정기관 방문 후 이용 가능 ) 보기
16세기 후반~17세기 조선의 목활자인쇄와 출판문화적 의미 옥영정 pp.21-46 원문보기 (음성지원, 협정기관 방문 후 이용 가능 ) 보기
일본 근세의 서적과 학문의 전파 : 19세기 문인 다카이 코잔(高井鴻山)의 장서 연구 스미요시 토모히코 pp.47-69 원문보기 (음성지원, 협정기관 방문 후 이용 가능 ) 보기
『세설신어보』의 조선과 에도 문단의 출판과 향유층 비교 노경희 pp.71-97 원문보기 (음성지원, 협정기관 방문 후 이용 가능 ) 보기
조선시대 문집 편찬의 역사적 특징과 문집 체제 심경호 pp.101-130 원문보기 (음성지원, 협정기관 방문 후 이용 가능 ) 보기
『은파산고』(恩坡散稿)의 성립과 심노숭(沈魯崇) 김수진 pp.131-163 원문보기 (음성지원, 협정기관 방문 후 이용 가능 ) 보기
孤山 尹善道의 山論 연구 박권수 pp.165-192 원문보기 (음성지원, 협정기관 방문 후 이용 가능 ) 보기
조선의 杜甫 시 학습서의 특징 임도현 pp.193-220 원문보기 (음성지원, 협정기관 방문 후 이용 가능 ) 보기
『구운몽』의 재미와 교훈 구본현 pp.221-267 원문보기 (음성지원, 협정기관 방문 후 이용 가능 ) 보기
<숙영낭자전>의 聖俗 갈등과 그 의미 이지하 pp.271-294 원문보기 (음성지원, 협정기관 방문 후 이용 가능 ) 보기
고려 초 지방제도 개편과 '主縣屬縣制度'의 성립 박종진 pp.295-332 원문보기 (음성지원, 협정기관 방문 후 이용 가능 ) 보기
고려후기 東北面의 지방제도 변화 : 州鎭의 변화를 중심으로 윤경진 pp.333-366 원문보기 (음성지원, 협정기관 방문 후 이용 가능 ) 보기
고려후기 상반된 질서의 공존과 그 역사적 의미 이종서 pp.367-392 원문보기 (음성지원, 협정기관 방문 후 이용 가능 ) 보기
조선시대 七寶山 유람풍조와 七寶山圖 연구 박정애 pp.393-431 원문보기 (음성지원, 협정기관 방문 후 이용 가능 ) 보기
丙子胡亂 당시 淸軍의 構成과 規模 구범진, 이재경 pp.433-465 원문보기 (음성지원, 협정기관 방문 후 이용 가능 ) 보기
『杞人閒商量』, 19세기 초 洪羲祖가 바라본 조선의 지리지 제작 정대영 pp.467-508 원문보기 (음성지원, 협정기관 방문 후 이용 가능 ) 보기
1880년『善騎隊軍案』의 기재 양식과 내용 분석 서태원 pp.509-548 원문보기 (음성지원, 협정기관 방문 후 이용 가능 ) 보기

참고문헌 (39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더보기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邊太燮, 1971 「高麗兩界의 支配組織」 『高麗政治制度史硏究』, 일조각. 미소장
2 이정기, 2012 『고려시기 양계 통치체제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미소장
3 蔡雄錫, 1995 「군현제와 향촌사회」 『한국역사입문②』, 풀빛. 미소장
4 尹京鎭, 2000 「연구동향과 문제제기」 『高麗 郡縣制의 構造와 運營』,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미소장
5 박종기, 2002 「군현제 연구론」 『지배와 자율의 공간, 고려의 지방사회』, 푸른역사. 미소장
6 具山祐, 2003 「연구현황」 『高麗前期 鄕村支配體制 硏究』, 혜안. 미소장
7 윤경진, 2012 『高麗史 地理志의 分析과 補正』, 여유당. 미소장
8 A Study on the Organization Principle of ‘Chu-hyŏn and Sok-hyŏn Unit’ in Goryeo Dynasty –Focusing on the Geographical Features of ‘Ch'ŏngju-mok Area’ - 소장
9 고려시기 '상주목 지역'의 구조와 지리적 특징 소장
10 The changes and geographical range of Gaeseong-bu (開城府) in the early Goryeo dynasty 소장
11 The Establishment and the Geographical Range of ‘Mirsung-gun Area(密城郡地域)’ in Goryeo Dynasty 소장
12 高麗初期 郡縣의 主屬關係 形成과 地方統治 소장
13 『고려사』. 미소장
14 윤경진, 1996 「고려 태조대 군현제 개편의 성격」 『역사와 현실』 22. 미소장
15 김태식, 1997 「『삼국사기』 지리지 신라조의 사료적 검토」 『삼국사기의 원전검토』, 한국정신문화연구원. 미소장
16 『삼국사기』. 미소장
17 金甲童, 1986 「高麗初 州에 대한 考察」 『高麗史의 諸問題』, 삼영사(1990 『羅末麗初의 豪族과 社會變動硏究』,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출판부에 재수록). 미소장
18 고려 태조 23년 군현개편에 관한 연구 소장
19 후삼국시기 고려의 '주(州)'·'부(府)' 분포와 그 설치 의미 소장
20 나말려초 天安府의 성립과 그 동향 소장
21 후삼국시기 고려의 남방진출로 분석 소장
22 『삼국유사』. 미소장
23 박종진, 2000 『고려시기 재정운영과 조세제도』, 서울대학교출판부, 34-39면. 미소장
24 「柳邦憲墓誌銘」(金龍善 編, 1993 『高麗墓誌銘集成』, 한림대학교출판부). 미소장
25 高麗時代 中央政治機構의 行政體系 : 尙書省 機構를 중심으로 소장
26 高麗前期의 外官制 소장
27 The Origin and the Development Process of the Goryeo Dynasty's Gyaesu-gwan(界首官) Headquarters in Administrative Terms : Examination of its Relationship with the 9 Ju Units and the 12 Mok Units 소장
28 『고려사절요』 권2, 성종 5년 8월. 미소장
29 구산우, 2003 『고려전기 향촌지배체제 연구』, 혜안. 미소장
30 안병우, 2002 『고려전기의 재정구조』, 서울대학교출판부. 미소장
31 河炫綱, 1988 『韓國中世史硏究』, 일조각. 미소장
32 十世紀末における高麗州県制の施行 네이버 미소장
33 Study of the Gunhyeon (郡縣) System Reform of the 14th Year of King Seongjong's Reign in the Goryeo Dynasty 네이버 미소장
34 金甲童, 1990 『羅末麗初의 豪族과 社會變動 硏究』, 고려대학교출판부. 미소장
35 고려 성종 11년의 읍호개정에 대한 연구 - 고려초기 군현제의 구성과 관련하여 - 소장
36 高麗前期 道制의 成立과 그 性格 소장
37 고려시기 '수취단위'의 의미와 속현의 지위 소장
38 고려시대의 지방관원들 : 속관(屬官)을 중심으로 소장
39 고려시기 계수관의 기능과 위상 소장

권호기사보기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